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5 Download: 0

중학교 현대미술 비평 수업연구

Title
중학교 현대미술 비평 수업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Middle-School Modern Art Criticism Class : Based on Feldman’s Model of Art Criticism
Authors
오지원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남시
Abstract
Art criticism has made a major impact on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20th-century modern art. Greenberg, who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critics of 20th century, laid the foundation for formalism and advanced the art criticism into an intellectual work through his criticisms. Rosenberg influenced post-modernism art in its progress and Danto contributed to the art of ultimate freedom after the so-called “death of art” and to the institutional theory of art. Thus,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art criticism on modern art, it is more than clear that the students need to experience and gain knowledge of art criticism in order to understand modern art. Although education on art criticism has been carried out on school field through Picture Study Movement, School Arts and more, DBAE was the very first to initiate the full-scale education of art criticism. Many scholars of DBAE conducted studies on art criticism but it was Feldman who developed the most widely used art criticism model. Feldman suggested a model which students and teachers could use to experience the process of art criticism through simple questionnaires. His criticism model is the first systematically organized model with vested rights and it is easily applicable and extensively accepted despite the criticisms. Even in the 2009 revised edition of art and education system, the contents of art criticism have been dealt as one of the most major issues. The 2009 revised edition, which is the 7th revised version, included art criticism into middle school curriculum. Moreover, it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art criticism by stating the objective of art course as ‘enhancing the capability to comprehend and make sound judgment on the value of art’. Thus, in order to attain the goal of 2009 edition of art and education course, the model of art criticism is a necessity.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modern art criticism program applying Feldman’s model (1990) targeting students of second-year middle school. In addition, the study intends to look for a way to apply Feldman’s model more effectively. Through pilot study, the researcher defined an appreciation and criticism of art and theoretically examined contemporary art education. Furthermore, the educational course, system of contents and textbooks were analyz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on study targets and teaching tools, the study developed a modern art criticism guidance plan targeting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for art criticism class. The followings are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First, the researcher developed a criticism class to understand modern art. The content of the class was to make criticisms on works of Andy Warhol and Cornelia Parker, based on applications of Feldman’s model of art criticism (1990). This program was drawn for six classes with block time applied of teaching-and-learning guidance plan. Second, three current school teachers evaluated the program as easily accessible. To add on, the teaching-and-learning guidance plan was revised according to the feedbacks received on teacher’s instructions, motivational drives, presentations of work, and so on. Conclusively, the modern art criticism class effectively applying Feldman’s model of art criticism was developed. In this class, the investigator used response-based model in an attempt to increase efficacy of applying Feldman’s model (1990) in the art education site and utilized games and question-and-answer sessions for active interaction between educators and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modern art criticism program that helps students to understand modern art and provides opportunity to make criticisms of art. As the modern art criticism program is practiced, the objective of art and education which is ‘the ability to acknowledge the value of art’ can be achieved.;미술 비평은 20세기 현대미술의 성립과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20세기의 대표적인 비평가 중 한 사람인 Greenberg는 비평을 통해 형식주의의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미술 비평을 지적인 작업으로 향상시켰다. Rosenberg는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의 전개에 영향을 미쳤으며, Danto는 예술의 죽음 이후 무한한 자유를 얻은 예술과 제도론 미술에 큰 공헌을 한바가 있다. 이와 같이 미술 비평이 현대미술에 미친 영향을 고려하였을 때, 학생들이 현대미술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미술 비평을 경험하고 이에 대해 아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미술 비평교육은 Picture Study Movement, School Arts 등으로 학교 현장에서 시행되어왔지만, 현대미술을 이해하기 위한 미술 비평교육은 DBAE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DBAE의 여러 학자들이 미술 비평교육에 대해 연구하였지만, 가장 널리 쓰이는 미술 비평모형을 개발한 사람은 Feldman이었다. Feldman은 교사와 학생들이 간단한 질문을 통해서 미술 비평의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미술 비평모형을 제안하였다. Feldman의 비평모형은 체계적으로 개발된 최초의 미술 비평모형으로서 기득권을 갖고 있으며 적용이 편리하여, 비판을 받는 가운데서도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2009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에서도 미술비평은 중요한 내용 체계 중 하나로서 다뤄지고 있다. 미술 비평은 제7차 교육과정의 개정안인 2009개정에서 처음으로 내용체계의 중영역으로 편재되었다. 이 뿐만 아니라 미술 과목의 목표에서도 ‘미술의 가치를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고 하면서 미술 비평의 중요성을 밝히고 있다. 따라서 2009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도 미술 비평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Feldman(1990)의 미술 비평모형을 적용한 현대 미술 비평수업의 프로그램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Feldman(1990)의 미술 비평모형의 적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통해 미술 감상과 미술 비평이 무엇인지를 살피고, 미술 비평 교육과 현대 미술 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또한 교육과정 및 내용체계와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과 수업 도구를 조사하여, 연구 결과로서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한 Feldman(1990)의 미술 비평모형을 적용한 현대 미술의 비평 수업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자는 현대미술을 이해하기 위한 비평수업을 개발하였다. 수업 내용은 Feldman(1990)의 미술 비평모형을 활용하여 Andy Warhol과 Cornelia Parker의 작품을 비평하는 것이다. 본 프로그램은 블록타임제가 적용된 6차시의 교수-학습 지도안으로 작성하였다. 둘째, 3인의 현직 교사들로부터는 비평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아울러 교사의 설명, 동기유발, 작품의 제시 등에서 수정해야할 사항을 피드백 받았으며 이를 반영하여 교수-학습지도안을 수정하였다. 결론적으로 Feldman(1990)의 미술 비평모형을 효과적으로 적용한 현대 미술 비평수업이 개발되었다고 볼 수 있다. 본 수업에서는 Feldman(1990)의 미술 비평모형이 현재 미술교육 현장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반응 중심 모형을 응용하였으며, 교사와 학생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위해 게임, 질의응답 등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현대 미술을 이해하고, 미술 비평을 할 수 있도록 현대 미술의 비평 프로그램을 제시한다. 현대 미술 비평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미술과 교육과정의 목표인 ‘미술의 가치를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