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남시-
dc.contributor.author최연서-
dc.creator최연서-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2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68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8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6823-
dc.description.abstract새로운 시대의 도래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인간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시대가 요구하는 능력을 파악하여 교육할 필요가 있다. 현대 문명사를 수학방정식으로 표현한 이어령(2008)은 원시 시대를 1차 방정식 시대, 수렵 농경기 시대를 2차 방정식 시대, 산업 사회를 3차 방정식 시대, 현대의 지식기반 사회를 4차 방정식 시대, 미래 사회를 5차 방정식의 시대로 기술하였다. 미래사회에 해당하는 5차 방정식은 기존의 대수공식으로는 풀 수 없다는 것을 20세기 초 프랑스 수학자인 갈루아가 증명하였으므로 미래사회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문명사회에서 사용하던 지식이나 기능, 사고 방법이 아닌 창의적인 사고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창의성의 육성을 위해 현 정부는 창의력을 경제의 핵심 가치로 두는 창조경제를 최우선 국정운영 전략으로 강조하며 교육을 통한 창의 융합 인재 양성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를 반영하여 2009개정, 2015개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발상과 도전으로 창의성을 발휘하는 창의적인 사람을 인재 상으로 제시되어 있다. 미술 교과는 창의성과 개성의 발달시킨다는 점에서 창의 인재 육성에 적합한 교과이지만 학교 미술 교과의 창의성 교육의 실시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손지현(2011)은 학교 미술 교육이 창의성이 길러주고 미술이 창의적 산물과 동일하다는 막연한 낭만주의적 사고가 미술 교과의 창의성 연구를 저해한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미술 교과서의 한정적인 발상 기법은 현 교육 현장에서 창의적 사고를 위한 발상 교육이 소홀히 다뤄지고 있는 문제점을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 교과에서 창의성 교육의 실시를 위한 수업 연구로 비주얼브레인스토밍 기법을 활용한 미술 수업을 개발하고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한다. 미술 수업에서 창의적 사고 기법의 활용이 학습자의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과 미술 수업에서 비주얼브레인스토밍 기법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창의성과 창의적 표현력, 창의적 사고기법, 비주얼브레인스토밍 기법,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의 발상 교육과 디자인 교육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고등학교 미술수업에서 비주얼브레인스토밍 기법의 활용 방안과 교육적 의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교과서 분석을 바탕으로 발상 단원과 디자인 단원을 선정하여 비주얼브레인스토밍 기법을 적용한 연구 수업 도구를 마련하고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위치한 D고등학교 1학년 두 학급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 36명, 통제집단 36명으로 총 7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동질성 검사를 통해 동질성을 검증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비주얼브레인스토밍 기법을 활용한 미술 수업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미술수업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 간의 창의적 표현력에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창의적 표현력 검사 도구는 한국 교육과정 평가원의 ‘국가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기준 및 도구개발 연구’(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8)와 용재현(2008)의 연구에서 사용한 창의적 표현력 평가도구를 수정, 보완한 윤성연(2013)의 연구, 박민경(2014), 이송현(2015)의 연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측정 결과는 수집된 자료를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0.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통해 전산 통계 처리하고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이끌어 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주얼브레인스토밍 기법을 활용한 미술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주제표현을 구성하는 모든 창의성 요소에서 전통적인 미술 수업을 받은 학생들보다 더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둘째, 비주얼브레인스토밍 기법을 활용한 미술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표현방법을 구성하는 모든 창의성 요소에서 전통적인 미술 수업을 받은 학생들보다 더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셋째, 비주얼브레인스토밍 기법을 활용한 미술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조형요소와 원리를 구성하는 모든 창의성 요소에서 전통적인 미술 수업을 받은 학생들보다 더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넷째, 비주얼브레인스토밍 기법을 활용한 미술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표현재료와 용구를 구성하는 모든 창의성 요소에서 전통적인 미술 수업을 받은 학생들보다 더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다섯째, 비주얼브레인스토밍 기법을 활용한 미술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수업 만족도 조사에서 전통적인 미술 수업을 받은 학생들보다 전체적인 만족도가 높았다. 여섯째, 비주얼브레인스토밍 기법을 활용한 미술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수업 만족도 조사에서 비주얼브레인스토밍 기법을 활용한 미술 수업에 대한 전체적인 만족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비주얼브레인스토밍 기법을 활용한 미술 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창의적 표현력과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알 수 있었으며 미술 수업에서 비주얼브레인스토밍 기법의 활용 가능성과 가치를 검증할 수 있었다. 앞으로 미술 교과에서 발상과 표현 영역이 연계된 다양한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한 미술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Education reflects the era's need. To enlighten humans who to be able to handle the new era's need properly, we should grasp what new era needs and educate students properly. Modern society is a knowledge-based society, which advances to the future's creative society, which needs one not to be ordinary but to be creative thinker. Korean government emphasize on creative economy. A creative economy comes from creative education. The National Art Education Curriculum Revision in 2009 and 2015 present the role model highlights creativity. Art subject is considered as an appropriate curriculum for enhancing student's creativity or individuality. The creativity education of Art Curriculum emphasizes on helping students improve the ability to creatively express their ideas about given themes. Current art