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혜-
dc.contributor.author이화영-
dc.creator이화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7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71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1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7149-
dc.description.abstract교사의 자질과 능력은 학생을 교육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며, 이런 자질과 능력은 교사의 지위와 권리를 보장받을 때 발휘하게 된다. 그러나 최근 학교현장에서 교권침해 발생률은 증가하는 반면, 교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낮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교권은 여러 법에서 보장되고 있듯이 학생의 교육활동을 지도하고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다. 무엇보다 특수교사가 학생을 교육하는 데 있어서 지위와 권리를 보장받았을 때, 질적으로 높은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특수교사가 경험하는 교권침해 실태와 그로 인한 영향, 그리고 그들이 느끼는 지원요구를 분석하여 필요한 지원을 제공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의 교권침해 경험의 실태와 교권침해 경험이 서울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 교권침해에 대한 예방 및 지원 요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를 모집단으로 하여 전수조사를 실시하였으며, 84개교의 학교에 244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169부를 회수하였다. 설문지 회수율은 69.26%였으며, 이 중 분석이 불가능한 설문지 9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총 160부를 통계처리 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문항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분석을 실시하였고, 교사 변인에 따른 교권침해 유무 차이와 교권침해에 따른 교권침해 인식 정도 및 예방 및 지원 요구 차이는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70%(112명)는 고등학교에서 발생하고 있는 교권침해에 대한 정도를 보통 이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교권침해를 경험한 교사는 51.9%(83명)로 나타났다. 전체 연구 참여자 48.1%(77명)가 교권침해가 발생한 경우 해결 주체로 학교관리자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으며, 알고 있는 교권 처리 단체로는 서울특별시교육청 교권보호지원센터(중복응답: 43.1%, 69명)가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교권침해 원인은 특수교육 업무에 대한 이해 부족(중복응답: 61.4%, 51명)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교권침해 주체는 학부모(중복응답: 85.5%, 71명), 교권침해 형태는 학생지도 간섭 및 폭언․욕설․협박(중복응답: 54.2%, 45명), 발생 장소는 교실(중복응답: 57.8%, 48명), 발생 시간은 교사 개인 업무 시간(중복응답: 56.1%, 46명)으로 나타났다. 83명의 교사 중 교권침해 처리 관련 절차를 시행한 교사는 5명(6.0%)뿐이었으며, 처리 절차를 실행하지 않은 78명의 교사는 대응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 것(28.2%, 22명)으로 나타났다. 처리 절차를 실행한 5명의 교사는 모두 교권침해 처리 과정에서 불편함을 느꼈으며, 처리 과정에서 당하는 자존심 훼손과 교권침해 주체의 저항이나 방해에서 높은 평균을 보였다. 또한, 교권침해 처리과정 만족도는 보통 2명(40.0%), 매우 불만족 2명(40.0%), 만족 1명(20.0%)으로 나타났으며, 관리자 및 주변인은 대부분 적극적으로 도와준 것(80.0%, 4명)으로 나타났다. 교권침해 발생 시 대응 및 처리 과정을 실시한 교사 모두 학교관리자에게 해결을 요청하여 처리(중복응답: 100.0%, 5명)하였으며, 교권침해 대상자의 조치로는 특별 교육 및 프로그램 수강 조치(40.0%, 2명)를 하거나 공식사과 및 합의(40.0%, 2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교사배경 변인에 따른 교권침해 유무를 교차 분석을 실시 한 결과, 고등학교 특수학급 근무경력에 따른 차이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력이 낮은 교사보다 경력이 많은 교사가 교권침해 경험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권침해 유무에 따른 서울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가 생각하는 교권침해 인식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교권침해를 경험한 교사가 교권침해를 경험하지 않은 교사보다 현장에서 발생하는 교권침해의 정도를 더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교권침해를 경험한 83명을 대상으로 교권침해 경험이 서울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에서는 회수된 설문지에 결측값이 있어 계열평균으로 통계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교직 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교직에 대한 회의감이 평균 2.3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신체 및 심리․정서에 미치는 영향은 과민과 급격한 피로감, 풀리지 않는 답답함이 평균 2.4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교권침해 경험으로 인하여 나타난 대처 회복 노력으로는 동료교사와 대처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평균 2.0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권침해 경험에 관한 서울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지원요구에서 전체 연구 참여자의 80.6%가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 제공하는 2015년도 교권보호 기본 계획에 대해 모른다고 응답하였다. 교권침해 예방 요건으로 법률 및 제도적 장치의 강화가 평균 2.73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전체 연구 참여자의 91.9%(147명)가 교권보호 연수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교권보호 연수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147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교권보호 연수 실시 형태와 교권보호 연수 실시 방법을 물어본 결과, 자격연수, 직무 연수 등 교원연수로 실시(53.1%, 78명)하는 것과 교육청 연수 기관에서 실시(58.5%, 86명)하는 것에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교권침해에 대한 보호 요건으로 가장 먼저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은 교권침해 예방, 발생, 대처방법에 대한 정보(57.5%, 92명)였다. 