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8 Download: 0

미술수업에서 스캠퍼와 마인드맵의 적용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미술수업에서 스캠퍼와 마인드맵의 적용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Applying the Mind Map and the SCAMPER technique in Art Class on Creative Expression :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5th Grade Students
Authors
조은영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남시
Abstract
In the current society, creativity is a key word which is used not only in school, but in government-led educational policies and even in national policies. I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the creative man' is suggested as one of the 'four desirable men'. From such measures, we can identify how important creativity is. Creativity can be said as ability to see a new relationship, to draw a unique idea, and to transcend from a normal thinking. What many scholars commonly indicate as aspect of creativity is 'newness', which can be understood as what is original or fresh. The reason why creativity education is demanded can be found in two aspects: demand for social change and demand for educational change. First, demand for social change is the perspective that technological changes have led to many changes in life styles and value systems, which necessitate creative ability to adapt to the changes and respond to various crises. Demand for educational changes is the viewpoint that rapid changes of society call for the changes in school in its educational goal, contents, evaluation and environment. Such a demand leads to the emphasis of creativity in educational process. In art subjects as well, we can identify how much creativity is treated importantly in art subjects from 'the creative man' in the overview to various sentences in detailed explanations. Each achievement criterion per school level contains the sentence, 'express creatively.' Consequently, creativity in art subjects can be understood as creative expression ability. While creativity is an essential capacity in art subjects, it is difficult to adopt it as guideline in real classrooms. Textbook suggests the followings: 'let's express creatively,' and 'let's think creatively.' But, there is no sufficient and concrete guideline on what is creative expression in making an artistic product in art classroom. This research starts from the thought that there should be research on guidelines about how to improve creative thinking and expression. First, this research analyzed various thinking techniques and learning materials in textbooks. Through the analysis, this research designed the research method by selecting and applying the name card design class and Mind Map and SCAMPER technique. This research chose two classes of the fifth grade of S Elementary School in Songpa-gu, Seoul as data subjects. The number of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is 26, and the number of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is 24. 40-minute classes were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with seven periods, and to the control group with five periods. Before starting the research class, some tests such as homogeneity test and creative expression ability test were given to students in both classes to identify whether the two groups are homogeneous. It was found that the two groups are homogeneous. Name card design teaching applying Mind Map and SCAMPER technique was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teaching applying traditional teaching method was given to the control group. After the teachings, learning outcomes from the both groups were collected, and creative expression abilities were evaluate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through self-evalu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test. The tool for evaluating creative expression was made by this researcher referring to the criteria on achievement in art curriculum and achievement levels. To evaluate creative expression capacities of students in both groups, three teachers ― one with 30 years of experience as teacher, another with 10 years of experience as teacher, and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 graded them using the evaluative tool for creative expression capaciti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19.0, and various statistical test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intraclass correlation analysis, X2 test, and independent-sample t-test.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s who received name card design teaching applying Mind Map and SCAMPER technique got higher scores in all sub-areas of the expression of the subject than their counterparts who received traditional teaching, which proves that the former teaching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has positive effects on creative expression capacities, compared to the effects on the control group. Second, students who received name card design teaching applying Mind Map and SCAMPER technique got higher scores in all sub-areas of the expression method than their counterparts who received traditional teaching, which proves that the former teaching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has positive effects on creative expression capacities, compared to the effects on the control group. Third, students who received name card design teaching applying Mind Map and SCAMPER technique got higher scores in all sub-areas of formative factors and principles than