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윤정-
dc.contributor.author서강현진-
dc.creator서강현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0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68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8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6829-
dc.description.abstract역사는 ‘오늘의 거울’이라는 말이 있듯이 오늘날 역사라는 분야는 과거의 기록에서 벗어나 그 분야의 근본을 일깨워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매체의 발달로 인하여 이미지 정보가 넘치는 오늘날 매체마다 다르게 활용되는 이미지에 대하여 ‘올바른 본질의 파악’은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전달과 평가를 하는데 반드시 거쳐야 할 필수과정과 같다. 이에 미술의 역사는 현재 다(多)매체 비주얼커뮤니케이션(visual communication) 시대에 있어 그 정보의 내용, 전달 방법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 등에 대하여 다양한 가이드를 제시하는 보고라고 볼 수 있다. 오종우(2015)는 『예술수업』에서 예술을 통해 인식하고 해석하는 능력을 키워 창의성을 발현한다고 하였는데, 특히 본질을 어떻게 보고 해석하는지에 따라 삶의 질이 달라진다고 하였다. 2009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감상영역 내용체계에서 ‘미술사’와 ‘미술비평’을 통해 올바른 감상능력을 기르고 현대사회에서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사고능력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는 역량으로 미술과의 특성을 구체화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교육현장에서는 여전히 표현활동과 실기위주의 미술교육으로 편중되어 있고, 감상교육에서 ‘미술사’나 ‘비평’교육과 같이 예술을 보고 해석, 평가하는 수업이 제대로 운영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박동윤, 1997; 송은주, 1997; 최윤강, 2008 외). 본 연구의 목적은 감상 수업에서 미술사 지도에 대한 학교교육의 현재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감상수업을 위한 미술사 지도의 활성화 방안을 찾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초등학교 미술 감상수업의‘미술사 지도’에 대하여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현장을 알아보고 효율적인 감상 수업을 위한 미술사 지도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감상과 미술사에 대한 문헌연구와 선행연구의 이론적 고찰 후, 2009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감상영역에 대한 내용체계와 현행 초등학교 5·6학년 미술 검정교과서 5종을 분석하였다. 둘째, 연구도구의 설문지 문항 구성을 신해승(2001), 박소윤(2004), 김현미(2010), 김혜원(2015)의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 문항구성을 참고로 재구성하여 5인의 현직초등교사, 1인의 교육전문가와 함께 5차의 수정을 거쳐 1차 설문지 개발, 1차 설문의 결과에서 핵심내용을 추출하여 1인의 교육전문가와 3차의 수정을 거쳐 2차 심층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셋째, ‘초등학교 5·6학년 감상 수업 안에서의 미술사 지도에 관한 실태’를 묻는 설문지를 5·6학년 교사들을 대상으로 1차 설문지와 2차 심층설문지의 배포, 수집과 심층면담 후 수집한 자료처리는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인공지능시대에 지혜가 기반이 되는 교육이 필요한 시점에서 ‘미술사 지도’가 바탕이 된 ‘감상교육’이 시대변화의 전반적인 이해와 소통을 돕고 인문학적 소양을 길러주기 위한 것으로써 결과중심 미술교육에서 벗어날 수 있는 미래교육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2009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감상영역 내용체계로 제시되어 있는 ‘미술사’가 현행 5종 검정교과서 분석 결과에서도 일정 부분 교육과정으로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초등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감상 수업안의 미술사 지도 실태는 지도의 필요성은 알고 있으나 미술사 뿐 만이 아니라 감상수업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미술사 수업을 지도하는데 주로 가르치는 내용은 작가와 작품에 대한 설명이 주로 많았으며 다음 순으로 미술사의 특징이나 경향을 시대별로 설명한다고 응답하였는데 여전히 초등학교 과정의 미술사에 대한 개념을 감상의 이해를 돕는 역할이라고 생각하기보다 미술사의 개념을 별도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학생들 수준에 맞는 전문성을 띤 지도 방법의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넷째, 초등학교에서 효과적 감상 수업을 위한 미술사 지도방법으로 교사들은 ‘미술교과 전담과 담임이 운영’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응답한 수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교사가 전문성을 가질 수 있도록 이해하기 쉽게 구성된 미술사 기반의 지도서 개발이 필요하다는 의견이었으며 2009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이 적용된 5종 미술 검정교과서 중 금성출판사에 수록된 내용을 일부 추출하여 예시로 미술사가 바탕이 된 이야기 형식의 교사용 지도서를 제안한 결과 심층대상자 13명 모두 좋다는 응답으로 미술사 기반의 지도서 개발이 교사들에게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2명의 경력교사를 통한 심층면담에서는 학교현장에서 실제로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미술교육과 한계점 및 감상 수업을 위한 ‘미술사 지도’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교사들의 미술에 대한 인식전환과 교사자기계발이 우선적으로 필요하고 교사를 위한 지도서와 연수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학생들에게 가치 있는 미술수업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초등학교 미술 감상수업에서 미술사 지도의 활성화는 교사들의 인식과 전문성에 따라 달라지며 미술사 수업 전반에 걸쳐 교사의 역량에 따라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표현, 실기 활동 위주의 결과중심 수업이 아닌 미술의 가치와 본질에 대하여 먼저 이해하고 생각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기 위해서 미술사 지도가 바탕이 된 감상수업이 필요하다는 것을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었지만 실제로 수업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점에 대하여 교사들의 전문성을 위한 여러 다양한 방법들이 모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기존의 도구적 교육의 반복인 학습의 패러다임에 전환이 필요한 현재 디지털 미디어 세대들에게는 지혜가 바탕이 된 인성을 통해 창의력을 기를 수 있기 위해서 초등학교 미술 감상 수업에서 미술사 지도가 바탕이 되어 이해를 높이는 수업이 된다면 바르게 보는 능력과 함께 단순한 지식을 습득하는 것에서 벗어나 통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지혜가 겸비된 인재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There's a word saying that History is "The mirror of today", which emphasizes its significant role as not only the record of past, but presenting the root of the branch. As for the images that are differently utilized by media today due to development of media, the "grasping correct root" is an essential process of correct and quick information delivery and evaluation. The History of Art is the report of providing various guide in the period of multi-media visual communication about how to understand and utilize the content and delivery of information. In 『Arts class』 by OJongWoo(2015), it says by developing the ability to recognize and interpret Art can reveal the creativity, especially, by learning how to interpret the essence will eventually change the quality of life. The curriculum of Art appreciation in 2009 revision for Art education guideline specified the characteristic of fine arts by improving correct appreciation ability by learning ‘Art history’ and 'Art criticism’, thinking ability to lead humane life in modern society, and desirable personality. Nevertheless, the current field of education still lean too much on Art education concentrating on expression activity and practices rather than focusing on Art education consist of interpretation, evaluation of art such as ‘Art history’ and ‘Criticism’ education(Park Dong Yoon, 1997; Song Eun Ju 1997; Choi Yoon