View : 7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규호-
dc.contributor.author김하원-
dc.creator김하원-
dc.date.accessioned2017-08-27T12:08:58Z-
dc.date.available2017-08-27T12:08:58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90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906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6402-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우리나라 의학교육과정의 변화 과정과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교육과정의 변화가 교육실천에 실제적인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어떠한 정책과 지원 조치가 필요한지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의학 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과정 변화의 내용은 무엇인가? 둘째, 교육과정 변화의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의학교육과정 변화의 과정은 어떠한가? 넷째, 각 교육기관에 따라 교육과정 변화의 추진에서 차이가 나는 이유는 무엇이며, 교육과정의 변화가 교육실천의 실제적 변화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어떠한 지원과 조치가 필요한가? 연구 문제에 따라 설문지를 통한 양적연구와 인터뷰 및 관련 자료를 분석하는 질적연구를 함께 진행하는 통합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설문지는 의과대학 교육과정 변화의 전반적인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내용으로 41개 의과대학중 의학교육학 교실이 있는 대학을 중심으로 시행하였다. 인터뷰는 6개 대학의 의학교육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하여 교육과정 변화의 과정 및 각 과정에서의 변화의 실행요인들에 대하여 면담하였다. 자료의 분석에서는 역사적 신제도주의 분석의 틀을 활용하여 구조적 수준, 제도적 수준, 행위자 수준의 변화요인을 분석하였다. 각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학교육과정 변화의 핵심적인 내용은 성과바탕 교육과정의 도입이었다. 많은 대학들이 졸업에 필요한 성과 기준을 설정하고 성과바탕 교육과정을 정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졸업성과를 이루기 위해서 임상실습교육과정의 개선과 변화, 인성 및 의료인문학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그 밖에 평가제도의 변화, 연구실습과정의 개설 또는 발전, 경력개발 진로지도 프로그램의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포스트 2주기 평가인증 기준에 의하여 많은 대학들이 성과바탕 교육과정으로 전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교육과정의 변화요인은 역사적 신제도주의의 분석틀을 이용하여 구조, 제도, 행위자의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구조적 측면에서는 우리나라 의학교육체제가 의과대학에서 의학전문대학원제로 변경되었다가 다시 의과대학 체제로 환원되는 가운데 의학교육과정 변화의 당위성을 부여받게 되었다. 제도적 측면에서는 의학교육 인증평가제도와 의사면허시험의 변경을 통해 국가 수준에서 의학교육의 질관리를 적극 추진하고 하였으며 이런 과정에서 의학교육 전문가 그룹이 형성되었고, 이들이 의학교육과정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행위자 측면에서 보면, 학장단과 의학교육전문가 그룹이 협력하여 변화를 주도하는 가운데 일반교수들을 설득하여 변화의 실행에 참여하게 하고 있으며, 일반교수들은 교육을 실천하고 학생들의 평가결과를 분석하여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학생들에게서 나타나는 실제 변화가 긍정적인 피드백이 되어 교육과정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셋째 의학교육계가 성과바탕 교육과정을 도입하게 되는 변화 과정의 큰 흐름은 신제도주의의 동형화 이론을 통해서 설명할 수 있다. 의과대학의 속성상 국민의 건강을 책임져야 하는 사회적 책무성을 가지게 되므로 국가수준에서의 질관리가 필요하며, 이는 의과대학 인증평가, 의사면허시험 등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책무성에 기초한 질관리를 위한 의학인증평가의 기준과 그러한 기준이 요구하는 교육과정을 모든 의과대학들은 도입할 수밖에 없는 강제적 동형화로 이루어졌으며, 이에 따라 기준의 공통성은 곧 교육과정의 공통성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성과바탕 교육과정의 대학 간 확산은 모방적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의무적으로 도입할 수밖에 없는 교육과정이지만 대학마다 풍토와 자원이 다른 관계로 여건이 가능한 일부 대학들이 새로운 교육과정을 선도적으로 받아들여 시행하였으며, 다른 대학들은 이들의 경험을 모방하면서 교육과정 변화를 시도하게 되었다. 개별 대학 입장에서의 성과바탕 교육과정 도입은 규범적 압력으로 설명하였다. 교육과정의 변화의 초기 단계에서는 외부로부터의 강압적인 면이 있었지만, 각 대학의 의학교육전문가 및 일반 교수들에 의하여 교육변화에 대한 요구들이 자생적으로 생겨났고,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며 성과바탕 교육과정을 각 대학의 상황에 맞게 시행하게 되었다. 개별 대학 수준에서의 의학교육과정 변화의 과정은 변화시작, 실행준비, 제도화, 정교화의 4단계 모형으로 설명하였다. 변화시작 단계에서의 촉진요인은 학장단의 리더십, 인증평가를 비롯한 외부평가, 구성원의 인식의 변화였고, 실행준비 단계에서의 촉진요인은 교수들을 설득하고 이해시키기 위한 교수개발, 각종 위원회를 통한 참여, 조직력 있는 실행팀의 구성이었다. 제도화 단계에서의 촉진요인은 성공의 경험, 핵심인력을 통한 경험전파, 긍정적인 피드백이었고, 정교화 단계에서는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 피드백이 가능한 방향조정팀의 구성, 조직문화의 이해와 교육철학의 공유, 의과대학 당국에서 의도하는 바대로 운영할 수 있도록 독립성을 갖추는 것이었다. 전 단계를 거쳐 교육과정 변화의 저해요인은 일반교수들의 무관심과 반대와 저항이었다. 적극적인 저항의 경우는 오히려 설득과 이해를 통해 지지자로 변화될 수도 있지만 무관심으로 일관하는 경우가 가장 큰 저해요인이었다. 다만, 변화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무관심이 오히려 도움이 될 수도 있다는 견해도 찾아볼 수 있는데, 어떤 반대도 찬성도 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장애물 없이 의사결정을 용이하게 해 줄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무관심은 실행의 단계, 제도화의 단계 및 정교화의 단계 등 변화의 모든 단계에서 가장 큰 문제를 일으킨다. 