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1 Download: 0

재택·순회교육을 받는 장애 고등학생의 학부모와 재택·순회교육을 담당하는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Title
재택·순회교육을 받는 장애 고등학생의 학부모와 재택·순회교육을 담당하는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parent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ceiving itinerant education in a home setting
Authors
최안나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지연
Abstract
The itinerant education in a home setting in Korea has a history of more than fifty years from 1963 until today with continuously increasing demands. Most of the preceding researches related to itinerant education in a home setting were survey studies while recently there were a few perception studies targeting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itinerant education in a home setting or parents with children receiving the education. However, there still are not enough researche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parent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ceiving itinerant education in a home setting as well as their actual demands. Thus, in this study,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parent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ceiving the education and special teachers in charge of itinerant education in a home setting to explore their experiences and perceptions regarding itinerant education in home settings and future directions of itinerant education in home settings in South Korea. This study involved eleven participants: six parents of high school students receiving itinerant education in a home setting in Seoul and fiv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charge of itinerant education in a home setting in Seoul.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based on purposive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methods. Furthermore,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s were developed,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e participants.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pproach focusing on the experience and interpretative phenomenon of a specific group. The researcher went through a cyclical process of repeatedly reading and recording the interested area in transcripts and categorizing the related subjects with similar contents. This study was continuously reviewed by professionals and through member checks. As a result, a total of six themes and seventeen subthemes were drawn. The six themes drawn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start of itinerant education in a home setting, background reasons for itinerant education in a home setting, lessons of itinerant education in a home setting, relations between parents and teacher, satisfactions and limitations of itinerant education in a home setting, and demands for the improvement of problems of itinerant education in a home setting. Regarding the first theme which was the start of itinerant education in a home setting, parents indicated that it was difficult for them to obtain much information about itinerant education in a home setting. It was also revealed that parents applied for itinerant education in a home setting for various reasons such as children's health, environmental factors, and shortage of assistants. In addition, mo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did not have much information about itinerant education in a home setting before teaching in a school providing such education. Regarding the second theme which was background reasons for itinerant education in a home setting, it was revealed that four out of six parents and one out of five teachers were satisfied with the number of itinerant sessions and lesson hours of itinerant education in a home setting. Because the location for the itinerant education was the recipients' home, parents felt uncomfortable that their house opened to the teachers while teachers experienced hardships in visiting unfamiliar houses. Moreover, the participants showed satisfactions and necessities for the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however, they felt inconvenienced by the lack of the learning materials needed for the itinerary education in home settings. Regarding the third theme which was lesson of itinerant education in a home setting, the factors facilitating and limiting in the delivery of lessons were mentioned. The parents and teachers indicated that accurate diagnosis of the learners, guaranteed opportunities of participation, accepting parents' opinions, provision of enough opportunities to practice, lesson plans considering the emotional stability of the students, and sincerity of the teachers were considered as main factors facilitating lessons. Both parents and teachers have mentioned the health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eachers’ expertise as the factors for limiting lessons. The factors of limiting the lesson mentioned only by the parents were the frequent substitution of teachers and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On the other hand, the factors that limit the lesson mentioned only by the teachers were the acceptance and limited expressiveness of the students, inappropriate behaviors and requests made by the parents, passive attitude of the parents, and lack of flexibility of the curriculum. Regarding the fourth theme which was relations between parents and teacher, the factors that maintains a good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and the teachers were the attitudes toward the children, age of the teachers, and the parenting experience of the teachers. Additionally, parents and teachers showed much respects toward each other. Meanwhile, parents and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due to communication problems and the attitudes of either the teachers or parents. Nevertheless, parents and teachers mentioned that mutual relationships between the parents and the teachers has a positive