their counterparts who received traditional teaching, which proves that the former teaching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has positive effects on creative expression capacities, compared to the effects on the control group. Forth, the analysis of self-evalu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showed that overall satisfaction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name card design teaching applying Mind Map and SCAMPER techniqu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art teaching applying Mind Map and SCAMPER technique to fif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made it possible for teacher to deliver the subject accurately to students, and draw creative ideas from students. In addition, in the teaching process, it was possible to consider uses of material and tools, and make students finish their products through systemic stages, and improve the ability to compose the work as well as color and form. Overall, this research class had positive effects on creative expression capac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tested the effects of fine art teaching applying Mind Map and SCAMPER technique on creative expression abilities of students in the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t is expected that, in the future art teachings, the process of drawing ideas using creative thinking method should be emphasized amid various teaching materials, rather than focusing only on the outcomes, in art subjects.; 현 사회에서 창의성은 핵심 키워드로 학교뿐만이 아니라 정부주관의 교육정책에 나아가 국가정책까지도 창의성과 뗄 수 없는 관계가 되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추구하는 4가지 인간상에 ‘창의인’을 제시하는 만큼 그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창의성이란 새로운 관계를 보는 능력 또는 독특한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능력이나 일반적 사고에서 벗어나는 능력으로 볼 수 있다. 여러 학자들의 연구에서 공통적인 내용은 ‘새로움’으로 독창적인 것, 참신한 것 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창의성을 강조한 창의성 교육이 요구되는 이유는 크게 사회변화적 요구와 교육변화적 요구로 살펴볼 수 있다. 먼저 사회변화적 요구는 기술의 발달으로 생활양식과 가치관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기 때문에 변화에 적응하고 다양한 위기를 대처할 수 있는 창의적 능력이 필요하다는 관점이다. 교육변화적 요구는 사회가 빠르게 변화하는 만큼 학교도 교육의 목적, 내용, 평가, 환경 등에서 변화해야 한다는 관점이다. 이와 같은 요구로 교육과정에서도 창의성을 강조하고 있다. 창의성에 대하여 미술교과에서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살펴보면 총론의 '창의인'에 대해 각론에서 구체적인 문장으로 설명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각론의 학교 급별 성취기준을 각각 살펴보면 초, 중, 고 모두 ‘창의적으로 표현한다.’는 내용이 제시되어 있다. 따라서 미술 교과에서의 창의성은 창의적 표현력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미술교과에서의 창의성은 꼭 필요한 역량이나 교과서의 내용을 토대로 한 실제현장의 지도방안에는 어려움이 있다. 교과서에서 주로 ‘창의적으로 표현하자’, ‘창의적으로 생각해보자’라고 제시되지만 현장에서 작품을 제작할 때 어떻게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을지 그 방법에 대한 구제적인 지도방안에 대한 내용은 부족한 편이다. 이에 창의적인 사고와 표현력을 함양할 수 있는 지도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느껴 본 연구의 방향을 잡았다. 먼저 창의적 사고와 표현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발상기법과 교과서의 학습제재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명함디자인 수업과 이에 적합한 마인드맵과 스캠퍼 기법을 선택하고 적용하여 연구를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위치한 S초등학교 5학년 두 개 학급으로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26명 통제집단은 24명으로 나누어 40분 수업에 실험집단은 7차시, 통제집단은 5차시로 진행하였다. 연구수업에 앞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동질한지에 대해 사전 동질성 검사와 사전 창의적 표현력 검사를 시행하여 동질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집단은 마인드맵과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명함디자인 수업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교수법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을 진행한 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습 결과물을 걷어 창의적 표현력을 평가하였고 자기평가와 학습만족도 검사를 통해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두 집단의 창의적 표현력 평가 도구는 2009 개정에 따른 미술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을 참고하여 본 연구에 맞도록 보완하여 재구성하였다. 두 집단의 창의적 표현력 평가를 위해서 학습 결과물을 30년 경력의 현직 교사 1인, 10년 경력의 현직교사 1인과 본 연구자가 창의적 표현력 평가도구에 의거하여 채점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19.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고, 기술통계, 상관분석, 급내상관분석, X2검정,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인드맵과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명함디자인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주제표현에 대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창의적 표현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마인드맵과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명함디자인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표현방법에 대한 모든 하위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창의적 표현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인드맵과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명함디자인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조형요소와 원리에 대한 모든 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창의적 표현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평가와 학습만족도 조사에서 마인드맵과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명함디자인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의 전체적인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마인드맵과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미술 수업은 학생들이 수업을 통해 주제를 정확하게 전달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과정에서 재료나 용구의 사용에 대해 고려할 수 있었고 체계적인 단계를 거쳐 완성하며 색과 형태 뿐 만 아니라 전체적인 구도력이 향상되어 종합적으로 본 연구 수업이 창의적 표현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마인드맵과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의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는데 의의를 갖고 앞으로 미술교과 내 다양한 수업의 제재 속에서 작품의 제작 결과에만 치우치지 않고 창의적 사고기법 등을 활용한 아이디어 도출의 과정도 중요성이 강조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