교수들이 변화의 흐름에 맞춰 수업의 형태나 방법, 내용을 수정해 주지 않는다면 변화는 형식적·외형적 변화에 그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추진하는 변화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무관심한 교수들로 하여금 변화에 관심을 갖고 변화의 의미와 필요성을 이해하며 그 변화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가 된다. 넷째 교육과정 변화가 학교에 따라 차이가 나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교육과정의 필수적인 실행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필수적인 실행요인은 변화를 이끌어가는 대학의 조직과 지원, 의학교육변화를 주도하는 인력구성과 해당 그룹의 끈기와 열정, 일반교수들과 학생들이 동참할 수 있는 환경의 조성, 변화과정을 계속적으로 실행하도록 하는 교육철학과 원칙이었다. 학교 차이는 대학별 맥락에서의 차이로 나타났다. 각 대학의 설립배경이나 역사, 재단, 규모, 지역적 위치 등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교실간의 기득권의 문제, 대학의 조직문화의 차이, 자원배분의 차이가 존재하였다. 교실간의 기득권의 문제나 제도적인 부분은 학교본부와 의대 리더십이 함께 노력함으로써 극복할 수 있으며, 자원배분의 차이 역시 노력 여하에 따라 극복이 가능하다. 그러나 학교조직문화의 차이는 교수들이 본인의 존재가치를 어디에 두느냐를 결정하게 되는데, 대학교수로서의 가치보다 대학병원 의사로서의 가치를 높이 두게 되면 교육의 변화를 추진하기가 쉽지 않게 된다. 학교들은 이런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는 방안들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 변화의 성공적인 전략으로는 첫째 교육변화를 지지해 주고 지원해 주는 리더십이 필수적이다. 둘째 의학교육 전문가들을 포함한 핵심 인력의 조직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과정의 변화에 동참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넷째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인증평가나 국가실기시험과 같은 외부적인 영향력이 교육과정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질 수 있도록 제도적인 보완이 필요하다. 다섯째 변화 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과 노력이 요구된다. 우리나라 의학교육에서 성과바탕 교육과정의 도입은 세계적인 의학교육의 흐름에 의하면 당연한 결과였다. 의학교육계에서는 성과바탕 교육과정의 도입을 위해서 전략적으로 인증평가 기준에 이를 포함하였고 이에 따라 모든 대학들이 의무적으로 이를 수용할 수밖에 없었다. 초기 단계에서는 반발과 어려움이 있었지만 이를 실행해 가는 과정에서 의학교육의 개선에 관심을 갖고 있는 교수들을 중심으로 하여 점진적인 변화가 이루어졌고 특히 학생들의 자기주도적인 학습 경험이 확대됨에 따라 실천 및 체험 중심의 교육, 태도와 자질의 변화를 중시하는 교육이 정착하고 있다. 교육과정의 변화가 곧바로 교육의 변화로 직결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제도와 형식의 변화 속에서 이를 구성하는 사람이 바뀔 수 있으며, 사람의 변화는 곧 교육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 of strategies are needed to lead to changes in educational practice through changing factors and process of change in medical curriculum of Korea. For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nts of the medical curriculum change, the reason of change, the process of change and the factors for the change of curriculum in Korea since 2010,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what policy and support are needed to bring about chang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change that has been taking place in Korean medical education institutions since 2010? Second, what are the factors of the curriculum change? Third, what is the process of changing the medical curriculum? Fourth, why is it different in the degree of change of curriculum according to each educational institution, and what kind of supports are necessary for the change of curriculum to lead to practical change? I used an integrated mixed method that conducted quantitative research through questionnaires and qualitative research that analyzed related documents and interviews. The questionnaires were carried out mainly in medical education department in 41 medical school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medical education professors and interviewed about the process of curriculum change and the factors influencing change in each step. I analyzed the factors curricular changes in levels of structure, institutes, and agents through framework of historical new institutionalism. The results of research problem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of the medical curriculum change was outcome based curriculum. Many schools have been trying to set outcomes for graduation and to establish outcome based curriculum. They were trying to improve and change of clinical practice, medical humanities programs, evaluation system, research practice course, career development programs. This result shows that many universities were trying to change into outcome based curriculum according to the post 2nd cycle accreditation standards. Second, the factors of change in the medical curriculum were analysed the factors of structure, institutions, and agents using the framework of historical new institutionalism. In the level of structure,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in Korea was changed from the