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4 Download: 0

학교 배구부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학생선수의 진로결정유형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학교 배구부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학생선수의 진로결정유형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s of volleyball instructor′s teaching method on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and self-esteem
Authors
임선미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경숙
Abstrac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s of volleyball instructor’s teaching method on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and self-esteem and to provide fundamental material to help students with career decision-making and volleyball instructors with teaching method. For this reason, 170 student volleyball players in Seoul, Gyeonggi, Gangwondo and Jeollabukdo were selected using simple random sampling method an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m. Besides, 20 questionnaires that were answered not properly or missing some contents, 150 samples were analyzed. Questionnaire contains 109 questions including those to find out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region, grade, years of playing volleyball, position), teaching method (training and instructing behavior, democratic behavior, social support behavior, positive reward behavior, overall behavior), career decision-making (dependent, intuitive, rational) and self-esteem (personal, physical condition, appearance, friend-sociality, behavior, self-value). Se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19.0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were performed. Firstly, teaching method by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tudent players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gender and region while no positive relationships were shown with grade, years of playing volleyball and position. To be more precise, teaching method by gender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authoritarian behavior type and social support behavior type. In average, female showed higher result than male. Concerning the teaching method by region, positive relationship was shown between training and instructing behavior and authoritarian behavior type. To be more precise, differences were shownbetween Seoul and Gangwondo, Seoul and Jeollabukdo, Gyeonggido and Gangwondo, Gyeonggido and Jeollabukdo and Gangwondo and Jeollabukdo in training and instructing behavior type. Secondly, career decision-making by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tudent players, positive relationship was shown between gender and region while no positive relationships were shown between grade, years of playing volleyball and position. Regard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by gender, statistically positive result was shown in dependent type. In average, male showed higher results than female. Concerning career decision-making by region, positive relationship was shown between dependent type and rational type. To be more precise, differences were shown between Seoul and Jeollabukdo, Gyeonggido and Jeollabukdo and Gangwondo and Jeollabukdo in dependent type. Concerning rational type, differences were shown between Seoul and Gyeonggido, Seoul and Gangwondo and Gyeonggido and Jeollabukdo. Thirdly, regarding self-esteem by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tudent players, positive relationship was shown only with region while no positive relationships were shown between gender, grade, years of playing volleyball and position. Concerning the self-esteem by region, positive relationships were shown between physical condition self-esteem, behavior self-esteem and self-value self-esteem. Differences were shown between Seoul and Gyeonggido and Gyeonggido and Gangwondo in physical condition self-esteem. In addition, differences were shown between Seoul and Gyeonggido, Seoul and Gangwondo and Seoul and Jeollabukdo in behavior self-esteem. Furthermore, statistically positive relationships were shown between Seoul and Gyeonggido and Gyeonggido and Gangwondo in self-value self-esteem. Fourthly, regarding the influences of teaching method of volleyball instructor on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dependent type showed statistically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ositive reward type and social support behavior type. Also, intuitive type showed statistically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raining and instructing type, authoritarian behavior type and democratic behavior type. Furthermore, rational type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raining and instructing type, authoritarian behavior type and positive reward type. Fifthly, concerning the influences of teaching method of volleyball instructor on student’s self-esteem, personal self-esteem showed statistical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democratic behavior type while physical condition self-esteem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social support behavior type. In addition, appearance self-esteem showed statistically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raining and instructing type, authoritarian behavior type and positive behavior type while friend-sociality self-esteem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democratic behavior type and behavior self-esteem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social support behavior type. Lastly,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of