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9 Download: 0

초등 수학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에 작용하는 의지통제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분석

Title
초등 수학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에 작용하는 의지통제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and Moderating Effects of Volition Control working on S​elf-Regulated Learning in Elementary Mathematics
Authors
정연숙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수학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노선숙
Abstract
In a knowledge based society of information of today, the ultimate goal of education is to enhance ability to start, control, and maintain learning oneself. In the past, teachers have taken entire responsibility for the whol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example, the setting of like long and short term goals, specific activities, data services and distribution of time and so on. But today, students as well as teachers are required to assume responsibility for the role of learning and this situation asks students to be self-regulated learners in goal setting, selection of strategy and checking the learning process to achieve their goal. Self-regulated learning emphasizes how to control learners' behavior in terms of motivation and cognition in the learning process. Volition control works to maintain the first motivation of the attainment of their goal and to keep up effort and task performance in spite of distractions around them. The volition control takes effec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reas of self-regulated learning, learning strategies and learners' motivation. As self-regulated learning has a positive role in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importance of self-regulation in the learning process is emphasized more. But volition control studies in mathematics learning are relatively small and related studies also handle partial sub-factors of volitional control. So, we need to analyze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volition control among areas in self-regulated learning in mathematics for higher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to be able to do self-regulated learning and volitional control. In addition we need to confirm how different volition control work i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for mathematics learning is between high grade elementary school boys and girls as in previous domestic and overseas studies.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 were selected for the research objectives: 1. How dose volition control(M-VC) work for the relationship among areas of mathematical self-regulated learning(M-SRL) for higher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1-1. Does M-VC work as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in M-SRL areas for higher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1-2. Does M-VC work as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in M-SRL areas for higher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1-3. What are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M-VC shown by to the higher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in mathematics classroom? 2. What difference would be shown with the volitional control(M-VC) in self-regulated learning for mathematics learning(M-SRL) between the boys group and girls group in higher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2-1. What difference would be shown in mediating Effects of M-VC in the relationship in M-SRL areas between the boys group and girls group in the higher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2-2. What difference would be shown in the moderating effect M-V in the relationship in the M-SRL areas between the boys group and girls group in higher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The method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the plans for assessment tool were developed in order to measure M-SRL of elementary school upper grade students and conducted the pilot tests for 5th graders. After testing, the data were analyzed for the results, confirmed main testing tool was,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verified through calculating inter-item consistency coefficient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y main testing of 466 students in 6th grade in Seoul. Secondly, used to tools developed by Choi et al.