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은경-
dc.contributor.author이지연-
dc.creator이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3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2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7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227-
dc.description.abstract알프레드 노스 화이트 헤드(Alfred Noth Whitehead)는“교육을 위한 유일한 주제는 인간의 삶으로서, 삶에 나타나는 모든 것들이 교육의 주제가 된다.”고 말했다(Whitehead, A., 1932:22-23). 미술교육에서 삶에 나타나는 모든 것들을 주제로 선정하여 가르치는 것은 학생들이 교실 안에서 뿐만 아니라 실제 생활과 작품과정을 연결시켜 미술을 폭넓게 이해하고 비평하는 데 좋은 영향을 줄 것이며 미술이 단지 외관만을 꾸미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나아가 시각 매체의 새로운 활용을 통해 세상을 변화시키려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 학습자가 실제적인 상황에서 스스로에게 의미 있는 지식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기초한 여러 교육방법들이 활용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의 학습 원리를 기초로 한 PBL(Problem Based Learning, 문제중심학습)을 통해 학생들의 창의적 표현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잘못된 식습관을 문제로 선정하여“올바른 식습관 개선을 위한 포스터 디자인”수업의 문제 해결과정을 통해 PBL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이 학습자의 창의적 표현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해보고 그 유용성을 입증해 보고자 하였다. 문제중심학습은 실제 세계에서 일어나는 비구조화된 문제를 교수자의 촉진자적 역할과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를 바탕으로 해결해 가는 교수-학습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조연순(2006)에 따르면 문제중심학습의 교수-학습 과정은‘문제제시부터 시작하여 문제해결 및 평가까지의 하나의 과정’을 의미하며 다섯 가지의 기본 단계를 거친다. 미술과의 여러 영역 중에서 문제 중심 학습을 적용하기 위한 수업을 위해서는 디자인 영역이 적합하다. 따라서 보기 좋게 그리고 만드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불편하게 느껴지는 대상과 상황을 고려하여 다양한 재료와 용구를 사용하여 표현하는 것이다.“디자인 교과의 교육 내용은‘사고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디자인은 손이나 눈에 관한 문제가 아니라 사고, 즉 두뇌에 관한 것이다. 루돌프 아른하임(R. Arnheim)을 비롯하여 많은 지각심리학자들은 디자인이 고등 사고 과정의 산물이며 디자인 결과물은 디자이너의 사고 결과라 했다. 그것은 우연이 아니라 체계적으로 도출된 지적 활동인 것이다(이영희, 2009:4).” 문제해결과정에 참여하는 학습자는 문제를 만나는 과정, 문제 해결계획을 세우는 과정, 탐색하는 과정, 해결책을 고안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인지전략을 구사하면서 학습자는 다양한 창의적 표현력을 발휘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문제 중심학습과 창의적 표현력에 대해 알아보고 중학교 1학년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고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교수-학습계획안을 설계하였다. 수업도구를 개발하고, 측정도구(창의적 표현력 측정검사 도구)를 수정하고 검사 내용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창의적 표현력 측정 검사도구는 창의적 표현력을 평가하기 위해 로웬펠드(1993)가 제시한 창의성 요소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2)에서 제시한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용재현(2008)의 연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제작한 것으로 평가 문항 및 각 문항의 평가 기준의 내용 타당도에 대해 교육전문가 1인과 지도 교수 1인, 현직교사 1인의 검증을 받았다. 본 연구 는 실험 처치 전 두 집단 간의 동질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학습자의‘평소 식습관과 미술에 대한 관심 및 사전지식’설문지를 통해 동질성 검사를 실시하였 다. 사전 동질성 검사를 실시하여 동질성이 확인된 두 반을 선정하였으며, 실험 집단에는 문제중심학습모형을 활용한 8차시의 미술수업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5차시의 전통적인 교수법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수업 후에 실시한 사후 창의적 표현력 검사는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19.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PBL을 활용한 미술수업을 적용한 결과, 주제표현 영역의 하위 요소인 융통성, 독창성에서 모두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PBL을 활용한 미술수업을 적용한 결과, 표현방법 영역의 하위 요소인 유창성, 재구성에서 모두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PBL을 활용한 미술수업을 적용한 결과, 조형요소와 원리 영역의 하위 요소인 색과 형태를 종합하는 능력, 구도를 이루는 요소를 종합하는 능력에서 모두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PBL을 활용한 표현수업을 받은 중학교 1학년 학생이 창의적 표현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PBL을 활용한 미술수업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중학교 미술교육 현장에서 PBL의 활용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의의를 갖는다.;What and how to teach the students by the teacher is one of major interests the school has faced from the past until now. Weinstein & Mayer(1985) defined “good teaching-learning method” is to teach the students teaching method, thinking method, learning motive promoting method by students hemselves. Accordingly, it pays attention to how well the students understand the learning process rather than learning esults. In this regard, as numerous teaching methods are utilized in the real situation based on constructive learning theory which could organize meaningful knowledge to emselves,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student’s creative expressions through PBL(Problem Based Learning) which is based on constructive learning principles. Therefore, by selecting wrong eating habits of the youth as study subject, this study tries to study the effects on creative expression of the youth and related usefulness through problem solving process of “poster design class to improve right eating habits.” Problem Based Learning can be defined as a teaching-learning method to