student players and self-esteem, correlations of each variable were presented from .810 to -.206 and positive relationships were shown between types of career decision-making. In addition, positive relationship was also presented between self-esteem factors. In overall, statistically positive relationships were presented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types and self-esteem factors but no positive relationships were presented between intuitive type and physical condition self-esteem, intuitive type and appearance self-esteem, dependent type and friend-sociality self-esteem, dependent type and behavior self-esteem and dependent type and self-value self-esteem. Based on above results, it was indicated that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on decision-making of students but not many researches targeted student players. Also, there have been not enough researches on self-esteem and teaching method of instructor. So more researches need to be conducted to help student players with career decision-making in case they stop being involved in doing athletics.;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배구부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학생선수의 진로결정유형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며, 학교 배구부 지도자의 지도법과 학생의 진로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강원도, 전라북도 고등학교의 배구부 학생선수 170명을 대상으로 단순임의표본방법을 이용하여 임의로 추출하여 설문지를 배포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설문지 중 응답내용이 누락되거나 불성실하게 이행한 설문지 20부를 제외하고 총 15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성별, 지역, 학년, 운동경력, 포지션)을 측정하는 문항과 지도행동유형(훈련과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 사회적 지지행동, 긍정적 보상행동, 전제적행동), 진로결정유형(의존적 유형, 직관적 유형, 합리적 유형), 자아존중감(개인적 자아존중감, 신체능력 자아존중감, 외모 자아존중감, 친구·사회성 자아존중감, 행동 자아존중감, 자아가치 자아존중감)을 알아보는 문항으로 총 109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19.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고,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 검정(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중다회귀분석, 적률상관계수를 실시하였다. 첫째, 학생선수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의 차이는 성별과 지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년, 운동경력, 포지션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성별에 따른 지도자의지도행동유형에서는 전제적 행동유형과 사회지지 행동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평균을 살펴보면 남자에 비해 여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에 따른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에서는 훈련과 지시 유형과 전제적 행동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훈련과 지시 행동유형에서는 서울과 강원도, 경기도와 강원도, 경기도와 전라북도 간에 차이가 있었다. 전제적 행동유형에서는 서울과 강원도, 서울과 전라북도, 경기도와 강원도, 경기도와 전라북도, 강원도와 전라북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학생선수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진로결정유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지역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년, 운동경력, 포지션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개인적 특성 요인 중 성별에 따른 진로결정유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의존적 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평균을 살펴보면 여자에 비해 남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에 따른 진로결정유형에서는 의존적 유형과 합리적 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의존적 유형에서는 서울과 전라북도, 경기도와 전라북도, 강원도와 전라북도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합리적 유형에서는 서울과 경기도, 서울과 강원도, 경기도와 전라북도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선수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지역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성별, 학년, 운동경력, 포지션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개인적 특성 요인 중 지역에 따른 자아존중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신체능력 자아존중감, 행동 자아존중감, 자아가치 자아존중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신체능력 자아존중감에서는 서울과 경기도 , 경기도와 강원도 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행동 자아존중감에서는 서울과 경기도, 서울과 강원도, 서울과 전라북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아가치 자아존중감에서는 서울과 경기도, 경기도와 강원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배구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학생선수의 진로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의존적 유형에서는 긍정적 보상 유형과 사회지지 행동 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직관적 유형에서는 훈련과 지시유형, 전제적 행동유형, 사회지지 행동유형, 민주적 행동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합리적 유형에서는 훈련과 지시유형, 전제적 행동유형, 긍정적 보상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배구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학생선수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개인적 자아존중감에서는 민주적 행동유형, 신체능력 자아존중감에서는 사회지지 행동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외모 자아존중감에서는 훈련과 지시유형, 전제적 행동유형, 긍정적 보상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 친구·사회성 자아존중감에서는 민주적 행동유형, 행동 자아존중감에서는 훈련과 지시유형, 자아가치 자아존중감에서는 사회지지 행동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섯째,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는 .816부터 -.206까지 상관이 나타났으며, 진로결정 유형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 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유형과 자아존중감에서는 대부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났지만 직관적과 신체능력 자아존중감, 직관적과 외모 자아존중감, 의존적과 친구·사회성 자아존중감, 의존적과 행동 자아존중감, 의존적과 자아가치 자아존중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종합적으로 제시하면, 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연구들은 많지만 학생선수(운동선수)를 대상으로 한 진로 연구와 진로결정과 관계가 있는 자아존중감, 그리고 영향을 주는 지도행동유형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만큼 앞으로 학생선수(운동선수)가 운동을 그만두게 될 시에 향후 진로를 결정할 때 올바른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또 이에 관해 진로프로그램 개발이나 정책이 나와야 한다고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