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정민-
dc.contributor.author김효미-
dc.creator김효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5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0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7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061-
dc.description.abstract현재 세계 모든 국가에서는 창의성 신장을 교육의 주요 지표로 삼고, 학생들의 창의성 계발을 위해 주력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최근 발표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지식정보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인재상에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고 다양한 지식을 융합하여 가치를 창출하는 사람”을 포함시킴으로써 교육의 목표가 창의성 신장에 있음을 표명하고 있다. 한편 창의성은 영재교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이는 영재교육의 목표 중의 하나가 영재의 잠재력 계발을 통한 자아실현에 있고, 자아실현은 곧 인간의 창의성 계발을 통해 가능하기 때문에 영재교육에서 창의성을 강조하는 것은 극히 당연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영재의 창의성을 계발하고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영재를 담당하는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창의성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교사는 그렇지 않은 교사에 비하여 학생의 창의적인 사고를 인정하고 발현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창의적인 인간이 되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사의 창의성을 측정할 수 있는 준거변인으로 교사 창의성을 설정하였고, 이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전체적 사고양식, 조화열정을 설정하였다. 또한 교사효능감이 전체적 사고양식 및 조화열정과 교사 창의성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재교사의 전체적 사고양식이 교사 창의성을 예측함에 있어서 교사효능감은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가? 2. 영재교사의 조화열정이 교사 창의성을 예측함에 있어서 교사효능감은 매개변 인으로 작용하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을 담당 및 운영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105부의 응답 중 불성실한 응답 2부를 제외한 103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통계적 자료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 회귀분석,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드러난 연구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 사고양식은 교사 창의성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이를 통해 전체적 사고양식을 선호하는 영재교사는 사교적이고 활동 지향적으로 스스로가 융통성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할 수 있는 창의적인 활동을 할 것으로 기대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영재교사의 전체적 사고양식을 발달시켜 주기 위한 교사 연수 및 교직 환경이 조성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전체적 사고양식과 교사 창의성 사이에서 교사효능감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다 창의적이고 생산적이며 복잡한 인지활동을 즐기는 전체적 사고양식을 교사가 선호하거나 이러한 전체적 사고양식을 바탕으로 자신의 교수 행동들이 학생의 학습 수행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신념을 가질 때, 교사 창의성이 발현됨을 시사한다. 둘째, 조화열정은 교사 창의성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이는 교직과 일상생활을 조화롭게 영위하는 영재교사가 긍정적으로 업무에 임하고 이러한 긍정적 에너지가 교사 창의성으로 발현됨을 의미하므로 영재교사의 조화열정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조화열정과 교사 창의성 사이에서 교사효능감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조화열정을 지닌 영재교사는 영재를 가르치는 교직 생활과 본인의 개인적 일상생활을 조화롭게 유지하며, 자신의 수업행동 등으로 대변되는 자신의 효능감이 높다고 믿어 수업은 물론 생활 전반에서 창의성을 발휘할 것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을 근거로 아래와 같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선정한 연구대상은 영재교사의 일부만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이므로 연구 결과로 전체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점을 가진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영재교사를 대표하는 모집단 범위를 확장하고 다양한 분야와 소재지별 영재교사의 의견을 수집하여 검증 내용을 더욱 일반화 할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 방법은 자기보고식측정방식을 활용하였다. 이는 영재교사가 지각하는 양적인 정도로만 측정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객관적인 실체를 반영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향후 보다 다차원적이고 객관적인 설문문항을 사용하거나, 조사 대상자와 인터뷰를 통한 직접 측정과 같은 질적인 측정 방법을 통해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사고양식의 하위요인 중 전체적 사고양식만을 선정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좀 더 다양한 차원의 사고양식 프로파일을 선정하여 검증 한다면 영재교사를 다차원적인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영재교사의 교사 창의성의 예측 변수로 전체적 사고양식과 조화열정 및 교사효능감을 선정하였으나 교사 창의성은 그 외에도 영재교사의 내외부적 다양한 변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후속연구에서는 다양한 변인들로 그 영역을 확장시켜나갈 필요성이 있다. 다섯째, 지금까지 국내 교사 창의성에 대한 연구는 주로 횡단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횡단적인 연구들은 변인들의 관계와 영향력 검증에 집중하고 있어 한 시점에서의 양상만을 밝히는데 그친다. 즉, 교사 창의성 향상을 위한 교사 연수와 같은 교육을 실시할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양상이 변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종단적 분석도 의미가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는 영재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교사 창의성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전체적 사고양식, 조화열정을 설정하고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힘으로써 영재교사의 교사 창의성 향상에 대한 기초 연구를 제공한데 그 의미가 있으며, 더 나아가 영재교사 양성 및 영재교육 활성화에 토대가 될 것이다.;Currently, every country in the world counts increasing creativity as a key indicator of education, and is focusing their efforts on developing creativity. Creative-convergent human resources with core abilities required by an information-intensive society is also a goal of education in the recently announced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of 2015, and this new curriculum further expresses that the goal of education is increasing creativity by adding a new inclusion of a specific image of the ideal human resource, which is "a person who can create new knowledge and creates values by fusing diverse knowledges". Creativity is closely correlated with gifted education, as one of the goals of gifted education is self-realization through development of the gifted student's potential, and self-realization is made possible through development of human creativity. Therefore, it is entirely natural to emphasize creativity in gifted education. In order to develop and increase creativity of the gifted student, the role of the teacher in charge of the gifted student is a very important one. This is because a teacher with professional knowledge of creativity can help acknowledge and express this creative process better than a teacher with none,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making of the creative person. Therefore, in this study, teacher creativity was set as a criterion variable, and global thinking styles and harmonious passion was set as a predictor variable. Also,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whether teacher efficacy acts as a mediator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armonious passion and teacher creativity. The following ar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1. In relation to the global thinking styles of the teacher in gifted education predicting teacher creativity, does teacher efficacy act as a mediating variable? 