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2 Download: 0

누리과정 과학 활동에서 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및 과학교수적극성을 예측하는 요인 규명

Title
누리과정 과학 활동에서 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 및 과학교수적극성을 예측하는 요인 규명
Other Titles
Defining predict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teaching intention in Nuri-Curriculum of science activity
Authors
문아람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HRD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정민
Abstract
국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미래 지식 기반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고자 전 세계적으로 과학교육을 강조하며, 학습자의 발달수준을 고려한 교육과정의 표준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등 국가차원의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그 중에서 미국은 1990년대 중반부터 국가 수준의 과학교육표준을 개발하였으며, K-12학년간 과학교육의 연계에 주력함으로써 과학교육의 중요성과 방향성을 시사했다(김은정, 유영의, 신은수, 2015;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2012). 이에 우리나라도 유아시절부터 일상생활 속 문제를 창의적이고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과학적 소양을 기를 수 있도록 2012년에 개정 유아교육법과 영유아보육법에 근거하여 공통과정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을 개발하였으며, 2013년에는 유아교사들이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을 충실하게 반영하여 유아들에게 다양한 활동을 운영할 수 있도록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개발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원(유치원/어린이집)에서의 과학 활동은 타 영역에 비해 활동 시수가 적을 뿐 아니라 과학교수에 대한 유아교사의 부담감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승희, 2014; 김정주, 김영실, 2004; 최윤정, 2014). 이처럼 유아과학교육이 활발히 운영되고 있지 못한 원인을 선행연구들에서 살펴보면 교육과정 및 교구재의 부족 등과 같은 요인들보다도 유아과학교육을 담당하는 주체로써, 유아교사가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안혜수, 2008; Martin, 2009; McDevitt, Heikkinen, Alcorn, Ambrosio & Gardner, 1993). 또한 유아과학교육 분야에서는 유아교사의 신념과 같은 교수효능감이나 수업 시간에 나타나는 유아교사의 행동 등과 같은 교수적극성에 주목하였으며, 이 두 요인에 대한 연관성을 단순화시켜 설명하기에는 적절치 않다는 주장들이 제기되었다(Ajzen, 1996; Fazio & Roskos-Ewoldsen, 1994; Wilcox- Herzog & Ward, 2004). 이외에도 유아교사의 인지적 측면으로써 단순한 과학지식이 아닌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이라는 보다 전문적인 요인에 관심을 가지며, 유아교사를 위한 사회적 측면으로써 전문성 지원환경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고영미, 김정아, 2011; 고영미, 이금란, 2004; 이경민, 2013; 조형숙, 양수영, 201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과학 활동을 하는 현직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교수효능감 및 과학교수적극성을 예측하는 요인을 인지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을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변인 간의 관계를 예측하는 회귀모형을 고안하였으며,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과학 활동에서 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교수적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공학적 지원 방안 모색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누리과정 과학 활동에서 유아교사의 과학교과교육학지식과 과학교수지원은 과학교수효능감을 예측하는가? 연구문제 2. 누리과정 과학 활동에서 유아교사의 과학교과교육학지식과 과학교수지원은 과학교수적극성을 예측하는가? 본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수도권 소재의 원(유치원/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과학 활동을 하는 유아교사 16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분석 방법으로는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변인들 간의 관계 및 예측력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연구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과학 활동에서 유아교사의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은 과학교수효능감을 유의하게 예측하지 않아 선행연구들과는 상반된 결과가 나타났지만 과학교수지원은 과학교수효능감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이는 본 연구의 연구대상인 유아교사들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목표에 따라 유아과학교육을‘결과’가 아닌‘과정’으로 여기며, 생활 속에서 발견되는 과학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또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과학 활동 경험을 통해 이미 축적된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을 가지고 있지만 그렇게 경험으로 축적된 불확실성한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은 과학교수효능감을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3-5세 누리과정 과학 활동에 대한 현직 유아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동료 교사뿐 아니라 전문가들과의 자유로운 소통을 통해 집단 지성을 경험하여 과학교과교육학지식에 대한 불확실성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온라인 형태의 웹기반을 통한 멘토링 및 평가 연구 모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과학 활동에서 유아교사의 과학교과교육학지식과 과학교수지원은 과학교수적극성을 유의하게 예측하여 선행연구들과 일치된 결과가 나타났다. 하지만 본 연구 내에서 살펴보면, 인지적 측면인 과학교과교육학지식은 유아교사의 행동인 과학교수적극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신념인 과학교수효능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음이 시사됐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 경험을 통해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가진 현직 유아교사들을 위해서는 자율적으로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현실적 제약에서 벗어나 수준 높은 과학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브랜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형식의 교사연수가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매체 등을 보충 자료 형식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자기 개발 기회 부여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과학 활동을 하는 유아교사들로서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소양을 내재하고 있을 수 있기 때문에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과학 활동을 하지 않거나 자주 하지 않는 유아교사들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된 변인들에 대한 검증과 논의가 요구되며, 연구대상들 간의 집단 간 비교를 통해 보다 더 실증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모든 변인들에 대한 측정은 자기보고 방식의 설문지로 진행되어 응답자의 지각과 실제 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자기보고 방식의 설문방식과 함께 인터뷰 등의 질적 기법을 활용한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활용한 유아교사 중심의 대·소집단활동 시간으로 한정하였다. 하지만 원(유치원/어린이집)에서의 과학 활동으로는 대·소집단활동 시간 이외에도 자유선택활동 시간으로 구분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활동 유형에 따라 유아교사의 관여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를 기반으로 활동 유형 간의 차이를 비교해 봄으로써 보다 실증적이고 명확한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모형으로의 발전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현재 운영 중인 국가수준의 공통과정을 기반으로 유아교사의 신념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에 대해 살펴본 연구로써 탐색적 연구 성격을 가진다. 