(1998) for mathematics learning were used to conducted pilot tests 5th graders in order to measure M-VC of elementary school high grade students. After analyzing the results, the main testing tool was confirmed. The main testing tools were verified for reliability through calculating the inter-item consistency coefficient with sample data. Thirdly, the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b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obel verification and moderating effects b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imple and simple slope verification to examin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Finally, behavior characteristics of M-VC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by sampling 4 students intentionally whose behavioral control region was higher than the others in M-SRL were analyzed with the results of research problem 1-1 and 1-2 as the center. The following are the brief results of the research problems: First, M-VC worked as the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the motivation regulation for the cognition regulation in M-SRL of upp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explanation power of mediated effect about cognition control of M-VC was the largest. There was no mediated effect between cognition regulation area and the behavior regulation area by environment control. Secondly, M-VC in M-SRL of elementary school upper graders worked as moderating effects in relation between cognition regulation and motivation regulation and between cognition regulation and behavior regulation. It didn't work as moderating effects in relation between motivation regulation and behavior regulation. Thirdly, the students who are higher on behavior regulation than the motivation regulation and cognition regulation of M-SRL showed that attention control in cognition regulation was a strong and especially strong control during the exam more than lesson periods. And environment control was slightly different by the level of cognition regulation, but mostly task helper was controlled. Fourthly, the mediating effect of M-VC appeared more in the boys group than in the girls group. The mediating effect appeared between motivation regulation and behavior regulation in the boys group. The mediating effect appeared in only 1 case between the cognition regulation area and the behavior regulation area. Fifthly, the moderating effect of M-VC showed more in the girls group than in the boys group. The moderating effect showed the most between motivation regulation and cognition regulation in the boys group. Finally, the girls whose level of task value was low and whose level of environment control was high showed a high level of asking for help. The boys whose level of sense of self-efficiency was low and level of environment control was high showed a low level of meta-cognition. This was similar to the results of research.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M-VC in M-SRL is working not only as a mediated effect but also as a moderating effect for higher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The effect of M-VC is working differently on relation M-SRL area and minor factors. It means that we need to consider M-VC moderating effect on M-SRL of students to find environment of teaching-learning in order to improve self-regulation learning for higher grade in elementary mathematics learning. According to student’s level of M-SRL, it is effective to teach with thinking for M-VC to apply positively and the levels of M-VC. Secondly, M-VC as the mediating effect for the relation of areas of M-SRL for higher grade boys and girls works in boys stronger than in girls. M-VC as the moderating effect for the relation of areas of M-SRL works for girl groups than boy groups. Environment control is only negatively working for the relation areas of task value and asking help for girl groups. It means that different effects of M-VC are working for girls and boys in relation of M-SRL area and minor factors. Since the working effects in relation of M-SRL area and minor factors are different, teachers need to consider gender difference to teach considering effects of M-VC on each level of M-SRL area. Thirdly, teachers need to understand M-VC behavior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mathematics class through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analysis of M-VC and to use for reducing obstacles in mathematics learning. One girl who has high task value, for example, can study effectively and focus in order to achieve that task, but the other girl who needs to ask for help would be negatively influenced by high level environment control. Asking for help is a good way to figure out difficult problems when students are in trouble. When a girl who has high task value needs the strategy of asking for help, we had better check how much environmental control works. It is effective that we make