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연희-
dc.contributor.author최송이-
dc.creator최송이-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1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088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3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0886-
dc.description.abstract다독이란 학습자가 자신의 읽기 수준과 흥미에 부합하는 읽기 자료를 스스로 선택하여 전체 내용의 의미 파악에 중점을 두고 많은 양을 지속적으로 읽는 활동으로 학습자의 어휘력을 신장시키고 읽기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Day & Bamford, 1998). 많은 학자들이 이러한 다독의 효과에 관해 연구하였지만 많은 수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장기간 다독 활동을 실시하면서 학습자의 영어 수준 집단 간에 차이를 두어 상·하위 집단 학습자의 어휘력이 향상되고 다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초등학생 154명을 상·하위 집단으로 나누어 16주간 다독 활동을 실시하여 다독 활동이 영어 수준이 상이한 두 아동 학습자 집단의 어휘 습득과 다독에 대한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에 목적을 둔다. 참가자 154명은 서울의 한 초등학교 4·5학년 학생들로 사전 어휘지식척도 검사점수에 따라 71명의 상위 집단과 83명의 하위 집단으로 나뉘어졌다. 다독 읽기 자료로는 교내 도서관에 구비된 영어 아동문학 작품이 활용되었으며 학생들은 다독 활동과 함께 다독일지 및 독서목록지를 작성한 후 이를 매주 교사에게 제출하여 학습자가 다독 활동을 잘 수행하고 있는지를 교사가 확인하였다. 영어 아동문학을 활용한 다독 활동이 초등학생의 어휘 습득과 다독에 대한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어휘지식척도 검사와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사전·사후 집단 내 어휘 지식과 다독에 대한 태도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상·하위 집단 간 어휘 지식 향상도와 다독에 대한 태도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아울러 어휘지식척도 검사와 설문 조사 결과를 보충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학습자의 다독일지를 살펴보았다. 16주간의 다독 활동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하위 집단 내 사전·사후 어휘지식척도 검사점수를 비교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사전에 비해 사후 어휘지식척도 검사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학습자들은 영어 아동문학 텍스트 속에 나타나는 어휘와 문형의 반복적 요소, 풍부한 문맥, 글의 이해를 돕는 재미있는 삽화를 통해 책을 읽기 전에는 몰랐던 어휘의 의미를 우연적으로 습득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둘째, 다독이 어휘 지식 향상도에 미치는 영향에 상·하위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하위 집단의 점수 향상도가 상위 집단의 점수 향상도보다 높았으나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어 아동문학을 활용한 다독 활동이 아동 학습자의 어휘 습득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학습자의 영어 수준에 따라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어 아동문학을 활용한 다독 활동이 다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하위 집단 내 사전·사후 설문 결과를 비교한 결과 다독의 가치와 중요성 인식에 대한 인지적 태도, 다독에 대한 느낌과 정서를 나타내는 정의적 태도 그리고 다독 행위의 적극성과 자율성에 대한 행동적 태도점수가 상·하위 집단 모두 사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따라서 개별 학습자의 읽기 수준과 흥미에 부합하는 영어 아동문학 작품을 스스로 선택하여 부담 없이 읽는 다독 활동을 통해 상·하위 학습자 모두 다독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영어 아동문학을 활용한 다독에 대한 태도 변화에 있어 상·하위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다독에 대한 인지적·정의적·행동적 태도 변화 모두 하위 집단의 태도 변화가 상위 집단의 태도 변화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독 활동을 포함한 영어 학습에 흥미가 부족했던 하위 학습자들이 본인의 흥미에 부합하는 책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부담 없이 읽는 다독 활동을 통해 다독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가 긍정적인 태도로 변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다독을 통해 의미를 파악하게 된 어휘가 학습자의 다독일지에도 나타나며 학습자가 작품의 문화적·역사적 배경에 호기심을 보이고 등장인물에게 자신의 감정을 이입하며 다독을 수행해 나가는 모습이 다독 일지에도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다독 일지에 나타난 이러한 학습자의 어휘지식과 다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어휘지식척도 검사점수 및 설문 조사 결과와도 일치하는 양상을 보였다. 언어적 입력이 부족한 한국 EFL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결과는 영어 아동문학을 활용한 다독 활동이 한국 초등학생들에게 다량의 언어적 입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아동 학습자는 우연적으로 어휘를 습득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아울러 개별 학습자의 읽기 수준과 흥미에 부합하는 책을 스스로 선택하여 부담 없이 읽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다독의 가치와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독 활동을 편안하게 느끼며 적극적으로 다독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결과를 제시한다.;The study aimed at exploring effects of an extensive reading program using children’s literature on Korean EFL primary school students’ vocabulary acquisition and attitudes toward extensive reading. Eighty students of grade 4 and 74 students of grade 5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level,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proficiency groups based on their pre-Vocabulary Knowledge Scale (VKS) scores. Participants took a pre-VKS test and filled out a questionnaire in the first week of the study, and were required to read at least one book in a week and to write their thoughts and feelings about the book in reading logs. The participants repeated the procedure of reading books and writing their thoughts and feelings about the book in reading logs for 16 weeks. A post-VKS test and survey were conducted in the 17th week.