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윤정-
dc.contributor.author윤현-
dc.creator윤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0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09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40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0903-
dc.description.abstractThe Korean society has recently turned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s foreign immigrants living in Korea rapidly increased in a variety of reasons. However, they have difficulties due to the subsequent cultural conflicts, maladjustment,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unilateral assimilation. Therefore, the education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consciousness is required for all of us living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As the proportion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school rapidly becomes higher, the necessity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 increase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n be conducted more efficiently through art. In particular, since critical thinking can be cultivated by encountering,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various cultures through images,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can be an effective measure of multicultural education. Moreover, multicultural educational method is considerably consistent with the methodology oriented by constructivism, which leads to positive influences on cognitive change and definitive attitude of learners through reflective practice learning within contextual educational course emphasized by problem-centered learning. Thus, this study set a hypothesis that the reflective practice learning through visual culture art course centered on problems positively affects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learners within contextual learning.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visual culture art course applying problem-centered learning model to cultivate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as examined based on theoretical investigations. Also, the educational units were selected and the visual culture art classes applying problem-centered learning model were designed according to the 2009-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for art course in elementary school. For the measurement tool for multicultural acceptability, ‘Research and Study on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by Adolescents by 민무숙 et al.(2012), policy researchers in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was used. The research targets were total 6 students from two classes in A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Jeju City. The homogeneity of the two classes was identified.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visual culture art classes applying problem-centered learning model,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traditional visual culture art classes. The pre-test and post-test on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ere conducted, and their results were analyzed with SPSS ver. 19.0. The practice outcomes of student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o summarize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visual culture art classes applying problem-centered learning model positively affected the learners’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each sub-domain. Furthermore, they also positively affected the academic performances and art practice activities of the learners. In conclusion,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is study identifies the visual culture art course has an efficiency in cultivating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the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and gives positive influences on their academic performances and practice activity outcomes.;최근 한국사회는 국제결혼과 외국인 근로자 유입 증가 등의 이유로 국내 거주하는 외국 이주민 수가 전체 인구의 3.4%인 180만 명에 육박하며(통계청) 빠른 속도로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하지만 조현성외(2008)에 따르면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 이주민은 문화 갈등, 부적응 문제와 함께 주류집단의 편견과 차별, 일방적 동화주의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정부는 다문화 정책 및 교육을 시행하고 있지만 외국 이주민 및 다문화 가정만을 대상으로 한국 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일반대상의 다문화 교육은 다양한 나라의 문화를 체험하는 정도의 수준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문화 적응이란 이주자를 받아들이는 주류집단의 문제이기도 하기 때문에 다문화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를 대상으로 서로를 이해하고 받아들이기 위해 인식개선을 위한 다문화 교육이 필요하다(Berry, 2001). 학교 내 다문화 가정 자녀의 비율이 급증함에 따라 학교 내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으며 이러한 다문화 교육은 미술을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McFee와 Degge(1980)에 따르면 예술작품은 문화적 가치와 신념을 직접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다문화 교육의 이상을 실현하는데 있어 미술교육은 적합한 수단이 된다. 특히 이미지를 통해 다양한 문화를 접하고 이해하고 존중하며 비판적 사고력을 함양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각문화와 다문화는 맥락을 함께 한다. McFee(1991)는 학습자들이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미술교육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시각적인 문해력을 길러주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판단력이 미숙한 아동들이 쉽게 접하는 TV, 포스터, 패러디, 광고와 같은 시각문화를 바르게 읽을 수 있는 시각문화미술교육이 필요하다(McFee, 1991a). 특히 포스터는 사회의 문화를 반영하며 전달효과와 광고효과가 크기 때문에 시각문화 교육을 위한 수업주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패러디는 원작을 해석, 재해석 하는 과정을 통해 비판적 이념을 정리하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에 교육적 의의를 가진다(김순향, 2002). 또한 장선영 외(2013)의 연구에 따르면 다문화 교육 방법은 구성주의에서 지향하는 방법론과 상당 부분 일치한다고 밝혔으며 장선영 외(2010)와 한아름(2011)은 문제중심학습에서 강조하는 맥락적 학습과정에서의 성찰적 실천학습을 통해 학습자의 인지적인 변화와 정의적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온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맥락적 학습에서 문제를 중심으로 시각문화미술수업을 통한 성찰적 실천학습이 학습자의 다문화수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올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적용한 시각문화미술수업을 개발 및 적용하여 그 실효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시각문화미술수업과 다문화수용성,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다문화수용성 함양을 위한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시각문화미술수업의 교육적 의의와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단원을 선정하고 2009개정 초등미술과 교육과정에 맞춰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시각문화미술수업을 설계하였고 다문화수용성 평가도구로는 여성가족부 산하 정책 연구원 민무숙 외(2012)의 ‘청소년 다문화수용성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주시에 소재한 A 초등학교 6학년 동질성이 검증된 2개 학급 총 60명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에는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시각문화미술수업을,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시각문화미술수업을 진행하였다. 다문화수용성의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통계처리가 가능한 자료는 SPSS ver.19.0을 통해 분석하였다. 실기결과물은 질적 분석을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시각문화미술수업은 학습자의 다문화수용성과 각 하위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문제중심학습을 통해 비평적 성찰을 통해 다문화의 가치를 내면화하고 이를 실천하려는 태도를 가지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둘째,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시각문화미술수업은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시각문화미술수업은 학습자의 미술실기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종합해 보면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시각문화미술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의 다문화수용성 함양에 효과가 있으며 학업성취도 및 실기결과물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도 연구의 대상을 확대하여 다문화수용성 함양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적용한 시각문화미술수어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지속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5 Ⅱ. 이론적 배경 6 A. 시각문화미술교육 6 1. 등장배경 및 개념 6 2. 시각문화미술교육의 교육적 의의 및 필요성 11 B. 시각문화미술교육과 다문화수용성 13 1. 다문화수용성 13 2. 초등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시각문화와 다문화수용성 18 C. 문제중심학습의 이해 26 1. 문제중심학습모형 26 2. 문제중심학습과 다문화수용성 31 Ⅲ. 연구방법 35 A. 연구대상 및 절차 35 1. 연구대상 35 2. 연구절차 40 B. 연구도구 42 1. 수업도구 42 2. 측정도구 66 C.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69 Ⅳ. 연구결과 및 논의 70 A. 연구결과 70 B. 논의 92 Ⅴ. 결론 및 제언 94 참고문헌 96 ABSTRACT 14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0708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시각문화미술수업이 학습자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Effects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model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dc.creator.othernameYoon, Hyun-
dc.format.pagevii, 141 p.-
dc.contributor.examiner김효정-
dc.contributor.examiner김남시-
dc.contributor.examiner강윤정-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