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8 Download: 0

온라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 만족도 관계에서 지각된 유용성, 자기조절학습 스킬의 조절효과 검증

Title
온라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 만족도 관계에서 지각된 유용성, 자기조절학습 스킬의 조절효과 검증
Other Titles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and Self-Regulate Learning skil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ve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onlin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Authors
김성빈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HRD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규연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perceived usefulness and self-regulate learning skill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students' participative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onlin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To explain learning satisfaction of adult students who enrolled in onlin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understanding of the level of usefulness of the programs and learning capability of the students is necessary.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level of usefulness of the education programs perceived by the students and self-regulate learning skill as a student characteristic factor. Previous studies report that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learning has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performance; and education programs' usefulness perceived by the students and students' self-regulate learning skill have positive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Although previous studies suggest many significant results through defining the relationship among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learning, perceived usefulness, self-regulate learning skill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re are not many interactive, integrated studies regarding adult students who enrolled in onlin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Therefore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studies, is to identify perceived usefulness and self-regulate learning skill that affect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The followings are the research problems: 1. Does participation motivation (goal-oriented, activity-oriented, learning-oriented) of adult students in onlin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predict learning satisfaction? 2. Does perceived usefulness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adult students in onlin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3. Does self-regulate learning skill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adult students in onlin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 students who enrolled in onlin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90 responded material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and the materials were treated with correlation analysis on the factors, as well as technical statistics. The hypotheses were verified throug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s are the verification results of the hypotheses: First, participation motivation of adult students in onlin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has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For sub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learning-oriented motivation predicts learning satisfaction. Second, perceived usefulness has a moderating effect on activity-oriented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learning-oriented participation motivation. This suggests interaction of the level of perceiving usefulness and learning satisfaction among students who enrolled online education programs with activity-oriented motivation and learning-oriented motivation. It indicates that the level of usefulness of the education programs in which adult students enrolled plays an important role for learning satisfaction. Therefore the programs should be designed and offered for adult students to perceive usefulness from the program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oriented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re is a limit in improving learning satisfaction with usefulness perceived by students. Third, self-regulate learning skill has a moderating effect only on learning-oriented motiv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This suggests interaction of self-regulate learning skill with the level of learning satisfaction and importance of self-regulate learning skill. Students who enrolled with goal-oriented motivation and activity-oriented motivation showed limits to increase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self-regulate learning skill.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dult students who enrolled in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therefore the study subjects cannot represent the population of adult learners who enrolled in onlin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To generalize the study results, characteristics of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reflected and further studies on other organizations should follow. Second, this study used self-report survey because it was difficult to obtain objective data by the third party. Therefore further studies should use data that can supplement self-report measurement to increase reliability of the studies. Third, this study focused only on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and self-regulate learning skill when identifying the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Further studies should explore new moderating variables for more effective learning. Also, mediated moderation or moderated mediation that can review both mediating variables and moderating variables within the same model should be considered. Despit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confirms the importance of perceived usefulness and self-regulate learning skil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the study