college of medicine to the graduate school of medicine, and then it was returned to college of medicine. So medical schools were given the right and duty to change the medical curriculum In the level of institutions, the quality management of medical education is influenced on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standards, and change of the National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In this process, a group of medical education experts were formed naturally and they were leading the change of the medical curriculum. In the level of agents, dean and the medical education experts worked together to persuade the general professors to participate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change. The general professors role were teaching, evaluation,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in the context of new curriculum. The actual changes that appeared with making positive feedbacks of students. Third, the major trend of outcome based curriculum can be explained through of isomorphism of new institutionalism. The quality of management medical care at the national level is required social accountability by evaluation of medical school program and licensing system. The standards of medical school accreditation were made by coercive isomorphism that all medical schools were forced to adopt, and the changed by new standards based on the outcome based curriculum. The diffusion of outcome based curriculum was done through mimetic process, Some schools had taken the lead in the new curriculum, and other schools had attempted to change their curriculum while copy their experiences. The acceptance of outcome based curriculum in each schools was explained by normative pressure. In the early of the curricular change, there were coercive aspects from the outside, but the demands of the education change were born by the medical education experts and general professors of each schools. It was implemented and developed according to the contexts of each schools. The process of change of medical curriculum at the individual school level was explained by a four step model which was explained initiation of change, preparation for implementation, institutionalization, and reinforcement & elaboration. The facilitating factors in the beginning of curricular change were the leadership, external evaluation including the accreditation, change of recognition by all school members. The facilitation factors in the preparation implementation were faculty development to persuade and understand the professors about curricular change, participations of committees, making team of assistance of implementation. The facilitation factors in the institutionalization were the experiences of success, the diffusion of experiences through core manpower, positive feedback from students. The facilitation factors in reinforcement & elaboration were composition of evaluation team,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sharing of educational philosophy and to have ownership so that it could operate as intended by the medical school authorities. After all, the obstacles to change in curriculum were the indifference, resistance of the general professors. In the case of aggressive resistance, it may be transformed into a good supporter through persuasion and understanding, but consistency with indifference is the biggest obstacle. However, the researcher can also find that indifference may be helpful in determining the change, which may facilitate decision making without obstacles due to the absence of any objection. Indifference, however, causes the greatest problems at all steps of change. If the professors do not modify the methods, and contents of the classes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change, the change will be limited to formal and external changes. Therefore, it is the most important task for the indifferent professors to be interested in change, understand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change, an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hange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Fourth, The essential