교권침해에 대한 처리 과정에서의 지원 요구는 효율적인 처리 방안과 필요한 지원 내용, 필요한 지원 제공 주체로 나누어서 보았는데, 전체 응답 교사의 51.3%(82명)가 학교 교권보호 위원회를 통한 처리에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또한, 필요한 지원 부분은 법률적 자문 제공(27.5%, 44명)이, 필요한 지원 제공 주체는 교육청(63.3%)이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교권침해 유무에 따라 교권침해 예방 및 처리 과정에서의 교차 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서울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교권침해 경험의 실태와 서울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 교권침해에 대한 예방 및 지원 요구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교권침해 경험의 실태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울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교권침해에 대한 예방 및 지원요구를 확인하여 정책의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The qualities and competences of teachers are highly important to educate students, which can be fully exercised when the status and rights of teachers are secured. However, the occurrence of teacher’s authority violation recently increases in the fields of education, and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eacher’s authority decreases. As guaranteed in a variety of laws, teacher’s authority is a critical element to instruct educational activities of students and perform their duties. Above all, given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can provide high-quality education only when their educational status and rights are secured,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s of teacher’s authority violation experience and their influences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offering necessary support related to their needs is required.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associated situations, their influences, and the needs with respect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high schools in Seoul. Complete enumeration survey was performed targeting special education classes in Seoul. 244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in 84 schools and 169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69.26%). Except for 9 questionnaires that defied analysis, total 160 questionnair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analysis on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was conducted depending on the items. And in terms of the differences of the awareness level and the demand of prevention and support for teacher’s authority violation according to teachers’ variables, cross-analysis was conduc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70% (112 teachers) of the teachers of high school special class in Seoul perceived that the level of teacher’s authority violation in high school was more than the average figure. It was found that 51.9% (83 teachers) experienced teacher’s authority violation. And 48.1% (77 respondents) teachers most frequently selected their school managers as the settlement subject when the violation occurred. As their acquainted organization for the violation issue, the answer of Teacher’s Right Support Center in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had the highest rate (43.1%, 69 respondents including overlapped responses).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the violation of teacher’s authority seemed to be derived from lacking the understanding of special education (61.4%, 51). The most frequently answered subject of the violation was parents (85.5%, 71). The type of the violation was the interference of student education and violent language, insulting, threatening (54.2%, 45). The place and time of the violation was classroom (57.8%, 48) and private working hours of teacher (56.1%, 46). Among 83 teachers, only 5 teachers (6%) went through the violation-related process. 78 teachers who did not take action answered that they felt no necessity (28.2%, 22). All of the 5 teachers who went through the process felt uncomfortable during the process, which showed higher average on the self-esteem damage (2.40) and the resistance or disturb of the subject of the violation (2.40) during the process. Moreover, regarding the satisfaction level, two (40.0%) answered ‘usual’, two (40.0%) answered ‘highly unsatisfied’, and one (20.0%) answered ‘satisfied’. Their managers and surrounding people generally helped them in an active way (80.0%, 4). In terms of reacting and processing the violation,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requested their school managers for the settlement (100.0%, 5). In terms of the measure for the violation subject, participating in specific education and program (40.0%, 2) and formal apology and agreement (40.0%, 2) was most frequent. According to the cross-analysis on the experience of teacher’s authority violation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of high school special class in Seoul, it was revealed that th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working career in high school special class wa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In other words, teachers with more working career experienced teacher’s authority violation more than teachers with less working career. Furthermor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awareness levels of teacher’s authority violation of high school special class in Seoul in accordance with the experience of the violation.