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윤정-
dc.contributor.author이지원-
dc.creator이지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5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1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8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110-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는 지식정보화 사회로 한 가지 분야에 있어서 전문적인 지식을 요구하던 과거에 비해 오늘날의 사회는 다양한 지식을 수용하여 복합적인 사고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해졌다. 이에 교육영역에서는 교과 간 통합을 통하여 축적한 지식을 삶에 유용하게 쓸 수 있도록 하였다. 현재 시행중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통합방향에서는 교과 간 통합적 접근을 통하여 학습자의 창의적인 사고를 기르고 교과의 폐쇄성을 탈피하도록 제시하는 등 다양한 학문적 경계를 넘나드는 통합교육을 강조하였다. 다양한 교과의 통합 중 미술과와 과학과의 통합은 미술수업을 통한 창의적인 활동과, 재료 탐색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 및 실험을 함으로써 과학적인 원리를 이해하고 학습을 전이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09 개정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중학생을 대상으로 통합교육에 대해 연구한 논문을 살펴본 결과, 미술과 과학을 통합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최근의 국제 수학 및 과학 성취도 추이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학업성취도는 다른 나라 학생들과 비교하여 매우 우수한 반면, 교과에 대한 흥미도와 학습동기는 그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육방향에 맞게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미술과와 과학과의 통합수업을 개발하고, 통합수업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미술과 과학의 통합을 위해 통합교육의 정의와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통합교육의 유형 중 포가티(Fogarty)의 공유형을 바탕으로 교수-학습 설계가 이루어졌다. 또한 2009 개정 미술과와 과학과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교과서 단원을 선정하였으며 두 교과 간의 통합적 접근에서의 의의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동질집단으로 검증된 중학교 2학년 네 개의 학급이며, 두 반씩 나누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각반 평균 23명씩 총 90명의 학습자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험집단인 두 개의 학급에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미술과 과학을 통합한 수업을 적용하고, 나머지 두 개 학급의 통제집단에는 일반적인 분과식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5년 3월31일부터 4월 21일까지 3주의 기간으로, 총 6차시 동안 실험처치가 이루어졌다. 집단 간 실험 전과 실험 후 학습동기와 미술과와 과학과의 학업성취도에 나타난 변화를 도출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지를 작성하였으며 각각의 검사지는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현직교사와 미술교육전문가로부터 문항의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통계 분석은 SPSS WIN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test(Independent samples t-test)검사와 대응표본 t-test(Paired samples t-test)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동기 검사에 있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비교하였을 때, 미술과와 과학과의 통합 프로그램 수업을 받은 학생들은 수업 전에 비해 수업 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증진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학습동기의 하위영역요소에 있어서 ‘탐구 및 호기심’과 ‘자신감’에서는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관련성’, ‘만족감’과 ‘동기지속성’에 있어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미술과와 과학과의 학업성취도와 관련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비교하였을 때 실험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증진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전반적인 학생들의 실기평가와 관련하여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평가영역인 주제표현, 표현방법, 조형요소와 원리에 있어서 평가가 높이 나왔음을 알 수 있었다. 실기평가는 연구자 포함, 경력 20년 이상의 현직 중학교 교사 1인과 미술교육 전문가 1인과 함께 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낮은 학습동기를 높이고 그에 따른 긍정적인 학업성취도 결과를 이끌어내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미술과와 과학과의 교과통합에 대한 연구 중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비했던 중학생을 대상으로 교과통합의 효과성을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을 갖는다. 앞으로 본 연구뿐만 아니라 교과통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학생들이 흥미가 없었던 과목에도 재미를 느끼고 주체적으로 학습에 참여하여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기를 기대한다.;In a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it becomes important for people to be equipped with holistic thinking skills to deal with today's complex problems, that could be best achieved by the improvement in education methods. Building on this idea, multi-disciplinary courses are frequently observed these days among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 Korea to reflect the governmental emphasis on the integrated education as have been stressed in a series of guidelines on school curricula since 1981. The 2009 amendments to the guideline on school curricula continues to stress the importance of inter-disciplinary approac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mpirically find out the effect of an integrated teaching program combining art and science on the students' academic motivation and performance. For an empirical test, an integrated teaching program of art and science was developed following the Fogarty integration model. The 2nd grade students of a girls' middle school in southern Seoul was selected for the experiment with the designed program, Two classes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 group with another two classes being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T-test of means was utilized to find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test differences revealed between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Academic motivation is composed of five low level components representing ‘eagerness and curiosity’, ‘confidence’, ‘linkage’, ‘satisfaction’ and ‘motivation sustainability’ respectively. The students belonging to each group were tested twice on their academic motivation and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receiving their corresponding teaching treatment. The findings from the t-test are as follows. With regard to the effect on academic motivation in aggregate terms, the experiment group reveal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reatment, while the control group show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Likewise, the experiment group contrasts sharply with the control group after the teaching treatment, with the tes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proving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respective t-test results for the low level components of academic motivation are contrasted. For example, both for ‘eagerness and curiosity’ and ‘confidence’, the t-test reveal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experiment group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Similarly,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the treatment both for ‘eagerness and curiosity’ and ‘confidence’. On the other hand, for ‘linkage’, ‘satisfaction’ and ‘motivation sustainability’, the t-test reveal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experiment group between before and after treatment, while the control group show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iod. Likewise, the experiment group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control group after the treatment for these three components. With regard to the effect on academic performance, for both art and science, the experiment group reveal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reatment, while the control group show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iod. Likewise, for both art and science academic performance, the experiment group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control group after the treatment. From the above, it can be concluded that an integrated teaching program combining art and science can bring more positive results as a whole on both students' academic motivation and performance than a traditional, segregated teaching program, as the integrated teaching program will enhance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on the subjects concerned, which will again contribute to improving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4 A. 통합교육의 이해 4 1. 통합교육의 정의 및 필요성 4 2. 통합교육의 유형과 특징 6 3. 통합교육의 수업 설계 모형 11 B. 중학교 미술과와 과학과의 통합수업 14 1. 2009 개정에 따른 미술과 교육과정 14 2. 2009 개정에 따른 과학과 교육과정 19 3. 미술과와 과학과 통합수업의 교육적 의의 21 Ⅲ. 연구방법 24 A. 연구대상 및 절차 24 1. 연구대상 24 2. 연구절차 28 B. 연구도구 30 1. 평가도구 30 2. 수업도구 35 C. 자료처리 73 Ⅳ. 연구결과 및 논의 74 A. 연구결과 74 B. 논의 83 Ⅴ. 결론 86 참고문헌 88 부록 91 ABSTRACT 1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030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미술과와 과학과의 통합수업이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an integrated Teaching Program of Art and Science on Academic Motivation and Performance Among the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Lee, Ji Won-
dc.format.pagevi, 127 p.-
dc.contributor.examiner김효정-
dc.contributor.examiner최유미-
dc.contributor.examiner강윤정-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