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75 Download: 0

AAC 도구를 활용한 Tablet PC 기반 그림책 읽기활동이 정신지체 학생의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AAC 도구를 활용한 Tablet PC 기반 그림책 읽기활동이 정신지체 학생의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Reading Tablet PC Based Picture Books Through AAC Tools on The Participation of Mentally Retarded Students.
Authors
한연이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읽기는 학령기 아동에게 있어 모든 학습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활동이 되며, 다양한 지식을 습득하고, 폭넓은 상황에서의 의사소통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학교생활을 함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신지체 학생들의 경우 제한된 인지·언어 능력으로 인해 일반 학생들에 비해 단어를 지각하여 읽는 데 어려움을 보이고, 읽기 전략을 능숙하게 활용하는데 잦은 실패를 겪으며, 학습된 실패의 경험으로 인해 읽기 활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낮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정신지체 학생들의 읽기 특성을 고려하여 읽기 활동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단어인지 및 내용이해 능력을 포함한 전반적인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그림책 읽기활동과 같은 교수방법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신지체 학생을 대상으로 그림책 읽기활동을 실시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인쇄된 그림책이 제시되었을 때 책을 읽고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보이며, 활동에 대한 낮은 집중력을 나타내는 정신지체 학생들을 위하여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대두되고 있는 Tablet PC 및 AAC(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이하 AAC) 도구와 같은 보조공학기기의 활용이 필요하다고 여겨지나 이를 활용한 체계적인 읽기 교수전략과 관련된 연구의 수는 매우 한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단순한 매체로써 Tablet PC 및 AAC 도구를 활용하는 것이 아닌 직접교수법 및 낱말교수전략과 같은 구체적인 읽기 교수 방법을 적용하여 그림책 읽기 활동을 실시함으로써 정신지체 학생들의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구로구에 위치한 S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저학년의 정신지체 학생 3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설계는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자인 교사와 학생은 1:1로 모든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기초선 단계에서는 대상학생에게 태블릿 그림책과 AAC 도구로 재구성한 그림책 및 낱말학습 프로그램을 제시하되 중재와 달리 직접교수법과 낱말교수전략과 같은 교수방법은 적용하지 않았다. 다음 중재 단계에서는 교사의 설명-시범보이기-안내된 연습 실시하기-학생 스스로 연습 실시하기(자발적 연습)와 같은 직접교수법을 적용하여 그림책을 조작하거나, 제시되는 동화 내용을 집중하여 들으면서 읽어보도록 하였으며, 그림책 읽기 활동이 끝난 후 낱말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책에 나온 목표 낱말을 교사를 따라 읽거나, 그림과 동일한 낱말을 찾아보는 등 낱말교수전략을 적용하여 학생들에게 책에 나온 낱말을 익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수업참여도는 실험의 전 과정을 녹화한 자료를 토대로 전간기록법을 사용하여 5초 간격으로 수업참여 행동을 측정하였으며, 중재가 유지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중재 종료 두 달 후에 연속 3회기씩 유지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AC 도구를 활용한 Tablet PC 기반 그림책 읽기활동을 실시한 결과 대상학생 3명 모두 수업참여행동이 향상되었다. 둘째, AAC 도구를 활용한 Tablet PC 기반 그림책 읽기활동을 실시한 결과 대상학생 3명의 수업참여도는 중재가 종료되고 두 달이 지난 후에도 유지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AAC 도구를 활용한 Tablet PC 기반 그림책 읽기활동은 정신지체 학생들의 수업참여도를 향상시키고 유지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Tablet PC와 AAC 도구를 단순한 매체로써 읽기 학습에 활용하기보다 대상학생들의 읽기 특성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하여 구체적인 교수전략과 함께 사용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학생들이 수동적인 존재가 아닌 적극적인 참여자로서 활동을 수행하도록 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초선에서 중재와 유사한 난이도 및 동일한 형태의 그림책을 사용하였고, 중재에서는 한 권의 책이 아닌 여러 권의 책을 반복해서 읽도록 함으로써 책 한 권이 가지는 영향력은 최소화했다고 볼 수 있으나, 기초선과 중재에서 서로 다른 그림책 사용으로 인한 내적타당도 확보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은 본 연구가 가지는 제한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를 해결하고자 추후에는 단일대상연구가 아닌 양적 연구 차원에서의 확실한 비교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This study executed reading tablet PC based picture books through AAC tools so that mentally retarded children can acquire course participation in learning. For this, thre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from the lower grades and currently attending S Specialized School located in Guro, Seoul were selected as study targets. Furthermore, multiple-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has been used. This research applied the direct method of teaching so that the target students can directly participate in the activity of reading picture books through tablet PC and recomposed AAC tool. Word Teaching Strategy was used so that the subject can acquire goal words through the Word Learning Program produced by applying AAC tool to execute vocabulary learning activity. For the measurement method, the whole process of the course was recorded to measure the course participation activity. Whole-interval recording method of 10 second interval (5 second observation and 5 second recording) was used to record the measurement of whether course participation activity can be continued for 5 second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three target students that participated in reading tablet PC based picture books through AAC tools all showed increase in course participation in learning. Second, the three target students that participated in reading tablet PC based picture books through AAC tools all showed maintenance in course participation in learning even after 2 months after the completion of intervention. Through this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reading tablet PC based picture books through AAC tools helps mentally retarded students acquire and maintain course participation in learning. Finally, this study used the picture books of the same type and similar level of difficulty as those of the intervention for the baseline. For the intervention, we made the students read multiple books repeatedly instead of one single book to minimize the effect of one book, but we used different books for the baseline and the intervention, which can lead to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ith the problem of securing the internal validity. Therefore, to solve this problem, accurate comparison studies need to be done in terms of a quantitative research instead of a single-subject research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