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은경-
dc.contributor.author김하늬-
dc.creator김하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5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46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8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468-
dc.description.abstract현대는 지식보다는 정보 중심사회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는 정보를 잘 조합하고 활용 할 수 있는 인재이다. 이는 창의적 인재의 배출이 기반이 되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지식위주의 전달보다는 학생들의 흥미와 적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교육부에서는 21세기가 요구하는 인재를 배출하고 실질적인 체험 위주의 전문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특성화고등학교를 전문적으로 육성하였다. 특성화 고등학교에서는 디자인, 컴퓨터, 만화와 같이 특정 전문 분야에서 남다른 흥미를 보이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개별성을 존중하며 다양성을 높이기 위한 방향성을 설정하고 학력위주의 취업 현실에서 벗어나 전문성을 갖춘 인재를 배출하여 실력으로 인정받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학생들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실무와의 격차를 줄여야 하는데 디자인 실무업무에서는 프로젝트 형태로 업무를 처리하고 있으며, 이는 프로젝트 수업과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다. 프로젝트 수업은 학습자가 주제를 정하고 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모둠별 상호 의견을 교환하며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고 각자의 맡은 역할을 바탕으로 협동성과 함께 구성원이 고차원적인 결과물을 만들어 냄으로써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수업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구성원들과의 아이디어 상호 교류를 통해서 발산적 사고와 잠재적 능력을 발휘하여 창의성을 신장 시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자는 프로젝트 수업을 바탕으로 발현되는 창의성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알아보고 프로젝트 수업과 창의성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프로젝트 수업과 창의성의 관련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김미애(2010)는 초등학생 5학년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학습활동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통하여 창의적 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검증하였고, 서동욱(2013)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북아트 프로젝트 수업을 통하여 창의성이 신장되었음을 증명하였다. 종합하면, 프로젝트 수업을 적용한 다른 교과의 적용사례는 많으나 디자인 수업과 관련한 특성화 고등학교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며, 디자인 교과의 다양한 적용사례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47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각 24, 23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분한 후, 각 집단에 대해 프로젝트 수업을 적용한 그래픽디자인 수업과 전통적 디자인 수업의 방식을 총 6차시에 걸쳐서 실시하였다. 수업 주제로는 특성화 고등학교 2학년 때 컴퓨터그래픽 수업으로 포토샵, 일러스트, 플래시와 같은 2D 프로그램을 익히는 수업에 걸쳐 특성화 고등학교 3학년 과정에서는 심화된 수업으로 컴퓨터그래픽 실무수업을 통해 전문적인 작품을 만들어보는 수업을 하기 때문에 3학년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그래픽 디자인교과의 디자인 실습단원을 실시하였다. 그래픽디자인 영역 안에서 주제를 정하고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자료를 찾고 모둠 안에서 상호교류를 통해 결과물을 제작함으로서 창의성을 신장시키는 데에 목적이 있다. 각각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2회에 걸쳐 실시 된 디자인 실습 사전 수행평가와 사전설문을 통해 동질성을 검증한다. 그리고 로웬펠드(Lowenfeld, 1993)의 창의성 구성요소와 길포드의 창의성 구성요소를 참고하여 서동욱(2013)이 제시한 창의성 향상 검사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작성하였다. 이후 결과물은 평가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본 연구자 외에 디자인교사 2명을 포함하여 총 3명이 평가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수업과정에 대한 생각과 만족도를 설문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처리는 수행평가 점수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3학년 그래픽디자인 수업에서 프로젝트 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독창성에서 가장 유의미한 향상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교 3학년 그래픽디자인 수업에서 프로젝트 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유창성 부분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아 통제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더 유의미한 증진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교 3학년 그래픽디자인 수업에서 프로젝트 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정교성 부분과 관련한 완성도 부분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등학교 3학년 그래픽디자인 수업에서 프로젝트 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함에 있어서 통제집단 보다 더 유의미한 증진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고등학교3학년 그래픽디자인 수업에서 프로젝트 수업은 학습자의 창의성 신장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고등학교3학년 그래픽디자인 수업에서 프로젝트 수업이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프로젝트 수업을 적용했을 시 창의성 향상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The modern society is changing from knowledge based to information based society and the talents required by this era is a person who can well combine and utilize the information. This can be achieved when the discharge of creative talents are made. Because of suc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terest and aptitude of students rather than transfer based on knowledge. Therefore,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professionally fostered the specialized high schools in order to conduct a professional education based on actual experience and to produce the talents required by the 21st century. In specialized high schools, targeting the students showing extraordinary interests in specialized fields such as design, computer and comics, individuality of students are respected and the direction to enhance the diversity is set. The school also tries to create a recognized society based on skills by producing talents having professionalism away from the reality of education-driven employment. In order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students, the gap with hands on work must be reduced. In actual design work, the work is being processed in forms of a project and this has a similar form with the project lessons. In the project lessons, the learners can define the topics on their own and proactively solve problems, enhance the communication skills while exchanging