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승희-
dc.contributor.author이혜림-
dc.creator이혜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5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698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1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6983-
dc.description.abstract장애학생의 교육적 배치를 넘어 장애학생에게 제공되는 교육의 질적 향상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수학교 내에서는 학생들의 능력의 편차나 문제행동, 신변처리 등의 문제로 인해 적절한 개별화된 교수를 제공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연령에 맞는 적절한 사회적 역할을 하는 데에 제한이 있어 청소년기 장애학생의 경우 일반 또래에 비해 낮은 자아존중감을 갖기 쉽다. 상급학생교수는 또래교수 영역의 하나로서 기능이 높고 나이가 많은 학생이 더 어리고 기능이 미숙한 학생을 교수하는 방법이다. 다수의 선행연구를 통해 상급학생교수는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에게 유의미한 학업적, 사회적 이익을 나타내었다. 지금까지는 대부분 장애학생이 학습자 역할만을 맡아왔지만 최근 장애학생도 구조화된 전략과 감독을 통하면 교수자로서 충분히 기능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에서 실행된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비디오 모델링 활용 상급학생교수가 중학생 학습자의 의복정리기술의 습득, 일반화, 유지에 미치는 영향과 상급학생 교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소재 특수학교 중학생 3명(학습자 역할)과 고등학생 1명, 전공과 학생 2명(상급학생 교수자 역할)이며 중학생 학습자 3명의 의복정리기술을 측정하기 위해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비디오모델링을 활용한 상급학생교수 중재는 연구자가 실시하는 상급학생 교수자에 대한 사전훈련 7회기와 실제로 상급학생 교수자가 학습자에게 1:1로 실시하는 의복정리기술 교수를 위한 상급학생교수로 이루어진다. 연구자는 상급학생 교수자에게 총 7회기의 사전훈련을 실시하여 상급학생 교수자가 교수내용과 단계, 전략을 익히도록 하였다. 이때에 상급학생 교수자가 모델로 등장하는 비디오 모델링 자료를 제작하였다. 이후 의복정리기술 교수를 위한 상급학생교수 중재를 실시하는데 상급학생 교수자가 자신의 짝인 학습자에게 비디오 모델링 전략, 시범 보이기, 연습시키기, 촉진 전략을 사용하며 과제분석단계에 따른 10가지 의복정리기술을 교수하였다. 일반화는 중학생 학습자의 집에서 가족의 의복으로 실시하였으며 유지는 일반화 종료 3주 후 실시하였다. 상급학생 교수자 3명의 자아존중감의 변화는 중재 전과 중재 후에 각각 측정하여 단순 비교하였으며 로젠버그(Rosenberg, 1965)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디오 모델링을 활용한 상급학생교수에 참여한 3명의 중학생 학습자 모두 의복정리기술을 습득하였으며, 이후 가정에서도 일반화 되었고 중재종료 3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둘째, 비디오 모델링을 활용한 상급학생교수에 참여한 3명의 상급학생교수자의 자아존중감이 중재 전보다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정형화되어있던 특수학교의 수업의 틀을 벗어난 새로운 형식의 교수법을 제공하였으며 장애학생도 훈련을 통하면 교수자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다는 점을 입증하였다. 또한 비디오모델링을 상급학생교수에 적용하여 실시한 것이 중재 효과를 높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 참여자의 수가 제한적인 점이나 상급학생 교수자 3명의 연령이 통일되지 못한 점, 기초선과 일반화, 유지의 촉진제공 기준이 달랐던 것이 제한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학교차원의 체계적인 지원과 함께 더 많은 수의 장애학생을 교수자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참여시키고 그들의 교수자로서의 행동 특성을 살펴보는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cross-age peer tutoring with video modeling conducted in special education school on the clothing organization skills of middle school tutees and on the self-esteem of older tutors. As seen in the experiment, the participants were from a special-education school. 3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younger tutee), 1 high school student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2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 majoring course (older tutor). In order to assess the 3 younger tutees’ clothing organization skills,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tilized. Using video modeling, cross-age peer tutoring was consisted of (i) 7 sessions of preliminary training about the older tutor, which was conducted by the researcher, and (ii) 1-on-1 cross-age peer tutoring to teach clothing organization skills with each younger tutee and older tutor. The researcher assisted the older tutors to learn the