education in school focuses on an outcome that is resulted by expression techniques because creativity is expression's by-product. However, creativity is not by-product. Creativity should be thaught through idea training by thinking creatively. Among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visual-brainstorming allows students to think freely on a specific theme. Therefore, this study searches for a solution on how to assist students on practicing their creatively at Art class in high school. For that, this study observes the class of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and it aims at investigating the effect of applying visual-brainstorming technique on the student's achievement in creative expressio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verify a hypothesis. The hypothesis is that an art program based on visual brainstorming technique have a positive effects high school student's creative expressivenes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as the following. First of all, this study explains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creativity and the creative expression, the concept and type of creative thinking technique, and the concept and process of visual-brainstorming technique, idea training, and design education in National Curriculum by analyzing literature reviews. Also, this study made a lesson plan by applying visual-brainstorming technique from analyzing textbooks. This study was conducted 7 times, 50 minutes for each class at the D High School located at Suseong-Gu, Daegu.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72 students. The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was 36 students, as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rest 36 students were in the control group for verification. This study conducted equivalence check o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verified two group's equivalenc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Pictogram poster design by applying visual-brainstorming technique, and control group was taught conventional technique. After teaching these techniques, the study undertook a survey to check class satisfaction. In addition, to find out the difference on creative expression between the two groups, this study used creative expression checklist, which have the assessment standards. Conclusion of the study is drawn out by running SPSS v. 20.0 statistical software.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the following. First, students who took the art class applied with the visual-brainstorming technique received superior evaluation in every creativity elements that construct the expression of themes. Second, students who took the art class applied with the visual-brainstorming technique received superior evaluation in every creativity elements that construct the expression methods. Third, students who took the art class applied with the visual-brainstorming technique received superior evaluation in every creativity elements that construct the modeling elements and principles. Fourth, students who took the art class applied with the visual-brainstorming technique received superior evaluation in every creativity elements that construct the materials of expression. Fifth, students who took the art class applied with the visual-brainstorming technique had higher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art class than students who took the art class applied with traditional technique. Sixth, students who took the art class applied with the visual-brainstorming technique showed high degree of satisfaction with art clas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rt class applied with the visual-brainstorming technique has positive effects on fist-year high school student's creativity expression and class satisfaction. The study's finding is meaningful since it verifies visual-brainstorming to be useful and has potential for its utilization in art class. Furthermore, by acknowledging the need of art class on idea training and creative thinking, various kinds of art classes on visual-brainstorming should be develop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4 A. 창의성과 창의적 표현력 4 1. 창의성 4 2. 창의적 표현력 7 B. 창의적 사고기법 8 1. 창의적 사고기법의 개념 및 유형 8 2. 비주얼브레인스토밍 기법 15 C. 고등학교 발상 교육과 디자인 교육 23 1.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발상 교육 23 2.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디자인 교육 26 3. 미술 수업에서 비주얼브레인스토밍 기법의 교육적 의의 29 Ⅲ. 연구방법 30 A. 연구대상 및 절차 30 1. 연구대상 30 2. 연구절차 36 B. 연구도구 38 1. 수업도구 38 2. 평가도구 79 C. 자료의 처리 및 분석 83 Ⅳ. 연구결과 및 논의 85 A. 연구결과 85 1. 창의적 표현력 효과 검증 85 2. 수업만족도 분석 91 B. 논의 103 Ⅴ. 결론 106 참고문헌 109 부록 112 ABSTRACT 14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6184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비주얼브레인스토밍 기법을 활용한 미술 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Art Class Using Visual-Brainstorming Method on High School Freshmen's Creative Expressiveness-
dc.creator.othernameChoi, Yeon Seo-
dc.format.pagevii, 145 p.-
dc.contributor.examiner김효정-
dc.contributor.examiner강윤정-
dc.contributor.examiner김남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