it lower for that girl. Furthermore, it is required to check various context because there may be other factors unobserved in mathematics class. It is meaningful because M-SRL is related to learner active and voluntary attitude and possible to improve according to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Elementary school is a crucial time to build up. The power of self-regulated learning is developed on learning environment. It could influence future learning as well. It is important that the kind of environment of teaching-learning is offered in order to be good self-regulated learning, not only intellect but also motivation and behavior. A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VC effect applied were various according to relation among M-SRL area and gender. Therefore teachers, parents and educators need to examine the level of M-SRL and consider M-VC effect to improve M-SRL that can be acquired by students in order to offer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I suggest that developing an individualized program that M-VC effect is intervened is required to improve M-SRL of the higher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as a follow-up study. Moreover I suggest examining more if there are other factors to affect on M-VC like M-VC the relation among M-SRL area. These studies will offer specific and objective data to understand M-SRL of the higher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This information can be helpful to improve and develop M-SRL of students.;전통적 사회와 달리 오늘날의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이자 본질은 자신의 학습을 스스로 시작하고 조절하며 유지해 나가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다. 과거의 교실은 교수학습의 장·단기적 목표부터 이에 대한 구체적 활동, 자료제공, 시간배분 등 교수학습의 전 과정에 있어서 교사에게 전적으로 책임이 부여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의 교실은 학습에 대한 책임과 역할이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부여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목표설정, 전략의 선택,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학습과정의 점검 등에서 학생들이 자기조절학습자가 되도록 요구하고 있다. 자기조절학습은 학습과정에서 학습자 스스로가 인지적․동기적으로 어떻게 행동을 조절하는가에 강조를 두고 있다. 이러한 자기조절학습에서 목표달성에 대한 처음의 동기를 유지하고 주변의 방해에도 불구하고 과제에 요구되는 노력과 과제 수행을 지속하는 과정에 의지통제가 작용하고 있으며, 의지통제는 자기조절학습의 영역과 수행하는 학습전략 및 학습자의 동기적 요인 등에 따라 그 효과가 다르게 나타난다. 이와 같이 의지통제는 학습자의 학습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특성변인으로서 자기조절학습에 긍정적인 효과로 작용하고 있으나, 수학학습에서 의지통제와 관련된 연구들은 상대적으로 미비할 뿐만 아니라 관련된 제 연구들도 의지통제의 일부 하위 요인들만 대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자기조절학습에서 의지통제의 매개적 역할을 시사하고 있으나 조절적 역할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학습과 의지통제의 사용이 가능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수학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의 영역 간에 작용하는 의지통제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수학학습에 있어서 남녀에 따라 차이가 있음은 국내외 연구에서 여러 번 언급된 바, 본 연구에서도 수학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에 작용하는 의지통제의 작용 효과가 초등학교 고학년 남녀학생 집단 간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수학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Mathematical Self- Regulated Learning, M-SRL)의 영역 간 관계에서 의지통제(Mathematical Volition Control, M-VC)는 어떻게 작용하는가? 1-1. M-SRL의 영역 간 관계에서 M-VC는 매개효과로 작용하는가? 1-2. M-SRL의 영역 간 관계에서 M-VC는 조절효과로 작용하는가? 1-3. 수학교실에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에게 나타나는 M-VC의 행동특성은 어떠한가? 2. 남녀학생 집단 간에 수학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Mathematical Self- Regulated Learning, M-SRL)의 영역 간 관계에서 의지통제(Mathematical Volition Control, M-VC)의 작용 효과는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2-1. 남녀학생 집단 간에 M-SRL의 영역 간 관계에서 M-VC의 매개효과는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2-2. 남녀학생 집단 간에 M-SRL의 영역 간 관계에서 M-VC의 조절효과는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M-SRL을 측정하기 위하여 검사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문항을 개발하여 5학년에게 예비검사를 실시한 후 결과를 분석하여 본검사 도구를 확정하였다. 본검사는 서울소재 5개 지역 초등학교 6학년 466명에게 실시하여 문항내적일치도 계수를 산출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M-VC를 측정하기 위하여 최진승 등(1998)이 개발한 도구를 수학학습에 맞게 수정하여 5학년에게 예비검사를 실시한 후 결과를 분석하여 본검사 도구를 확정하였다. 본검사는 자기조절학습 검사를 실시한 학교와 동일하게 표집하여 6학년 516명에게 실시하여 문항내적일치도 계수를 산출하여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셋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M-SRL에 작용하는 M-VC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M-SRL과 M-VC의 두 본검사에 동일하게 참여한 6학년 430명의 설문자료를 중심으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과 Sobel 검증을 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고, 위계적 중다회귀분석과 단순 기울기 검정을 하여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M-VC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분석결과를 토대로 M-SRL에서 행동조절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높은 학생 4명을 의도적으로 표집하여 수학교실에서 나타나는 M-VC의 행동특성을 살펴보았다. 