instructions, phases, and strategies by conducting the 7 sessions of preliminary training. The older tutor was used as a model for the production of the video modeling. Afterwards, cross-age peer tutoring was implemented and the older tutor paired up with their individual younger tutee to conduct video modeling strategy, demonstration, practice, and promote tactics while following the 10 variants of ‘clothing organization skills’ during the task analysis phase. Generalization conducted this clothing organization experiment by using the attires of the younger tutee’s family members at the tutee’s home, and the maintain was carried out three weeks after the generalization. The older tutor’s pre-test of self-esteem was conducted before the intervention, and the post-test was carried out after interventions. Rosenberg’s self-esteem scale was used for the self-esteem assessment and the result was simply compar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ting three younger tutees acquired the ability of ‘clothing organization skills,’ and this result was generalized throughout their home and the skill was maintained after three weeks post-intervention. Second, three older tutors’ self-esteem has increased compared to pre-intervention. This study provided new teaching methods by breaking the previously standardized class procedures of the special-education schools, and the tutor’s role could be sufficiently fulfilled by the handicapped student’s completion of the training. Also, applying the video modeling to cross-age peer tutoring has shown a significant increase in intervention effect. However this study can be limited by the fact that the restricted number of participants, the lack of age-consistency across the older tutors, and a necessary large school-wide support. Therefore, a systematic school-wide support coupled with participation of numerous handicapped students to foster their abilities to become tutors, and further research on related-studies of their behavior characteristics as tutors should be continu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C.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A. 상급학생교수의 개관 7 1. 또래 교수의 한 유형으로서의 상급학생교수 7 2. 장애학생이 참여한 상급학생교수의 효과 9 B. 장애학생을 위한 기능적 기술의 교수 11 1. 장애학생을 위한 기능적 기술의 영역 11 2. 비디오 모델링을 활용한 기능적 기술 교수 14 3. 비디오 모델링과 상급학생교수의 연계 15 C. 청소년기 장애학생의 자아존중감 17 1. 청소년기 장애학생의 자아존중감 특성 17 2. 또래교수를 통한 장애학생의 자아존중감 증진 19 Ⅲ. 연구 방법 21 A. 연구 참여자 21 B. 실험 기간 및 장소 25 C. 연구 도구 26 D. 실험 설계 및 절차 27 E. 자료수집 및 측정 36 F. 관찰자간 신뢰도 40 G. 중재충실도 41 H. 사회적 타당도 43 Ⅳ. 연구 결과 45 A. 비디오 모델링을 활용한 상급학생교수가 중학생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 45 1. 비디오 모델링을 활용한 상급학생교수가 중학생 학습자의 의복정리기술 습득에 미치는 영향 45 2. 비디오 모델링을 활용한 상급학생교수가 중학생 학습자의 의복정리기술 일반화에 미치는 영향 50 3. 비디오 모델링을 활용한 상급학생교수가 중학생 학습자의 의복정리기술 유지에 미치는 영향 51 B. 비디오 모델링을 활용한 상급학생교수가 상급학생 교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52 Ⅴ. 논의 및 제언 58 A. 논의 58 B.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65 1. 연구의 의의 65 2. 연구의 제한점 66 C. 제언 68 참고문헌 69 부록 78 ABSTRACT 11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6921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특수학교에서 실행된 비디오 모델링 활용 상급학생교수가 중학생 학습자의 의복정리기술과 상급학생 교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Cross-Age Peer Tutoring with Video Modeling Conducted in Special Education School on the Middle School Tutee’s Clothing Organization Skill and on the Older Tutor’s Self-esteem-
dc.format.pagevi, 11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