Kang, 2008 ot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nd of school education regarding Art history education in appreciation class and to find activation plan of Art history education with efficient appreciation class. Therefore the study proposes to understand the education field subjecting the teachers about ‘Art history education’ of Art appreciation instruction in elementary school and activation plan of Art history education with efficient appreciation class. The study method is as follows. First, after theoretical speculation of literature and advanced study of appreciation and Art history, Art appreciation in 2009 revision for Arts education guideline and the 5 types of 5th and 6th grade fine arts textbooks were analyzed. Second, the questionnaire used in Shinhaeseugn(2001), Parksoyoon(2004), Kimhyunmi(2010), and Kimhyewon(2015) were referred for creating survey questionnaire as study tool, revised for 5 times by 5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1 educational expert to develop the 1st questionnaire. The core contents of the 1st questionnaire were extracted, revised 3 times by 1 educational expert to develop 2nd in-depth questionnaire. Third, 1st and in-depth 2nd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the 5th and 6th grade teachers asking "current situation of Art history education in appreciation class of elementary 5th and 6th grade", conducted collection and in-depth interview,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by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heoretical speculation verified that at the tim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Appreciation education’based on ‘Art history education’is the future education which is not just result-oriented Art education but the education which improves the liberal art knowledge and general understanding toward the transition of the period. Second, as for the analysis result of current 5 types of textbook, the "Art history" provided as the part of 2009 revision for Art education guideline was not conducted well at the actual class even though the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to Art history education and appreciation class in elementary school. Third, when teaching Art history, the class mostly consists in the order of the artist and piece explanation, characteristic of Art history and periodical trend. Still, the concept of Art history was separated from the concept of helping appreciation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it verified there was no solution for professional education method fit for students. Fourth, the most frequent answer about Art history education method for efficient appreciation class of the teachers was ‘running class by professional fine arts class teacher'. Also, there was an opinion that the education guideline based on Art history which enables the teachers to easily understand the professional content. When presenting teacher guideline in story telling type as an example extracting parts of Gumsung publication text book, the one of the 2009 revision for Art education guideline, all 13 in-depth study subjects all answered good, which verified that developing education guideline based on Art history can be great help to teachers. Fifth, as to solve the difficulty in‘Art history education’for appreciation class and limited Art education recognized by teachers at the actual field of school education found in the in-depth interview with 2 career teachers, the recognition change of teachers toward arts, and self-improvement of teacher was needed in priority while the development of guideline and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followed to create valuable art class to students. In conclusion, the vitalization of Art histo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rt appreciation class depend upon the awareness and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nd it influences students by the ability of teacher throughout the class. Even though the teachers were aware of the necessity of appreciation class based on Art history education to develop student's ability to understand and think about value and essence of Art, not with the class focusing on results with expression and practice activity, but the fact that actual class is not conducted verified that more diverse methods for teacher's professionalism were needed. In order to develop creativity based on wisdom to current digital media generation who need transition in studying paradigm of existing repetitive instrumental education, the elementary school Art appreciation class should be based on the Art history education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students so that the students can grow into personnel with not just simple knowledge obtained by school, but with insightful wisdom and ability to see in right perspectiv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 5 Ⅱ. 이론적 배경 7 A. 미술 감상의 이해와 교육적 의의 7 1. 미술 감상의 이해 7 2. 미술 감상의 교육적 의의 8 B. 미술사의 개념과 미술사 교육의 필요성 14 1. 미술사의 개념 14 2. 미술사 교육의 목적과 필요성 17 C. 초등학교 미술 감상수업과 미술사 지도 25 1.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감상과 미술사 25 2. 초등학교 미술 감상수업에서 미술사 지도의 의의 35 Ⅲ. 연구방법 50 A. 연구대상 50 B. 연구절차 59 C. 연구도구 61 D. 자료 처리 및 분석 63 Ⅳ. 결과 및 논의 64 A. 연구결과 64 B. 논의 107 Ⅴ. 결론 및 제언 118 참고문헌 122 부록1. 1차 설문지 127 부록2. 2차 심층설문지 133 ABSTRACT 14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435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초등학교 감상수업에서 미술사 지도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등학교 5·6학년 교사들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 of Art histo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ppreciation class : Focusing on 5th, 6th grade elementary school teachers-
dc.creator.othernameSeo, Kang_Hyeonjin-
dc.format.pageiii, 145 p.-
dc.contributor.examiner김효정-
dc.contributor.examiner김남시-
dc.contributor.examiner강윤정-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