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2 Download: 0

학습부진아 대상 음악 활용 연구 분석

Title
학습부진아 대상 음악 활용 연구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use of music for academic underachievement : From 1998 to 2015
Authors
윤소연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본 연구는 학습부진아 대상의 음악치료 연구를 위한 방향과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1998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에서 학습부진아를 대상으로 음악을 활용한 학위 논문 및 학술지 논문 총 32편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총 32편의 연구 중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26편(79%)으로 가장 많았으며 중·고등학교의 상급학교로 올라갈수록 연구의 숫자는 감소하였다.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 중 실험연구가 31편으로 전체의 91%를 차지하였으며 총32편의 연구 중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한 연구는 6편(19%)이었다. 연구 대상자의 기술 수준을 분석한 결과 학습부진 선별 기준을 제시한 연구는 17편(53%)이었으나 그 기준은 다양하였다. 총 32편의 연구 중 24편(75%)의 연구에서 연구 대상자의 학습부진 정도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 영역별 연구 현황 분석 결과 심리정서 영역 48%, 인지 영역 38%, 사회영역 14%을 차지하였으며 운동신체, 언어의사소통 영역의 연구는 부재하였다. 음악 활동은 노래 부르기, 노래 만들기, 악기 연주, 즉흥 연주, 감상 활동, 음악과 동작, 기타의 7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활동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요 및 가요를 활용한 노래 부르기 활동이 17편(53%)의 연구에서 사용되어 주된 활동으로 나타났다. 음악치료 전공자에 의한 연구는 음악의 요소 및 내용에 대한 분석 과정을 거치고 있으나 음악치료 비전공자에 의한 연구는 기존 곡을 그대로 제시하고 반복하여 사용하는 등 단순한 형태로 음악이 활용됨을 알 수 있었다. 음악 활동의 구성은 논거 제시여부, 음악의 활용 비중, 선곡의 주체, 음원의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학습부진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의 음악 활용을 분석하여 향후 음악 치료에서 치료적 관점의 접근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그 의의가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학습부진아를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의 전문성이 강조된 연구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view and analyze the use of music for academic underachievement in the literature. Peer-reviewed articles, these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from 1998 to 2015 were searched and a total of 32 studies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ost of the included studies (79%) targe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ile secondary school students were targeted less frequently. Experimental studies accounted for 91% of the total studies, and six studies (19%)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by music therapy majors. With regard to the criteria for screening, while 17 studies (53%) reported the inclusion criteria for academic underachievement, a little consistency was observed across the studies. Among studies, 75% did not assess the level of academic underachievement of participants. For target goal areas, social/emotional goals were targeted the most frequently (48%), followed by cognitive goals (38%) and social skills (14%). None of the studies targeted physical/motor and language/communication goals. With regard to the type of music therapy activity, singing children's songs or Korean popular songs was applied the most frequently (53%). There were 27 studies (84%) applying only music activity whereas five studies (16%) music with other type of activities. More than half of the included studies (53%) did not report the reasons for selecting a certain music therapy activity. Researcher-selected music was used in most of the included studies (91%) and 47% of the studies provided participants with music via MP3 and C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s baseline data on how music has been used for approaches to underachieving students. It would be used as useful resources when developing therapeutic approaches to academic underachievement of school-aged population. Future studies would be needed to evidence the therapeutic use of music in effectively addressing the needs of this popul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