factors of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were to identified the reason why the curriculum chang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choo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major factors of implementation change, are the organization and support of the school that leads changes, the construction of the manpower leading the change of the medical education, the commitment, perseverance, energy, and enthusiasm of the group, the creation of environment in which the general professors and students can participate, As well as the philosophy and principles of maintenance of education change. School differences were found to be differences in the context of school. There were conflicts of vested rights of departments, differences of school culture, and resource allocations by the background, history, foundation, scale, regional location of schools. The problem of rights among the departments and the institutional strategy, lack of resources can be overcome by the efforts of the school headquarters and medical leadership. But the difference of organizational school culture is very difficult problem. If the value of physicians of teaching hospitals is higher than the value of medical teachers, it will not be easy to implementing the curricular change because general professors are very busy so they don’t consider important their role of teachers. As a successful strategy for changing the curriculum, first, leadership is essential to support the educational change. Second, the organization of key persons, including medical education experts, is needed. Third,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to encourage participation in the change of the curriculum. Fourth, institutional supplement is needed to have external influences such as accreditation, national licensing examination affecting curriculum change. Fifth, efforts about the change management is very important. In conclusion, the acceptance of outcome based curriculum in Korean medical schools reasonable result according to the trend of global medical education. The medical education system strategically included this in the accreditation criteria which forced all schools to accept this mandatory. In the early process of change, there were resistances and difficulties, but progressive changes were made by professors who were interested in implementing them. Especially, as self-directed learning experiences of students were expanded, education that focuses on changes in attitudes and competencies. Changes in the curriculum do not directly lead to changes in education. However, in the change of the system the persons can be changed, and the change of the persons can lead to the change of the education practi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9 A. 의학교육과정의 변화과정 10 1. 의학교육과정 변화의 세계적 흐름 10 2. 우리나라 의학교육과정 변화 12 B. 책무성과 성과바탕교육과정 18 1. 책무성 18 2. 성과바탕교육과정 27 C. 교육과정 변화 모형 36 1. CBAM모형 36 2. 단계모형 37 3. 교육과정 변화에 대한 선행연구 50 D. 신제도주의적 정책분석 58 1. 교육과정의 제도적 특성 58 2. 신제도주의 분석 모형 59 3. 신제도주의 선행연구 66 Ⅲ. 연구방법 68 A. 연구의 설계 68 B. 연구참여자 71 C.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75 D. 연구의 분석틀 78 Ⅳ. 연구결과 81 A. 의학교육과정 변화의 내용 81 1. 우리나라 의학교육과정 변화 내용 81 2. 사례대학의 교육과정 변화 내용 83 B. 의학교육과정 변화요인 94 1. 구조적 수준의 변화요인 95 2. 제도적 수준 변화요인 101 3. 행위자 수준의 변화요인 111 C. 의학교육과정 변화의 과정 127 1. 제도적 동형화를 통한 성과바탕 교육과정 도입 128 2. 개별대학별 성과바탕 교육과정으로의 변화 137 D. 의학교육과정 변화 실행요인과 학교차이 173 1. 의학교육과정 변화 실행요인 173 2. 학교차이 179 3. 실제적 변화를 위한 지원 183 E. 논의 185 Ⅴ. 요약 및 결론 196 A. 요약 196 B. 결론 199 C. 제언 201 참고문헌 203 부록1.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교육과정 변화에 대한 설문지 216 부록2. 심층면담 질문지 222 부록3. 연구참여 동의서: 심층면담 224 부록4. 교육지원그룹 면담 질문지(예비조사) 225 부록5. 연구참여 동의서: 교육지원그룹 면담 226 ABSTRACT 22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713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의학교육과정 변화요인과 과정 분석-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2010년대 이후 성과바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factors and process of change in medical curriculum : with focus on outcome based curriculum since 2010-
dc.format.pageviii, 231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