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0 Download: 0

대학생의 교양무용수업 참여유무에 따른 무용인식수준 및 무용소비행동 차이분석

Title
대학생의 교양무용수업 참여유무에 따른 무용인식수준 및 무용소비행동 차이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n level of dance awareness and dance-related consump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participate in liberal arts dance class
Authors
조은희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함정혜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교양무용수업 참여유무에 따른 무용인식수준 및 무용소비행동을 분석하여 대학교양무용수업이 대학생의 무용인식수준 및 무용소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5곳을 선정하여 대학교양무용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생과 참여하지 않는 대학생 3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7부를 제외한 320부를 IBM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연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과 경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무용인식수준과 무용소비행동 설문지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Varimax 방법을 이용하였고,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 를 이용하였다. 대학교양무용수업 참여유무에 따른 무용인식수준 및 무용소비행동을 분석하기 위해 t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대학교양무용수업 참여유무에 따른 무용인식수준 및 무용소비행동을 분석해 본 결과, 무용인식수준의 하위요인인 공연적 요인, 무용교육 활성화 요인, 심리적 요인에서 대학교양무용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생이 참여하지 않는 대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반면 신체적 요인은 대학교양무용수업에 참여하지 않는 대학생이 참여하는 대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무용소비행동은 모든 소비행동에서 대학교양무용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생이 참여하지 않는 대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교양무용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무용인식수준 및 무용소비행동을 분석해 본 결과, 성별에 따른 무용인식수준은 공연적 요인을 제외하고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무용소비행동은 모든 요인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무용인식수준은 신체적 요인을 제외하고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무용소비행동은 모든 요인에서 1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공계열에 따른 무용인식수준은 모든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무용소비행동의 하위요인인 무용관람소비행동과 무용용품소비행동에서 예체능계열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교양무용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생의 경험적 특성에 따른 무용인식수준 및 무용소비행동을 분석해 본 결과, 수강횟수에 따른 무용인식수준은 무용교육 활성화 요인에서만 3회이상 수강이 1회수강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무용소비행동은 모든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강유형에 따른 무용인식수준은 공연적 요인을 제외하고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무용소비행동은 모든 요인에서 포크댄스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무용인식수준과 무용소비행동의 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무용인식수준의 하위요인 간, 무용소비행동의 하위요인 간에 정적상관을 보였다. 특히 무용인식수준의 하위요인인 공연적 요인은 무용소비행동의 하위요인인 무용관람소비행동과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무용소비행동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 또한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교양무용수업이 대학생의 무용인식수준과 무용소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생에게 대학교양무용수업을 다양하게 제공하여 무용을 바르게 인지시키고 적합한 무용소비행동을 권장해야 할 것이다. 나아가 대학생의 필요와 요구에 적합한 무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문적인 무용 지도자 양성을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대학생이 무용을 건전한 문화로 영위하게 함으로써 대학생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무용의 활성화와 함께 무용의 대중화를 실천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e research involved analysis of 320 college students at 4-year universities with an aim to investigate effect of liberal arts dance instruction on college students’ level of dance awareness and dance-related consumption behavior. Survey questionnaires were formulated and utilized as main apparatus for this investigation. Various statistical methods, which include t-test, one-way variance analysis, post analysis, were applied on data obtained from the survey questionnaires and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irst,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liberal arts dance class exhibited higher level of dance awareness and dance-related consumption behaviors overall in comparison to those otherwise. Second, although personal characteristics did not seem to have significant impact on level of dance awareness overall, dance-related consumption behavior was shown to be higher among female subjects than male subjects, and the 1st year college students showed higher dance-related consumption behavior than the rest. Also, students who majored in arts or physical educations exhibited the highest level of dance-related consumption behavior. Third, while varying background characteristics were not shown to make significant difference in level of dance awareness, folk dance, as one of many forms of instruction, revealed the lowest level of impact on dance-related consumption behaviors. Last,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level of dance awareness and dance-related consumption behavior revealed positive relationships both among subfactors of level of dance awareness and among subfactors of dance-related consumption behaviors. Through this research, college students’ participation in liberal arts dance class was examined, and it became evident that liberal arts dance class make positive impacts on college students’ level of dance awareness and dance-related consumption behaviors. Therefore, it is arguable that wide range of liberal arts dance classes should be made available to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cultivate appreciation of dance, and that dance-related consumption behaviors should be encouraged. Likewise, it is imperative to provide college students good learning environment by developing dance programs that meet students’necessities and expectations and by producing outstanding professional dance instructors. Such efforts may not only improve students’ qualities of life and make them become culturally enriched members of society, but they will also help realize invigoration and popularization of dance in our soc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