also suggests that usefulness of the education programs in which students enroll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 and development of onlin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and necessity of supporting self-regulate learning skill. Hopefully this study results can be used as practical materials in design, production of education programs for efficient learning of adult learners who enroll onlin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and in support for improving self-regulate learning skill of the learners.;본 연구는 온라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 만족도 간 관계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자기조절학습 스킬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학습 만족도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교육 프로그램의 유용성 정도와 학습자의 학습 능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 만족도의 관계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자기조절학습 스킬의 조절효과를 확인해보고자 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온라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 동기(목표지향성, 활동지향성, 학습지향성)는 학습 만족도를 예측하는가? 2. 온라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 만족도의 관계에서 지각된 유용성은 조절효과를 가지는가? 3. 온라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 스킬은 조절효과를 가지는가? 본 연구를 위해서 온라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90명의 응답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기술통계 및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서 성인 학습자의 학습참여 동기는 학습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참여 동기 하위 요인 별로 살펴보면, 학습지향성 학습참여 동기가 학습 만족도를 예측하였다. 둘째, 지각된 유용성은 학습참여 동기 하위 변인 중 활동지향성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지향성 학습참여 동기에 조절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목표지향성 학습참여 동기의 경우에는 지각된 유용성을 통해 학습 만족도를 조절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학위 취득을 위한 학교 형태의 평생교육기관의 특성상, 학습참여 동기와 지각된 유용성의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 만족도 향상보다 목표지향성 학습참여 동기 자체 변인이 학습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활동지향성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 만족도 간 관계에서 지각된 유용성이 조절변수로 작용하였을 때, 그 수준에 따라 활동지향성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 만족도 간 관계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즉 지각된 유용성 수준이 높은 학습자의 경우에는 활동지향성 학습참여 동기를 통해 학습에 만족하기보다는 지각된 유용성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학습지향성 학습참여 동기가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역시 지각된 유용성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각된 유용성 수준이 높아질 때 학습지향성 학습참여 동기의 영향을 적게 받고 지각된 유용성 수준이 낮아질 때 학습지향성 학습참여 동기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지각된 유용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자기조절학습 스킬은 학습참여 동기 하위 변인 중 학습지향성 학습참여 동기에만 조절효과를 타나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학습지향성 학습참여 동기로 학습에 참여한 경우 자기조절학습 스킬이 학습자의 학습 만족도 수준과 상호작용한다는 것으로 학습에 있어서 자기조절학습 스킬이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반면, 목표지향성 학습참여 동기와 활동지향성 학습참여 동기의 경우에는 자기조절학습 스킬을 통해 학습 만족도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자기조절학습 스킬이 낮은 학습자일수록 학습지향성 학습참여 동기가 높아지면 학습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를 놓고 볼 때 학습지향성 학습참여 동기는 자기조절학습 스킬이 높은 학습자에게는 큰 의미 없이 학습 만족도가 대부분 높지만, 자기조절학습 스킬이 낮은 학습자에게는 학습지향성 학습참여 동기가 학습 만족도를 높이는데 비교적 더 도움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자기조절학습 스킬이 낮은 학습자들이 학습지향성 학습참여 동기를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고민해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학습지향성 학습참여 동기의 경우에는 학습자의 적극적, 능동적인 학습 참여 능력이 학습지향성 학습참여 동기와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때,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스킬 향상을 위한 지원과 동시에 학습지향성 학습참여 동기를 유발하여 학습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 만족도 간에 미치는 지각된 유용성과 자기조절학습 스킬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기존의 연구들이 학습참여 동기를 하위 구분 없이 사용한 것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학습참여 동기를 목표지향성, 활동지향성, 학습지향성 학습참여 동기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는 것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그리고 학습 성과인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실제적 변인 중, 외부 요인으로 교육 프로그램의 유용성 정도를, 학습자 특성 요인으로 자기조절학습 스킬을 함께 고려하여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 만족도간의 관계를 보다 다각적으로 설명이 가능하게 하였다. 학습참여 동기 하위 변인들과 학습 만족도 간의 상호작용이 모두 조절효과를 나타낸 것은 아니었지만, 학습지향성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 만족도 관계에서는 지각된 유용성과 자기조절학습 스킬이 조절효과를 가지고, 활동지향성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 만족도 관계에서는 지각된 유용성이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사실을 확인함에 따라 학습참여 동기, 지각된 유용성, 자기조절학습 스킬, 학습 만족도와 관련된 기존 연구를 보다 정교화 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되어 온라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 모집단을 대표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위해서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특성을 고려하여 타 기관을 대상으로 한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제 3자에 의한 객관적인 데이터 확보가 어려워 자기보고식 설문을 활용하였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자기보고식 측정을 보완할 수 있는 데이터를 활용한다면 연구의 신뢰도가 더 높아질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학습참여 동기가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자기조절학습 스킬의 조절효과에 대해서만 연구를 진행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조절변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좀 더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새로운 변인에 대한 탐구가 이루어졌으면 한다. 또한 향후 연구에는 같은 모델 안에서 매개변인과 조절변인을 함께 검토할 수 있는 매개된 조절이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해 볼 것을 제안한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학습참여 동기와 학습 만족도와 관계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자기조절학습 스킬이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설계 개발 시 학습자가 참여하는 교육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학습에 유용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한다는 점과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스킬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함에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결과가 온라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효율적인 학습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설계, 제작, 그리고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스킬 향상을 지원하는데 실증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