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혜순-
dc.contributor.author송수연-
dc.creator송수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9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6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8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699-
dc.description.abstract외국어 습득의 목표는 유창성과 정확성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는 데에 있다. 교육과학기술부(2012)는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방법으로 소집단 형태의 협동 학습을 제안하고 있다. 협동 학습의 효과는 한 가지 이상의 특성에 근거한 동질 또는 이질의 집단 구성 방법에 영향을 받는다. 집단 구성의 기준으로 빈번하게 논의된 요소는 학습자의 학업 능력이며 다수의 연구에서 성취도별 이질 집단의 긍정적인 성과가 보고되었다. 그러나 학업 능력 외에 학습 유형 및 전략을 고려한 영어과 교수·학습 방법 개발의 필요성(교육과학기술부, 2012)이 제기되고 있음에도 정의적 요소를 집단 구성의 준거로 사용한 연구는 아직 소수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행동 특성을 예측하는 근거가 되며 유형별 선호 학습 경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학습 성격 유형을 준거로 한 동질·이질 집단 구성이 문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중학교 2학년 4개 학급으로 1개 학급은 전통적인 교사 중심의 문법 수업, 3개 학급은 협동 학습 형태의 문법 수업을 진행하였다. 협동 학습을 실시한 3개 학급 각 교실에서는 사전에 응시한 학습 성격 유형 검사 결과에 따른 동질 및 이질 소집단이 모두 포함되어 수업이 진행되었으며, 소속 학급에 관계없이 각 소집단을 협동 학습 동질 또는 협동 학습 이질 집단으로 분류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해당 학기 지필평가 점수를 기준으로 집단 내 영어 능력의 이질성 확보 및 상·하위 수준별 학습자 구분을 완료한 후, 이해 과업인 문법성 판단 평가와 표현 과업인 문장 완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협동 학습 동질 및 이질 집단, 교사 중심 수업 집단 그리고 학습자 수준에 상관없이 사전 대비 사후 평가의 총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선행 학습 여부 등이 실험 수업의 효과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목표 문법을 대상자의 사전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은 항목으로 선정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는 문법 학습 자체의 효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세 집단 간 사전 대비 사후 향상 점수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하위 학습자의 점수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상위 학습자의 경우,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는데 협동 동질 집단이 협동 이질 및 교사 중심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높은 향상 점수를 나타냈다. 상위 학습자의 문법 학습에 있어 유사한 학습 성격 유형의 학습자와 소집단 수업을 하는 것이 서로 다른 유형의 학습자와 소집단을 이루거나 교사 중심의 수업을 받는 것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셋째, 과업 유형에 따른 집단 내 사전·사후 점수의 차이를 비교해보면, 먼저 이해 과업에서는 교사 중심 집단의 하위 학습자를 제외한 모든 학습자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즉, 하위 학습자에게 교사 중심의 수업은 문법 이해 능력 향상에 효과가 없다고 해석할 수 있다. 반면, 표현 과업에서는 집단과 학습자 수준에 관계없이 집단 내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이해 과업보다 어려운 영역인 표현 과업 평가에서는 실험 참가자의 사전 점수가 워낙 낮게 나타났으므로 학습 자체의 효과로 인하여 사후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넷째, 집단 간 향상 점수의 차이를 과업 유형에 따라 비교한 결과 이해 과업에서는 학습자 수준에 관계없이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표현 과업에서는 상위 학습자의 향상 점수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상위 학습자의 집단 간 향상 점수 사후 검증을 통해 협동 동질과 교사 중심 수업 집단의 차이로 인하여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음이 드러났다. 즉, 상위 수준의 학습자는 유사한 학습 성격 유형과의 문법 수업에서 표현 능력이 가장 효과적으로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할 수 있는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하위 학습자의 문법 이해 능력 향상에 협동 학습이 효과적이었다는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문법 교육을 위해 협동 학습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상위 학습자가 학습 성격 유형별 동질 집단에서 학습의 효과가 가장 두드러졌다는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협동 학습의 집단 구성 단계에서 상위 수준 학습자는 유사한 학습 성격 유형의 구성원과 동일 집단에 배치하는 것이 학습 효과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The goal of foreign language acquisition is to improve the fluency and accuracy of language and ultimately develop the ability to communicate.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2012) has proposed the cooperative learning approach as a teaching method for enhancing communication skills in English. The academic abilities of learners are frequently discussed elements as the basis of grouping in the cooperative approach. The necessity has been raised to develop teaching methods considering the learning styles or strategies of learners as well as their academic abilities. However, the learners’affective domain is not getting attention when organized in sub­groups under the cooperative approach.