2. In relation to the harmonious passion of teacher in gifted education predicting teacher creativity, does teacher efficacy act as a mediating variable? In order to solve this research problem,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teachers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and managing it, and among the 105 collected responses, after excluding 2 untrustworthy ones, 103 responses were used in analysis. For statistical data analysis, the researcher used correlational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Baron and Kenny(1986)'s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The results and discussion of the study shown by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global thinking styles predicted teacher creativity. Through this, it was revealed that teacher in gifted education who prefer global thinking styles were social and activity-oriented, and could be expected to take part in creative activities such as creating and managing their own flexible curriculums, and implies that teacher training and teaching environments that are meant to develop global thinking styles of these teachers in gifted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lso, between global thinking styles and teacher creativity teacher efficacy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s implies that teacher creativity is expressed when a teacher prefers creative, productive and complex cognitive tasks, or when they hold the belief that their own teaching methods based on their global thinking styles will impact a student. Second, harmonious passion predicted teacher creativity. This means that a teacher in gifted education who manages his or her work and daily life harmoniously is able to tackle their work with a positive attitude, which in turn means this positive energy is expressed into teacher creativity. Therefore, a strategy to increase the harmonious passion of teacher in gifted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lso, between harmonious passion and teacher creativity, teacher efficacy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This implies that teachers with harmonious passion mediate skillfully between their work and daily life, and believe they are highly efficient as represented by their teaching methods, which in turn insinuates that they will show creativity in their classes as well as all throughout their life. Based 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has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First, the test subjects selected for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a small portion of teacher in gifted education, which means there are limits to generalizing the whole population of teacher in gifted edu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refore, in future studies there is a need for the researchers to expand the representative participant pool of teacher in gifted education and collect opinions from teacher in gifted education of diverse areas of study in order to further generalize the contents of verification. Second, this study used the self-report method as a method of measurement. This in turn means the study could only quantitatively measure as much as the teacher in gifted education was self-aware of and leads to the possibility of failing to reflect the objective reality. In later studies, there is a need to administer more in-depth research studies by utilizing more multidimensional and objective survey questions or using qualitative measurement methods such as direct measurement through interviews with the research subjects. Third, this study only selected global thinking styles among the sub-factors of thinking styles. If later studies would select more diverse levels of thinking style profiles and verify them it would be possible to prepare a foundation to analyze teacher in gifted educations from multidimensional aspects. Fourth, the study selected teacher efficacy, harmonious passion and global thinking styles as predictive factors of teacher creativity, but teacher creativity can receive the influences of other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erefore, in future studies,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reach of understanding about the teacher creativity of teacher in gifted education through research on teacher in gifted education and its related factors. Finally, until now research studies about teacher creativity within Korea were usually cross-sectional studies. But these cross-sectional studies focu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and the strength of their influences, and merely stop at revealing aspects of one perspective. In other words, if teacher training to boost teacher creativity is implemented, as time passes that aspect is subject to change. Therefore longitudinal studies about this would also be meaningful. As shown above, this study, with teacher in gifted education as the subjects, established harmonious passion and global thinking styles as factors in predicting teacher creativity and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This study has meaning in that by reveal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eacher creativity, it provided a basic study about the improvement of teacher creativity, and will go on to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training of teacher in gifted education and the invigoration of gifted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용어의 정의 5 1. 영재교사 5 2. 전체적 사고양식 6 3. 조화열정 6 4. 교사효능감 7 5. 교사 창의성 7 Ⅱ. 이론적 배경 8 A. 영재교사 8 1. 영재교육의 개념 및 특성 8 2. 영재교사의 역할 및 자질 9 B. 전체적 사고양식 11 1. 사고양식의 개념 11 2. 전체적 사고양식의 특성 13 C. 조화열정 15 1. 조화열정의 개념 15 2. 조화열정의 특성 16 D. 교사효능감 17 1. 자기효능감의 개념 17 2. 교사효능감의 특성 19 E. 교사 창의성 21 1. 창의성의 개념 21 2. 교사 창의성 23 F. 관련선행연구 25 1. 영재교사에 관한 연구 25 2. 전체적 사고양식과 교사 창의성 27 3. 조화열정과 교사 창의성 30 4. 전체적 사고양식과 교사효능감 31 5. 조화열정과 교사효능감 34 6. 교사효능감과 교사 창의성 35 G. 연구 가설과 모형 37 Ⅲ. 연구 방법 39 A. 연구 대상 39 B. 측정도구 41 1. 전체적 사고양식 측정도구 42 2. 조화열정 측정도구 43 3. 교사효능감 측정도구 43 4. 교사 창의성 측정도구 44 C. 연구 절차 45 1. 선행연구 분석 45 2. 설문조사 실시 46 3. 결과분석 46 D. 자료 분석 방법 46 Ⅳ. 연구결과 51 A. 기술통계 51 B. 상관분석 52 C. 회귀분석 53 1. 전체적 사고양식과 교사 창의성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53 2. 조화열정과 교사창의성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56 Ⅴ. 결론 및 제언 59 A. 결론 및 논의 60 1. 전체적 사고양식과 교사 창의성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60 2. 조화열정과 교사 창의성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62 B.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64 참고문헌 68 부 록 86 ABSTRACT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959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영재교사의 사고양식, 조화열정, 교사 창의성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of the Teacher Efficacy i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Global Thinking Style, Harmonious Passion and Teacher Creativity of teacher in gifted education-
dc.format.pageviii, 9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공학·HRD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