넷째, 연구문제 1에서 본검사에 참여한 고학년 학생 430명을 남녀에 따라 구분하여 남학생 217명과 여학생 213명을 대상으로 각각 위와 동일한 절차에 따라 남녀학생 집단 간 M-VC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의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M-SRL에서 M-VC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에서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M-SRL에서 M-VC는 동기조절 영역과 인지조절 영역 사이에서 모두 매개효과로 작용하고 있었고, M-VC의 인지통제에 대한 매개효과의 설명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환경통제는 인지조절 영역과 행동조절 영역 사이에서 매개효과로 작용하지 않았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M-SRL에서 M-VC는 동기조절 영역과 인지조절 영역, 인지조절 영역과 행동조절 영역 간 관계에서 조절효과로 작용하고 있었고, 동기조절 영역과 행동조절 영역 간 관계에서는 조절효과로 작용하지 않았다. 셋째, 초등학교 고학년 수학교실에서 M-SRL의 동기조절과 인지조절의 수준에 비해 행동조절의 수준이 높은 학생들에게 나타난 M-VC의 행동특성을 살펴본 결과 대체로 인지통제 중 주의집중통제가 높았으며 특히 수업시간보다는 시험시간에서 높은 통제를 보여주었다. 또한 인지조절의 수준에 따라 환경통제는 다소 차이가 나타났지만 주로 과제조력자통제가 이루어졌다. 연구문제 2의 초등학교 고학년 남녀학생 집단 간 M-SRL에서 M-VC의 매개 및 조절효과를 비교분석한 결과에서 첫째, 남학생집단이 여학생집단보다 M-VC의 매개효과가 많이 나타났다. 남학생 집단만 매개효과가 나타난 영역을 살펴보면 동기조절 영역과 행동조절 영역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많이 나타났고, 여학생 집단만 매개효과가 나타난 영역은 인지조절 영역에서 행동조절 영역 사이에서 한 가지 경우에만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남학생집단보다 여학생집단이 M-VC의 조절효과가 많이 나타났으며, 남학생 집단만 조절효과가 나타난 영역을 살펴보면 동기조절 영역과 인지조절 영역사이에서 조절효과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모두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여학생 집단만 조절효과가 나타난 영역은 인지조절 영역과 행동조절 영역 사이에서 조절효과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조절변수가 환경통제인 경우를 제외한 모든 조절모형에서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M-SRL에서 M-VC는 매개효과뿐만 아니라 조절효과로 작용하고 있었다. 또한 M-SRL의 영역 및 하위 요인 간 관계에서 M-VC의 영향력과 효과가 다르게 작용하고 있었다.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M-SRL에서 다르게 작용하는 M-VC의 영향력과 작용 효과에 대한 분석이 보다 세밀하게 이루어진다면 수학학습에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을 향상키기 위한 교수․학습 환경을 모색하는데 있어 학생들의 M-SRL에 작용하는 M-VC의 작용효과를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의 M-SRL의 영역별 수준에 따라 M-VC가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영역과 M-VC의 수준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 남녀학생 집단 간 M-SRL에서 M-VC는 여학생 집단보다 남학생 집단에서 매개효과로 더 많이 작용하였고, 남학생 집단보다 여학생 집단에서 조절효과로 더 많이 작용하였다. 환경통제는 여학생에게 과제가치와 도움구하기의 관계에서 유일하게 부적인 조절효과로 작용하였다. 이는 M-SRL의 영역 및 하위 요인 간 관계에서 남녀에 따라 M-VC의 영향력과 작용하는 효과의 종류가 다르다는것을 의미한다. 남녀에 따라 M-SRL의 영역 및 하위 요인 간 관계에서 M-VC의 작용 효과가 다르게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교사가 학생들의 M-SRL의 영역별 수준에 따른 M-VC의 효과를 고려하여 지도하고자 할 때 성차에 유의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교사는 M-SRL에서 작용하는 M-VC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의 분석을 통해 수학교실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M-VC의 행동특성을 이해하고, 학생들이 수학학습에 있어서 나타나는 어려움을 개선하는데 이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학에 대한 과제가치가 높은 여학생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시간과 에너지를 투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학습이 가능하지만, 높은 수준의 환경통제와 상호작용할 경우 도움구하기가 필요한 여학생에게 비효율적인 작용으로 나타날 수 있다. 도움구하기는 과제 수행 중에 어려움에 부딪혔을 때 과제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다. 과제가치의 정도가 높은 여학생에게 도움구하기 전략이 필요할 경우는 여학생에게 환경통제가 높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환경통제의 수준을 최소화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수학교실에서 관찰된 학생들의 행동이나 관찰되지 않은 행동들은 그 밖의 변인들의 영향에 따라 작용될 수있으므로 학생들의 행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상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M-SRL은 학습자의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학습태도와 관련되며 교수·학습의 환경에 따라 향상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초등학교는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시기로 학습 환경에 따라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능력이 발달될 수 있으며, 이후의 학습수행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수학학습에서 인지뿐만 아니라 동기와 행동적 차원 모두에서 자기조절학습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어떤 교수 ․ 학습 환경이 이루어지느냐가 중요하다. 본 연구결과에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M-SRL 영역 간 관계나 성별에 따라 M-VC의 작용효과는 다양하게 나타나났다. 따라서 교사, 부모 및 교육관련 연구자들은 학생에 대한 M-SRL의 수준을 진단하고 M-SRL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생에게 필요한 실제적인 전략을 지도하고 습득할 수 있는 M-SRL의 교수·학습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M-VC의 작용 효과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M-SRL을 향상시키는데 M-VC의 효과가 개입된 개별화된 전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검증해 볼 것을 제안한다. 또한 M-SRL의 영역 간 관계에서 M-VC에 영향을 주는 또 다른 변수들이나 M-VC와 같이 M-SRL에 매개효과나 조절효과로 작용하는 그 밖의 변수들을 탐색해 볼 것을 제안하다. 이러한 연구들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M-SRL을 이해하는 데 구체적이고 객관적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학생들의 M-SRL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향상시켜나가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수학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