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은경-
dc.contributor.author윤정현-
dc.creator윤정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8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5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8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589-
dc.description.abstractAdolescent period can bring immense changes to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development to teenagers. This period is particularly important because it is when social interactions are intensified and broadened and therefore has great impact on developing positive human relationship and establishing intimate bonds with others in the future. However, South Korea’s current education which heavily focuses on college-entrance exams is causing societal problems among the teenagers as the competition- grade- and knowledge-centered school achievement and learning models promote fierce competitions among the students which ultimately inhibit students from developing social abilities and enhancing individualism and selfishness. Hence,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it is crucial to provide teenagers with proper curriculum, activities and experiences which enable students to build proper human relationship and have healthy and satisfying life at schools where they spent most of their time. Therefore, Korea’s current educational system requires a systematic learning model which not only affects cognitive aspect but also promote cooperation and social skills. Cooperative learning model can assist students to acquire social abilities such as consideration, respect and cooperation through structured method which mobilize participants towards common objectives.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effects of an art class combined with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on the cultivation of sociality of eighth-grade students. To fulfill such purpose, this research uses theoretical background and closely observes GI cooperative model and sociality in middle school art classe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s, a chapter from a middle school art textbook was chosen and developed “creating a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video incorporation of various animation expressions” based on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which was applicable to art classes and effective on improving sociality. As for the sociality evaluation tools, the formal model designed by Beom Mo Jung was revised by Hyojung Kim (2014) and Siyeon Kim (2016) to fit standard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e evaluation tool was further revised after a consultation with experts. The initiative test was conducted to identify reliability of the revised evaluation tools. Evaluation tools were designed to fit standards established by 2009 revised art curriculum with criteria such as systematic content-based evaluation, field-specific achievement standards, and art teacher’s references. The subject of the research was 110 8thgrade students 4classes from“S”middle school located in Songpa-gu, Seoul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each with 55students. There search was conducted for 8trials. Through a homogeneous questionnaire and apreliminary sociality test, 2classes were confirmed a experimental group andother 2classes were designated as control group. During the research, the experimental group went through 8 art classes which employed GI cooperation learning model. As for the control group, the group went through 8 conventional art classes followed by sociality test.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19.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utiliz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es for both pre and post sociality examination. Throug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we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and reached a conclusi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states as follows. First, application of GI cooperation learning model to art class has proven to be effective in developing socia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showed an increase in test-results taken after 8 art classes compared to the test-results taken prior to classes. However, the increase in experimental groups was much more rapid and dramatic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The increase in control group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which proved ineffectiveness of convention learning model. Second, according to the test result taken after the application of two learning model, the scores for law compliance, cooperation, sociality and individuality all increased in both groups compared to the test taken before. Although experimental groups showed more significant and noteworthy improvement, control group still showed an insignificant statistical improvement. Third, the analysis of student evaluations and comments and teacher’s observational evaluation done on practical performances using practical evaluation tool has shown that experimental group applied with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has shown more self-initiated and cooperative aspects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which made a positive impact of final project outcome. In conclusion, our research shows that 8th-grade students who took art classes using GI cooperation learning model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f sociality.