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현주-
dc.contributor.author오소영-
dc.creator오소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4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9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9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98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리듬 수행 능력과 인지 능력 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한 학교에서 관리자 및 담임교사의 협조 하에 3학년 아동 59명을 모집하였다. 연구기간은 2015년 4월 13일부터 5월 13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음악치료 전공 전문가의 조언을 통해 iPad를 사용한 리듬 수행 검사, 숫자 외우기 검사(DST), 아동 색선로 검사(CCTT), 키보드를 활용한 자가 탭핑 검사(MIDI test)의 총 4가지 검사를 선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 총 5명의 음악치료 관련자들이 실험 진행에 대한 충분한 연습을 통해 원칙과 이론을 숙지한 후, 각 실험 일자별로 담당한 검사 도구만 진행하도록 했다. 리듬 수행력 측정과 각 검사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제공된 문항들을 분류하여 인지 기능 및 개인 내적 리듬과 리듬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검사 결과 정확도(accuracy)를 측정하는 문항(리듬 수행 과제 1단계의 10개 문항)은 MIDI test에서 개인이 편안하게 키보드 키를 반복적으로 누른 속도(BPM)와 상관성을 보였으며, 그룹핑(grouping)능력(리듬 수행 과제 2단계)은 CCTT와 상관성을 보였다. 즉, 리듬을 정확하게 연주하는 것은 개인 내적인 박자와 상관이 깊고 그룹핑 능력은 인지 기능과 관련이 있다는 의견과 일치하는 결론이 확인되었다. 특히 문항을 분석하여 각 검사 별 문항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정한 리듬이 두 번 이상 연속으로 반복되어 제공되는 리듬꼴은 BPM과 부적 상관을 지니며, 분할박이 많은 리듬꼴 연주를 잘 하는 아동이 CCTT와 정적 관계로 집행기능과 상관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리듬꼴에 연속적인 반복이 없는 리듬꼴은 작업 기억인 DST와 상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 분석 결과 각 도구별 기능 특성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리듬꼴이 검사 도구별로 통계학적 유의미성을 지닌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연구 실험에 사용된 리듬 수행 과제가 초등학교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낼 수 있으며, 인지 기능과 상관관계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리듬 수행 과제를 통해 아동의 인지 기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아동의 내적 리듬 특성(time keeping 능력)과 집행기능 및 작업 기억능력을 점검할 수 있는 리듬꼴의 특징을 활용해 아동의 인지 및 음악적 특징을 예측해 볼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hythm reproduction ability and cognitive function of children. 59 children from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ou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under permission of their class teachers and the principal.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13th April 2015 to 13th May 2015 including 4 tests, which are rhythm task with iPad, DST(Digit Span Test), CCTT(Children's Color Trails Test), MIDI test, where participants were asked to tap on one key of the keyboard consistently with a finger on the speed the player felt comfortable. Data for each test were collected respectively by 5 music therapy experts, who previously were trained for assessment. Correlation between rhythm task score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hythm types and CCTT and DST scores, and MIDI test scores were analyzed. Scores of the 1st stage of the rhythm task examining rhythm accuracy had a correlation with BPM of the MIDI test. The 2nd stage scores for rhythm grouping had a corelation with CCTT scores. This result suggests that accuracy of a simple rhythm task is related to personal internal rhythm. Also cognitive function may affect rhythm grouping ability. Through analysis of characteristic of rhythm items, it is appeared that scores for rhythms with rhythm patterns repeated at least twice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BPM. Scores for rhythms with subdivision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CTT scores This may indicate that this type of rhythms has a relation with the executive function. Scores for rhythms without repeated pattern showed a correlation with DST scores, which measures the working memory. Results of the analysis for each rhythm items showed that there was a common rhythm characteristics in items correlated with executive function, working memory and personal internal rhythm, respectively. The results suggest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rhythm ability and cognitive function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the rhythm task used in this experiment may be useful to examine cognitive function of school-aged children. Moreover the characteristics of rhythms to examine the executive function, working memory and personal internal rhythm of school-aged children can be used as a data to predict the intellectual function and musical persona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 문제 5 Ⅱ. 이론적 고찰 6 A. 리듬과 인지 기능 6 B. 집행기능 12 Ⅲ. 연구방법 19 A. 연구대상 19 B. 측정도구 20 C. 연구절차 27 Ⅳ. 결과 및 논의 31 A. 결과 31 1. 연구대상자 일반 특성 31 2. 연구에 사용된 검사의 전반 결과 35 3. 리듬 수행 과제와 개인의 리듬 특성 간 상관관계 39 4. 리듬 수행 과제와 인지 기능과의 상관관계 39 5. 리듬 분석을 통한 리듬 특성과 아동 특성의 상관 분석 41 B. 논의 51 Ⅴ. 결론 및 제언 53 A. 결론 53 B. 제언 56 참고문헌 58 부록 63 ABSTRACT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8405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15.85154-
dc.title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리듬수행 능력과 집행기능 수준의 상관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relation between rhythm task ability and the executive function of 3rd grade student of elementary school-
dc.creator.othernameOh, So Young-
dc.format.pagev, 75 p.-
dc.contributor.examiner김수지-
dc.contributor.examiner장근주-
dc.contributor.examiner정현주-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