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5 Download: 0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 교육 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Title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 교육 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Study on Korean Culture Education Need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uthors
전홍미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준식
Abstract
본 연구는 기초 적응기 이후의 정착 단계에 해당하는 여성결혼이민자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들의 문화 적응 단계에 맞는 문화 교육에 대한 실제적인 요구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와 같이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 교육 요구를 분석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힌 후, 연구 문제를 제시했다. Ⅱ장에서는 연구 방법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를 선택한 이유를 제시하고 연구 대상의 선정과 인터뷰 질문 선정, 인터뷰 진행, 자료 분석 방식 등 연구 절차에 대해 설명하였다. Ⅲ장에서는 자료 분석 결과를 제시했는데, 문화 교육 요구가 나타나게 된 배경과 문화 교육에 대한 요구를 나누어 정리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정착과 사회 진출, 가족과의 소통 등의 이유와 함께 특히 자녀 교육 지원이 인터뷰에 참여한 여성결혼이민자들이 문화를 학습하고자 하는 가장 큰 동기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이 한국 문화를 학습해 온 방식 중 지속적인 문화 교육이 가능한 교육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한국어 수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어 수업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 교육에 대해 짚어본 결과, 그 내용과 비중이 학습자의 요구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한국어 수업과는 별도의 문화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별도의 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의 역사, 관습, 존댓말의 사용, 생활 예절, 문화 차이 등의 문화 내용을 학습하고 싶다는 요구와, 한국어 수업처럼 체계적인 교육 과정을 가진 지속적인 문화 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요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Ⅳ장에서는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다시 정리하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밝힌 후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심층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 교육 요구가 나타나는 배경과 구체적인 요구의 내용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는 현장 가까이에서 실제적인 요구를 알아보는 요구 분석의 시작으로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ubstantial needs for the culture education suitable for cultural adaptation step, a settlement phase after basic adaptive period, experienced by female marriage immigran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Chapter I suggests some study questions by investigating previous studies which analyze culture education need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s does this study and revealing the purpose and necessity. Chapter II shows the reason why the qualitative study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was selected as the study method, and explains the study procedure: selections of subjects, interview questions and progress, and data analysis plan. Chapter III presents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nd the background from which the culture education needs derived and needs for culture education are divided and arranged. From the analysis, it can be found that settlement in Korea, entry into society, communication with family members and especially, support for child education are main motivation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participating in the interviews to learn Korean culture, and that the educational program allowing continuous culture education, among some methods by which they have learned the Korean culture is the Korean language clas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However, an analysis on the culture educations conducted in the Korean language class shows that their contents and proportion cannot satisfy the needs of learners. Therefore, a special culture education program distinguished from the Korean language class is heavily required by them: it is verified that they desire to learn some cultural contents such as history and tradition of Korea, use of a term of respect, manners and cultural difference; and ask for operation of continuous cultural education program with a systematic curriculum, as in the Korean language class. Finally, chapter IV rearranges som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suggests future study after it presen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This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from which the culture education need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ppear and their contents of needs by using the qualitative metho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It may have an implication as a start point of needs analysis, for understanding the substantial needs on the fie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