더불어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과학 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위해 실제 적용 가능한 교육공학적 지원 방안을 논의함으로써 유아교사에 대한 연구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A national level effort in breeding up a talented manpower of what our knowledge-based society needs continues on by emphasizing science education and developing standards of curriculums for learners taking their developmental level into account. The United States developed a national science educational standards since mid-1990s and it also suggested the importance of science education and its direction by concentrating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K-12 and science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The Republic of Korea developed a so called Nuri-Curriculum of science activity in 2012 for those at the age of 3-5 having its foundation on revis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and Infant Care Act, and in 2013 a teacher's manual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had been developed in order to provide the guidance of initiating various activities which reflect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the Nuri-Curriculum of activity for 3-5 year-old. However, the opportunity of receiving science activity was little and the burden on which a teacher had been laid in teaching science was heavy. The main reason that the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had not been working well, from the past study, depended on the instructors themselves rather than the deficiency of curriculums or teaching materials. Besides, it is clai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lief of teacher such as an efficacy in science teaching and the behavior of teacher such as an intention in science teaching experimented cannot simply be defined. Also, the necessity of specialize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education and the supporting environment has been brought up as cognitive and sociological aspects respectively. Therefore, in this study, I would demonstrate the factors which predicts the efficacy of science teaching and science teaching intention in terms of cognition and sociology by utilizing the regression analysis modeling. I created in order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From the relationship drawn, I have drawn a conclusion in finding out an educational technology effective way of enhancing both efficacy in science teaching and science teaching intention. The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Nuri-Curriculum of science activity, do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and support in science instruction predict a science teaching efficacy? 2. In Nuri-Curriculum of science activity, do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and support in science instruction predict a science teaching intention? In order to solve the inquiries, I have performed a research on 160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orks under the Nuri-Curriculum of science activit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the analysi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has performed on SPSS 18.0 as a scientific verification methodology in order to draw a conclusion. The main research finding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Nuri-Curriculum of science activity for 3-5 year-ol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did not meaningfully predict an efficacy in science teaching and therefore, the result came out opposite of what had been done on the past researches. However, support in science treaching of Nuri-Curriculum of science activity significantly predicts an efficacy in science teaching. I considered this is because the teachers on experiment see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as a 'process', not a 'result'. In order words they think that the science education for children is what is acquired through an individual experience. Also, even though they have the internalized knowledge from the Nuri-Curriculum of science activity for 3-5 year-old, they were not certain that the knowledge acquired could actually help direct children. From this aspect, I suggest providing opportunities of having mentoring and seminars in the manner of on-line. Through on-line community or social network service of any kind, early childhhod teachers would easily share their thoughts and knowledge to create collective intelligence and further, it would relieve the uncertainty of thei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and therefore, an efficacy in science teaching would be improved. Second, in Nuri-Curriculum of science activity for 3-5 year-ol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and support in science teaching significantly predict science teaching intention coinciding with a preceding research. However, even i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had an effect on science teaching intention, it had not influenced an efficacy in science teaching. Therefore, in this study, I suggest a teacher training in the form of blended learning which utilizes various supplementary materials so that those who have already acquired their own science teaching skills and expertise from their long years of experience could develop and fortify their abilities to be self-regulating decision-makers on their activities regardless of the limited science teaching environment they are i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further research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as targeted on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ossibly built their own science teaching skills their own from the long times of activities under Nuri-Curriculum of science activity for 3-5 year-old. This being the case, the outcome of the research might come out differently for those who are not working under Nuri-Curriculum of science activity for 3-5 year-old. Therefore, in follow-up study, an improved empirical analysis would be required thorough verification and comparison between variables sampled. Second, this study was taken upon self-report basis completing a questionnaire, the result might be a bit biased in that they could not thoroughly understand the questions. Therefore, in follow-up study, an interview type research should be utilized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paper based survey. Third, this study restricted the experiment time of small or big group activity to be performed by teachers who have been teaching with the teacher's manual for Nuri-Curriculum. However, science activities are classified as not only big or small group, but as a free choic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ize of childcare facilities, and the degree of involvement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might be difference from the type of activity. Therefore, it is required to enhance the modeling by taking into account the comparison between the engagements from different types of activities in an empirical manner. In spite of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have its own meaning as a probe study in that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and sociological aspects and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aspects having sample target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orks under the curriculum of national level. Moreover, I expect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as useful preliminary data in decision making process of improving expertise for teachers who are engaged in Nuri-Curriculum of science activity for 3-5 year-o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