mutual opinions, create a high-level output through cooperation between members based on each assumed role and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In addition, through the mutual exchange of ideas with many members, i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extending the creativity by exerting divergent thinking and potential abilities. This researcher has examined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creativity which are expressed based on the project lessons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ject lesson and creativity. When looking at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project lessons and creativity, Mi Ae Kim(2010) has verified that i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creative tendency targeting 5th grade elementary students through the influence of project learning activities on creativity, and Dong Wook Seo(2013) has verified the growth of creativity targeting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book art project lesson. In summary, there are many cases of other subjects applied with project lessons but there are little studies on the specialized high school related to design classes, thus a variety of cases applied with design classes are needed. Therefore, targeting 47 students who are attending a specialized high school as seniors were classifi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ith 24 and 23 people respectively, and the graphic class and traditional design class applied with project lessons were conducted over a total of 6 periods. For a class topic, since high school juniors take 2D programs such as photoshop, illustrator and flash as a computer graphic class and proceed to intensified classes during the senior years through computer graphics practical lessons trying to create a professional work, seniors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 to conduct the design practice members of graphic design curriculum. It has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creativity by defining the subjects within the graphic design area, learners directly finding the materials and by producing the results through mutual exchange within the teams. Each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verifies the identify through the design practice pre-performance assessment and pre-survey which was conducted twice. And by referencing the components of creativity of Lowenfeld, 1993 and of the Guildford, the creativity enhancement checklist proposed by Dong Wook Seo(2013)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fit this study. Afterwards, in order to increase the objectivity of evaluation, the results were assessed by this researcher and two design teachers. In addition, the thoughts and satisfaction on the learning process of students were investigated through a survey. The processing of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ased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score. When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as follows. First, in the graphic design class of high school seniors,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with project lessons has shown the most significant improvements for creativ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in the graphic design class of high school seniors,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with project lessons has received higher scores in fluenc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howing more significant improvements. Third, in the graphic design class of high school seniors,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with project lessons has received higher scores in maturity related to sophistication por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ourth, in the graphic design class of high school seniors,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with project lessons has shown more significant improvements for the assessment of communication skills tha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project lessons in the graphic design class of high school seniors provide a very positive impact on the growth of creativity of the students. Overall,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validat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improving creativity when applied with project lessons by looking at the influence of project lessons on the growth of creativity in the graphic design class of high school senio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연구의 목적 1 B.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II.이론적 배경 4 A.창의성의 이해 4 1.창의성의 개념 4 2.창의성의 구성요소 5 3.창의성 신장과 프로젝트 수업 6 B.프로젝트 수업 7 1.프로젝트 수업의 개념 7 2.프로젝트 수업의 단계 8 3.프로젝트 수업의 교육적 의의 9 C.특성화 고등학교 그래픽 디자인교과목에서의 프로젝트 수업 11 1.특성화 고등학교의 개념 및 디자인 교육 11 2.그래픽 디자인 수업에서 프로젝트 수업의 의미 18 III.연구방법 21 A.연구 대상 및 절차 21 1.연구대상 21 2.연구절차 27 B.연구도구 28 1.수업도구 28 2.평가도구 47 C.자료처리 및 분석 49 1.연구설계 49 2.채점자간 신뢰도 분석 49 IV.연구결과 및 논의 51 A.연구결과 51 B.논의 57 V.결론 및 제언 59 참고문현 61 부록 64 ABSTRACT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813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창의성 신장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 적용 학습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특성화 고등학교 3학년 그래픽디자인 수업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on Project Class Oriented Learning Methods for Enhancing Creativity in Specialized High Schools-
dc.creator.othernameKim, Ha Nui-
dc.format.pagevii, 75 p.-
dc.contributor.examiner김효정-
dc.contributor.examiner강윤정-
dc.contributor.examiner최은경-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