function, such as effective and efficient itinerant education in a home setting, promotion of emotional stability, increased ratio of participation in school events, and information exchange. Regarding the fifth theme which was satisfactions and limitations of itinerant education in a home setting, it was revealed that itinerant education in home settings had positive effects including the increase of the interactive behaviors of the students, occurrence of reaction to sounds, and recollection and application of content knowledg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Furthermore, parents were satisfied with the fact that their children would have a chance of public education through itinerant education in a home setting, receiving one-on-one lessons, and emotional stabilities for the whole family. Teachers were also satisfied with the fact that they were able to realize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or multiple disabilities, understood the students in an ecological aspect and improved skills in one-on-one teaching situations. However, parents and teachers felt frustrated regarding the hopelessness of futur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ceiving itinerant education in a home setting and lack of usable facilities outside home after they graduate. Regarding the last theme which was demands for the improvement of problems of itinerant education in a home setting, the participants pointed out student placement, teacher placement, number of class sessions, curriculum as problems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these problems. In addition, there were demands for facilitating transitioning from high school into adult life. It was also mentioned that in-service training for the teachers who provide itinerant education in a home setting is needed. In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as meaningful for the following two reasons. First of all, this study explored issues related to the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re receiving itinerant education in a home setting and entering the adulthood. Moreover, this study explored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the parents and teachers, who are the key persons in the educ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garding itinerant education, a type of segregated education.;우리나라의 재택·순회교육은 1963년부터 현재까지 약 5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그 수요가 계속 증가되고 있다. 재택·순회교육에 관련된 선행연구의 대부분은 조사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최근 재택·순회교육을 담당한 경험이 있는 교사 또는 재택·순회교육을 받는 자녀를 둔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소수의 인식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재택·순회교육을 받는 장애 고등학생을 자녀로 둔 학부모와 담당 교사의 인식과 실제적인 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택·순회교육을 받는 장애 고등학생의 학부모와 재택·순회교육을 담당하는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이를 질적 분석하여 재택·순회교육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경험과 인식을 살펴보며 우리나라 재택·순회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시에 거주하면서 재택·순회교육을 받는 장애 고등학생의 학부모 6명과 서울시에서 재택·순회교육을 담당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5명이다. 연구 참여자는 목적표집과 눈덩이 표집방법을 사용하여 선정하였고, 반 구조화된 면담 질문을 개발하여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특정 집단의 현상 및 경험의 본질을 탐구하는 것에 초점을 둔 해석 현상학적 접근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전사를 반복적으로 읽어 관심 영역을 기록하고, 연구 영역에 관련되고 부합하는 주제를 유사한 내용끼리 범주화 하는 과정을 순환적으로 거쳤다. 본 연구는 전문가들에게 지속적으로 검토되었고, 참여자 검토를 실행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6개의 대주제와 17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대주제는 첫째, 재택·순회교육의 시작, 둘째, 재택·순회교육의 배경 원인, 셋째, 재택·순회교육 수업, 넷째, 학부모와 교사의 관계, 다섯째, 재택·순회교육에 대한 만족과 한계, 여섯째, 재택·순회교육의 문제점 개선을 위한 요구이다. 첫 번째 대주제인 재택·순회교육의 시작과 관련하여 학부모들은 재택·순회교육에 대한 정보를 알기까지 어려움이 있었으며, 자녀의 건강, 환경적 요인, 보조 인력 부족 등의 이유로 재택·순회교육을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의 경우, 재택·순회교육에 대해 잘 모르다가 해당 학교에 부임하면서 알게 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두 번째 대주제인 재택·순회교육의 배경 변인과 관련하여 재택·순회교육의 수업 시간과 시수에 대해 학부모 6명중 4명이, 교사 5명 중 1명이 만족하고 있었고, 재택·순회교육이 이뤄지는 장소는 재택·순회교육을 받는 대상자가 거주하는 가정이었다. 이로 인하여 학부모들은 가정을 공개하는 것에, 교사들은 낮선 집을 방문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재택·순회교육에 필요한 교재·교구변인으로는 보조공학기기에 대한 만족과 필요성 및 학습자료 지원이 부족한 것에 대한 아쉬움이 드러났다. 세 번째 대주제인 재택·순회교육의 수업과 관련하여서는 수업을 촉진하는 요인과 제한하는 요인이 언급되었다. 학부모들과 교사들은 학습자에 대한 정확한 진단, 참여 기회의 보장, 학부모 의견 반영, 충분한 연습 기회의 제공, 학생의 정서적 안정감을 고려한 수업설계, 교사의 진실성을 수업 촉진의 주요 요인으로 언급하였다. 수업 제한 요인 중, 학부모와 교사가 공통되게 언급한 것은 장애학생의 건강, 교사의 전문성이었고, 학부모들만 언급한 제한 요인은 교사의 잦은 교체 및 교사와 학부모의 소통의 어려움이었으며, 교사들만 언급한 수업 제한 요인은 학생의 수용과 표현의 제한, 보호자의 부적합한 행동 및 부탁, 부모의 소극적인 태도, 교육과정의 융통성 부족이었다. 네 번째 대주제는 학부모와 교사의 관계에 대한 것으로, 학부모들이 교사들과 좋은 관계를 맺게 되는 변인으로는 자녀를 대하는 태도, 교사의 연령 및 교사의 자녀 양육 경험이었다. 또한 학부모와 교사는 서로에게 깊은 존경심이 있음이 드러났다. 반면, 학부모들과 교사들은 의사소통의 어려움, 교사의 태도, 학부모의 태도에 따라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부모들과 교사들은 서로의 좋은 관계를 통해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재택·순회 수업, 정서적 안정을 도모, 학교행사 참여율 증진, 정보 교환 등의 순기능이 있다고 하였다. 다섯 번째 대주제는 재택·순회교육에 대한 만족과 한계에 관련된 것이었다. 재택·순회교육이 재택·순회교육을 받는 장애 고등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로는 학생들의 상호작용 행동 증가, 소리에 대한 반응 발생, 학습내용 기억 및 적용이었다. 또한 학부모들은 재택·순회교육을 통해 자녀가 공교육의 기회를 갖고, 일대일 교수방법을 통해 수업 받을 수 있는 점과 가족이 정서적 안정감을 얻는 점에 만족하였다. 교사들은 재택·순회교육을 담당하며 중도·중복장애를 가진 학생들의 교육의 필요성을 깨닫고, 생태학적 관점에서 학생을 이해하게 되며, 일대일 수업에 대한 교수능력을 발전시키는 점에 만족하였다. 하지만 학부모들과 교사들은 재택·순회교육을 받는 장애 고등학생들의 미래에 대한 기대가 없음과 그들의 졸업 이후, 가정을 제외하고 이용 가능한 시설이 없는 막막한 심경을 드러내었다. 여섯 번째 대주제는 재택·순회교육의 문제점 개선을 위한 요구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학생배치, 교사배치, 시수, 교육과정 등의 운영과 관계된 측면의 문제점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고, 재택·순회교육 대상자의 고등학교 졸업 이후의 성인기로의 전환을 위한 지원 요구가 있었으며, 재택·순회교육 담당 교사를 위한 교사 연수 및 정서적 지원에 대한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본 연구는 재택·순회교육을 받고 있는 동시에 성인기 전환을 앞둔 장애 고등학생과 관련된 이슈를 고찰하였다는 점과 이들을 위한 교육의 핵심 관련자인 학부모와 교사 모두가 참여하여 분리교육형 순회교육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심도 있게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