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the high English proficiency group and the low English proficiency group made significant gains on VKS test and the improvement of vocabulary knowledge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to either group. It was found that participants were able to acquire vocabulary knowledge incidentally through the repeated encounters with new words, rich context and interesting illustrations in the children’s literature. Second, both the high English proficiency group and the low proficiency group made significant improvement in attitudes toward extensive reading and the improvement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to either group. Moreover, the differences of the improvement in attitudes toward extensive reading between two experimental groups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It was found that before the extensive reading program, participants of low English proficiency group were poorly motivated and reluctant to read. However, after participants of low English proficiency group were provided with motivating and attractive materials, their negative attitudes toward extensive reading were changed. This is a good news for school teachers, in that the difference of attitudes toward extensive reading between two groups can be reduced through an extensive reading program using children’s literature. Lastly, by analyzing participants’ writings in their reading logs, it was found that at first participants showed little tendency to use vocabulary they acquired through reading when they write their feelings and thoughts about the book in their reading logs. However, after it was recommended to use the vocabulary they encountered through reading in their reading log, participants used English words they encountered from the text. It was found that participants of high English proficiency group were able to use the vocabulary they acquired through reading in a phrase or a sentence and participants of low English proficiency group were able to use them in a short phrase or a single word. Overall, the experimental result indicates positive effects of an extensive reading program using children’s literature on Korean EFL primary students’ vocabulary acquisition and attitudes toward extensive reading. Based on the foundings, it is concluded that an extensive reading program using children’s literature would be an effective approach for young learners in input poor EFL condition to enhance vocabulary knowledge and foster positive attitudes toward extensive reading. It is, therefore, recommended that an extensive reading program using children’s literature should be widely implemented in Korean primary school classrooms in that it provides repetitions of words, rich context, interesting illustrations, and it also cultivates young learners’ positive attitudes toward extensive read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4 A. 다독의 효과 및 교육적 시사점 4 1. 다독의 정의 및 장점 4 2. 다독의 특징 7 3. 효과적 다독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요건 10 B. 영어 아동문학을 활용한 읽기 교육14 1. 아동문학 텍스트의 교육적 효용성 14 2. 외국어 교육을 위한 아동문학 텍스트의 선정 기준 18 C. 선행 연구 20 1. 다독 활동의 어휘 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20 2. 다독 활동이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5 Ⅲ. 연구 방법 29 A. 연구 질문 29 B. 연구 대상 30 C. 연구 자료 31 1. 다독 자료 31 2. 다독일지 및 독서목록지 36 3. 사전사후 어휘지식척도 검사 39 4. 설문지 43 D. 연구 절차 44 1. 실험 이전 절차 44 2. 실험 주요 활동 46 3. 실험 이후 절차 48 E. 연구 자료 분석 49 1. 어휘지식척도 검사지 채점 49 2. 설문지 결과 분석 51 3. 다독일지 분석 51 4. 통계 분석 52 F. 연구의 제한점 52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54 A. 상하위 집단 간 다독량 비교 54 B. 영어 아동문학을 활용한 다독이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 55 1. 상하위 집단 내 사전사후 어휘지식척도 검사점수 변화 55 2. 상하위 집단 간 사전사후 어휘지식척도 검사점수 변화 비교 68 3. 어휘지식척도 검사로 측정되지 못한 어휘 습득량 72 C. 영어 아동문학을 활용한 다독이 다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78 1. 상하위 집단 내 사전사후 설문 결과 변화 비교 78 2. 상하위 집단 간 사전사후 설문 결과 변화 비교 80 D. 다독일지 분석 81 Ⅴ. 결론 및 제언 87 참고문헌 91 부록 1. 다독 읽기 자료 목록 98 부록 2. 사전사후 어휘지식척도 검사지 106 부록 3. 사전사후 설문지 109 ABSTRCT 11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443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영어 아동문학을 활용한 다독활동이 초등학생의 어휘 습득과 다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Extensive Reading Using Children’s Literature on Korean EFL Primary Students’ Vocabulary Acquisition and Attitudes toward Extensive Reading-
dc.creator.othernameChoi, SongE-
dc.format.pageix, 112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0623-
dc.contributor.examiner신상근-
dc.contributor.examiner이은주-
dc.contributor.examiner최연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