solve non-structured problems in the real world based on the promoter role of the teacher and active participation of the student. According to Jo yeon sun(2006), teaching-learning process in Problem Based Learning means ‘one process starting from problem suggestion to problem solving and evaluation’ and goes through 5 basic steps. In order to conduct the class to apply Problem Based Learning in various areas of department of fine arts, design area is most appropriate. Utilization of Problem Based Learning model a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design area would be a great help to approach the idea that the design is not just an activity to decorate superficial image but to identify and improve the inconvenience in everyday life. As th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problem solving process go through the process to encounter the problem, establish problem solving plans, explore and design the solutions, they can use various cognitive strategies and show creative expressions to solve these problems. Based on the above theoretical backgrounds, Problem Based Learning and expressions were identified,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targeting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eaching-learning plans applying Problem Based Learning model was designed. Teaching tools were developed, measurement tools (creative expression measurement test tools) were corrected and reliability about tested contents was tested. Creative expression measurement test tool was corrected and compensa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by referring the creativeness factor which was suggested by Lowenfeld(1993) to evaluate creative expression ability, achievement standards and achievement levels in fine arts department according to 2009 amended curriculum suggested by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2012) and researches of Yong jea hyun(2008). And regarding the content validity about evaluation questions and evaluation standards of each question, this toll was tested by one education specialist, one advising professor and one presently enrolled teacher. In order to identify the homogeneity between two groups before the experiment, homogeneity test was conducted through the survey questionnaires about students’ ‘usual eating habits, interest and prior knowledge in fine arts.’ Two classes whose homogeneity were identified were selected by conducting prior homogeneity test and 8 session classes were conducted applying Problem Based Learning model in experiment group and 5 traditional teaching method sessions were executed in control group. Post creativeness expression test conducted after research class used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19.0 statistics package program and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Summariz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pplication results in fine arts class using PBL, both flexibility and originality which are subcategories in subject express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wo groups. Second, in the application results in fine arts class using PBL, fluency and restructure which are subcategories in expression metho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wo groups. Third, in the application results in fine arts class using PBL, abilities to integrate the colors and shapes which are subcategories in modeling elements and principle and composition facto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wo groups. In conclusion,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d expression class using PBL have positive effects in creative expression ability. This study has a meaning as the basic data to expand PBL utilization range in middle school fine arts education class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fine arts class using PBL on creative expression ability of the stud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A. 연구의 목적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II. 이론적 배경 A. 창의적 표현력 B. 문제중심학습모형 C. 중학교 미술수업에서 창의적 표현력과 문제중심학습모형 III. 연구방법 A. 연구 대상 및 절차 B. 연구도구 C. 자료처리 IV. 연구 결과 및 논의 A. 연구 결과 및 분석 B. 창의적 표현력 효과 분석 C. 논의 V. 결론 참고문헌 부록목차 ABSTRACT-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6003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문제중심 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dc.title.translatedEffects of fine arts class applying Problem Based Learning model on creative expression ability Targeting 1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Lee, Ji Yeon-
dc.format.pagevi, 87 p.-
dc.contributor.examiner김효정-
dc.contributor.examiner강윤정-
dc.contributor.examiner최은경-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