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learning styles affect the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groups when applying the cooperative learning approach; and compared the effects with the results of the controlled group, which is teacher­centered. Four classes of a Korean middle school were chosen and all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in grammar. The cooperative approach group includes both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sub­groups who took a learning style survey beforehand. Each sub­group, regardless of class affiliation, was categorized as a cooperative homogeneous or a cooperative heterogeneous group. The results from the aforementioned sub­groups were analyzed based on a grammaticality adjudication test as a comprehension task and a sentence completion test as a production task. These tests were administrated before and after the grammar instruc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⑴ Regardless of the group or the level of participant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tests were tallied. The results are due to the instruction in grammar alone. ⑵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f lower level students while the difference stood in distinction of higher level student groups. For the higher level of learners the test results of the homogeneous sub­groups under the cooperative metho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nes of the heterogeneous sub­groups under the cooperative method or the teacher­centered group. ⑶ Based on the test results from the comprehension task, signs of improvements showed amongst higher level students from both the cooperative approach groups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and the teacher­centered approach group. However, lower level of students in the teacher­centered group showed no improvements. ⑷ In the production task, all participants showed increases in their scores. When comparing the improvements between groups in the production task, lower level students showed no difference. However, the participants in the higher level of the homogeneous sub­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s than the higher level students in the other heterogeneous sub­group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advised the following suggestions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⑴ It would be advantageous to utilize the cooperative approach when giving grammatical instructions. ⑵ In the grouping phase of the cooperative approach, placing higher­level learners in the same group with the analogous learning styles is expected to assist in grammatical learn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3 A. 소집단 학습 3 1. 소집단 학습의 개념과 효과 3 2. 소집단 구성 방법과 기준 6 B. 학습 성격 유형 8 1. 성격의 개념 8 2. 성격 유형 검사 도구 10 3. U&I 학습 성격 유형 검사 12 C. 문법 교수법의 변화 17 D. 선행 연구 19 1. 소집단 학습의 효과 19 2. 소집단 구성 방법 21 3. 성격 유형별 소집단 구성의 효과 25 Ⅲ. 연구 방법 29 A. 연구 질문 29 B. 연구 대상 30 C. 연구 자료 31 1. 사전사후 문법 평가지 31 2. U&I 학습 성격 유형 검사 33 3. 수업에 활용한 학습 자료 33 D. 연구 절차 34 1. 실험 이전 절차 34 2. 실험 수업의 절차 36 3. 통계 처리 39 E. 연구의 제한점 40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41 A. 소집단 구성 방법이 문법 학습 효과에 미치는 영향 41 B. 소집단 구성 방법이 과업 유형에 따라 문법 학습 효과에 미치는 영향 45 1. 소집단 구성 방법에 따른 집단 간 이해 과업 평가 점수 차이 검증 45 2. 소집단 구성 방법에 따른 집단 간 표현 과업 평가 점수 차이 검증 49 Ⅴ. 결론 53 참고문헌 56 부록1. 사전 평가지 63 부록2. 사후 평가지 66 부록3. 사전사후 평가 채점 기준 69 부록4. 수업 활동지 71 부록5. 차시별 수업 지도안 76 ABSTRACT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945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학습 성격 유형에 따른 소집단 구성 방법이 중학교 학습자의 영어 문법 학습 효과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Types of Grouping by Learning Styles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of Grammar-
dc.creator.othernameSong, Soo Yeon-
dc.format.pagev, 80 p.-
dc.contributor.examiner이은주-
dc.contributor.examiner신상근-
dc.contributor.examiner양혜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