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a way that it verified improvements of the sociality on students by employing GI cooperation learning model. We expect that there will be further development of various teaching program to be applied to art classes to cultivate and improve sociality.;청소년 시기는 신체적, 심리적 발달과 사회적 관계 형성에 많은 변화가 일어난다. 특히 대인관계의 폭이 넓고 깊어지는 시기로, 이 시기에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것은 장차 성인이 되어 사회에서 사람들과 원만한 관계를 맺고 사회에 잘 적응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입시중심의 치열한 경쟁이 이루어지는 한국의 교육풍토 속에서 타인과의 협력보다는 경쟁에서 이기고 지식중심의 학업성취가 강조되는 학습방법은 학생들의 사회적 능력과 사회성 발달을 저하시키고, 개인주의와 이기주의를 심화시켜 많은 청소년 문제들을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완화하고 우리 청소년들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성장하도록 청소년들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학교에서 다양한 교육활동을 통해 다른 사람들과 올바른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학습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인지적 측면뿐만이 아닌 협동심과 사회성 등의 정의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협동학습은 현 우리교육에서 더욱 요구되는 교수·학습방법이다. 협동학습은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모둠원이 서로 돕고 배려할 수 있도록 구조화된 교수·학습방법으로 협동을 통한 상호작용과정에서 사회적 능력들을 습득하고, 배려와 나눔, 존중, 협동심 등의 사회성을 함양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미술수업에서 GI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하여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협동학습과 사회성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하고, 중학교 미술수업에서 GI협동학습과 사회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중학교 미술교과서에서 단원을 선정하고, 협동학습 모형 중 미술과에서 적용 가능하고 사회성 증진에 효과적인 GI협동학습 모형에 기초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애니메이션의 다양한 표현방법을 활용하여 공익광고영상 제작하기’를 개발하였다. 사회성 측정도구는 정범모가 초등학생 고학년을 대상으로 개발한 사회성 검사지를 김효정(2014)과 김시연(2016)이 중학교 수준에 맞게 수정한 것을 다시 지도 교수1인, 미술교육 전문가 1인과 상의하여 보완한 후 사용하였다. 수정된 검사지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중학생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기평가도구는 2009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따른 내용체계와 영역별 성취기준, 중학교 미술교사용 지도서를 참고하여 본 연구수업에 맞게 제작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송파구에 소재한 S중학교 2학년 4학급의 총 110명으로 실험집단 55명, 통제집단 55명을 구성하고 8차시에 걸쳐 연구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전 사전 동질성 검사와 사회성 검사를 통해 동질성인 확인된 4학급에서 2학급은 실험집단(55명)으로, 다른 2학급은 통제집단(55명)으로 정하였으며, 실험집단은 GI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을 8차시 동안 진행하고,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모둠학습의 미술수업을 8차시 진행하였다. 수업 후 사회성에 대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수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회성에 대한 사전·사후검사 결과를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작품결과물에 대해서는 양적평가와 함께 질적 평가도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GI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은 중학생의 사회성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GI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전통적 모둠학습을 진행한 통제집단 모두 사전검사 점수에 비해 사후검사 점수가 상승하였다. 그러나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 결과의 점수가 높게 상승하였고,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지만 통제집단은 점수 차이의 폭이 적고 통계적으로 무의미하였다. 둘째, 사회성의 하위요소인 준법성, 협동성, 사교성, 자주성에서도 실험집단은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점수가 상승하였고, 통제집단도 준법성을 제외한 나머지 하위요소에서 사후검사 점수가 상승하였다. 그러나 사회성 점수와 마찬가지로 각 하위요소에서도 점수의 상승 폭이 실험집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통제집단은 그 차이가 무의미하였다. 셋째, 실기결과물에 대해 실기평가도구를 통한 양적평가와 학생들의 평가지 및 수업소감, 교사의 관찰에 의한 질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GI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제작과정에서 자기주도적이고 협동과 상호작용이 더 잘 이루어져 실기결과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GI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사회성 증진에 효과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중학생들의 사회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미술수업에서 GI협동학습모형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GI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사회성을 증진시켰음을 검증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미술수업에서 사회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4 A. 협동학습 4 1. 협동학습의 개념 및 특징 4 2. 협동학습 수업모형 9 3. GI협동학습 모형 12 B. 중학교 미술수업에서 GI협동학습모형과 사회성 16 1. 사회성의 개념 16 2. 중학교 미술수업과 사회성 17 3. GI협동학습모형과 사회성 19 Ⅲ. 연구방법 22 A. 연구대상 및 절차 22 B. 연구도구 26 C. 자료처리 54 Ⅳ. 연구결과 및 논의 55 A. 연구결과 55 B. 논의 69 Ⅴ. 결론 72 참고문헌 75 부록목차 79 ABSTRACT 11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0523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GI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Effectiveness of GI cooperation learning model applied to art classes to improve sociality : focused on the 8th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Yoon, Jung Hyun-
dc.format.pagevi, 122 p.-
dc.contributor.examiner김효정-
dc.contributor.examiner강윤정-
dc.contributor.examiner최은경-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