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teachers with the experience of the violation had more serious awareness on the level of the violation than teachers without the experience of the viol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s. Second, regarding the influences of the violation experience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high school classes in Seoul,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for 83 teachers who experienced the violation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affiliation average due to missing values. The findings revealed that skepticism was the highest among the influences of the violation on teaching job (2.39 on average). As the physical and emotional influences, excessive sensitivity, rapid fatigue, constant pressure was the highest (2.41 on average). Regarding the relevant coping efforts, examining coping strategies with colleague teachers was the highest (2.03 on average). Third, regarding the support needs, 80.6% of the total participants of the study answered that they were not aware of the 2015 Master Plan for Teacher’s Authority provided by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For the preventing requirement of the violation, strengthening legal and institutional methods were most frequently responded (2.73 on average). 91.9% of the total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 training for teacher’s authority is necessary. 147 teachers who felt the necessity of the training answered that the types and methods they wanted were teacher training including qualification training and job training (53.1%, 78) and Education Office-conducting training (58.5%, 86). The priority for the protection requirement for the violation was put on the information of prevention, occurrence, coping method of the violation (57.5%, 92). The supporting needs in the action process were investigated into three categories: effective processing method, required support, required support-providing subject. 51.3% (82) of the total respondents showed high respond rate in dealing with the issue through school committee for teacher’s authority. Legal advice provision (27.5%, 44) for the required support, Education Office for the required support-providing subject (63.3%) was highly ranked.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cross-analysis of support needs in the process of preventing and dealing with the violation and its experience,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The study confirmed the current situations of teacher’s authority violation and their influences and the needs for the prevention and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classes in high schools in Seoul, which can be utilized as a basic material for the relevant polic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7 C. 용어의 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9 A. 교권의 개념과 교권침해 9 1. 교권의 개념과 법적 근거 9 2. 교권침해의 정의와 유형 13 3. 교권침해 관련 선행연구 17 B. 교권의 보호 25 1. 교권보호 방안 관련 동향 25 2. 교권보호 방안 관련 선행연구 30 Ⅲ. 연구 방법 33 A. 연구 참여자 33 B. 연구 도구 35 C. 자료 수집 40 D.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41 Ⅳ. 연구결과 44 A. 서울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교권침해 경험의 실태 44 B. 교권침해 경험이 서울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 59 C. 교권침해 경험에 관한 서울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지원 요구 62 Ⅴ. 논의 및 제언 71 A. 논의 71 B. 제한점 83 C. 제언 84 참고문헌 86 부록 94 부록 1. 내용 타당도 검증 및 예비 조사 후 수정된 내용 95 부록 2. 설문지 98 부록 3. 예비조사 - 교권침해 경험, 영향, 예방 및 지원요구에 대한 기타 의견 110 부록 4. 교권침해 경험의 실태 기타 의견 111 부록 5. 교권침해로 인한 영향 기타 의견 113 부록 6. 교권침해에 대한 예방 및 지원요구 113 부록 7. 본조사 - 교권침해 경험, 영향, 예방 및 지원요구에 대한 기타 의견 114 ABSTRACT 11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7677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서울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교권침해 경험의 실태와 교권보호 지원 방안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urrent situations of teacher’s authority violation experience and supporting plans to protect teacher’s authority of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classes in Seou-
dc.format.pageviii, 11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