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1 Download: 0

방과후학교 미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학부모의 인식 조사

Title
방과후학교 미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학부모의 인식 조사
Other Titles
Survey study on school parents to make after-school art education active: School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in Seoul oriented
Authors
이미래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은애
Abstract
현대사회는 급변하는 시대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창의적이며 융통성 있는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개인의 잠재력과 개성을 발휘할 수 있고 창의성을 개발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입시경쟁의 분위기 속에서 지식전달 위주의 교과가 중요시되고 있어 주지교과가 아닌 미술교과는 학교와 학부모 및 학생들에게 소홀히 취급받고 있다. 미술교과는 개성 및 창의성 개발을 할 수 있어 중요성을 갖추고 있는데, 학교 정규 교육과정에서의 미술교육은 제한된 시간과 공간 속에서 교과서 단원의 틀을 벗어나기 힘들어 다양한 미술활동을 하기에는 여러 한계점들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한정된 정규 미술수업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방과후학교 미술교육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방과후학교 미술교육은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흥미로운 미술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부모의 과도한 사교육비 부담을 덜어주고 하교 후 위험한 주변 환경으로부터 안전한 학교에서 보호해주는 등 여러 가지 이점들을 가지고 있어 이를 내실화하기 위한 정부와 시·도 교육청의 노력과 방과후학교 미술교육 현황 및 문제점 파악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방과후학교 미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인식조사는 교사나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고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인데, 아직 어린 초등학생은 교육에 대한 결정여부에 학부모가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어 방과후학교 미술교육이 효과적으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이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학부모는 학생과 함께 교육서비스의 주체라고 볼 수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선행연구들에서도 학부모의 인식조사를 통한 문제점 파악이 교육의 질 개선을 위해 중요하며 특히 더 심화된 연구를 위한 질적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한형임, 2009). 따라서 본 연구는 방과후학교 미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학부모의 인식조사로, 전반적인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양적연구와 구체적인 의견을 수집할 수 있는 질적연구를 병행하였다. 먼저, 방과후학교 및 방과후학교 미술교육에 관해 이론적 고찰을 하고 연구의 목적에 맞게 방과후학교 미술교육의 필요성과 목적, 운영 및 효과, 수업내용과 참여, 문제점 및 개선점에 대한 인식을 묻는 설문지를 제작하여 서울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학생의 학부모 20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Ver 19.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X2검정을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문제에 관심이 있으며 다양한 미술교육 경험이 있는 학부모 6인을 학년별로 선정하여 구체적인 의견을 얻기 위한 문항지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의 새로운 요구를 적극 반영한 방과후학교 미술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 현재 초등학교에서는 주로 공예나 그리기 위주의 표현 수업으로 편중되어 개설되어 있어, 학부모들은 더 다양한 미술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와 감상교육의 부족함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었으며 미술관 전시감상 프로그램에 대한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따라서 다양한 수업개설이 필요하며 특히 미술 감상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학년별 학부모의 인식 차이를 고려한 수업 운영이 필요하다. 조사결과 학년에 따라 저학년 학부모는 공예수업을 선호했지만, 고학년 학부모는 그리기 실력 향상을 위한 실기수업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 학교에서는 저·중·고학년을 합쳐서 수업하거나 1~6 전 학년을 한반으로 개설하기도 해 학교에서는 미리 수요조사를 하여 학년별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학부모에게 방과후학교 미술교육에 대한 홍보와 피드백이 더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 학부모들은 홍보와 피드백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수업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고민하다가 참여하지 않기도 해 홈페이지나 가정통신문을 통한 학교에서의 적극적인 홍보 및 피드백이 필요하다. 넷째, 수업환경에서의 문제점들이 개선되어야 한다. 학부모들은 미술 전용실 확보가 필요하며 너무 많지 않은 적절한 인원으로 수준 차이를 고려한 반 편성을 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지도강사가 연속성 없이 너무 자주 바뀌는 것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어 이러한 개선이 필요하다. 다섯째, 사교육에 대한 경쟁력을 갖춰야한다. 특히 초등학교 입학 전 사교육을 먼저 경험하게 되고, 이 때 만족한 경우 사교육에 의존하게 되어, 방과후학교 미술교육의 문제점들을 개선한 경쟁력들을 갖추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초등학교 방과후 미술교육을 위한 감상 프로그램 개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언하며, 방과후 미술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감상교육 프로그램인 헬로우뮤지움의‘찾아가는 미술관’프로그램을 소개한다.;We are demanding a talented person who is flexible, creative and cope actively with the rapidly changing era in this modern society. For training these kind of talented person, we should put an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demonstrate individual`s potential ability, and develop individual`s creativity. However, in our country, because of competition for entrance exams, knowledge delivery education which are History, Mathematics, Science, Korean and etc. are more important than the Art. Because of that, the art is treated poorly to students and school parents. Art is important because it makes students develop their own personality and creativity however, Art subject from the regular school education, it is in a limited time and space and it is hard to make them think beyond the box from the textbook. As a result of that, it is reached to critical point to do the various art activities but, there are ways to make the art education as after-school activities, to supplement the limited formal art class. After-school art class can be managed by applying learner`s demand which will be more interesting art program, and there are lots of benefits such as lessening burden of school parents from private education expenses, protecting students from the dangerous surroundings after-school. By reason of this, Government and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eek substantiality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problem of after-school art class and looking for the improvement plan. However, survey study about this matter, there are largest number of research from teachers and students but, there are not many research from school parents. We need to figure out school parents` awareness and reflects their thoughts because for elementary students need their care so school parents have a decisive effect on students. Also, they are the principal agents with the students, so it is necessary to do this research; also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education quality by realizing the problem through the survey study of school parents. Especially, it is mentioned that qualitative research is necessary to do deeper research. Therefore, this research is the survey study of school parents for vitalizing the art study. We combined two researches; one is quantitative research to investigate overall awareness and the other is qualitative research to gather detailed opinions. At the beginning, we made questionnaire about the need, the purpose, the operation and effect, contents of a class, participation, problems, and improvement point of after-school art class, respect to the object of the research on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after-school art class, then we conduct a survey to 200 school parents of elementary students who are in Seoul. Collected Data is analyzed on four categories by statistical program called SPSS Ver 19.0; analysis of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and X2 testing hypothesis. Also, we selected 6 school parents who are interested on the research and have a variety experience on art study and carried out an in-depth interview to get a detailed opinion about our research.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following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First, after-school art program need to be operated based on the school parents` demands. These days, in elementary school, the classes are concentrated on handicrafts or drawings. School parents know that demands on various art programs, and sentimentality education are lacking, and they had a high preference on visiting the art museum. Therefore, various classes should be opened and especially the research on art appreciation program must be progressed actively. Second, the class need to be operated by considering perceived gap of each grade`s school parents. Through our research, the parents of lower grades preferred the craft classes however, the parents of higher grades preferred practical work class for improvements on drawing. However in reality, there are only one class for all grades, or classes with lower, middle, and high class in the same classroom. School has to do the education demand survey and need to operate the program for each grade. Third, publicity and feedback should be reached actively about after-school art education to school parents. School parents realized that publicity and feedback are lacking. They are concerning about participating on art class however, they couldn’t decide easily because they have lack of information on the class. So school need to publicize and give a feedback through a school homepage or school newsletter. Fourth, the problems of classroom environment have to be fixed. School parents realized that the class has to be organized according to level and appropriate number of students and need to secure the private room for art class. Fifth, we should have competitive power toward private education. Especially, before entrance into elementary school, our kids experience the private education, if it is satisfied, they will have more attention to private education than after-school art education. So, we have to put an effort to improve the problems on after-school art program to increase and have the competitive power. Lastly, we suggest to develop art application program on after-school art education, and we introduce the Hello Museum`s visiting art museum as an application program which can be a practical use for after-school art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