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1 Download: 0

미술 비평능력 향상을 위한 고등학교 2학년의 현대 미술 감상지도 연구

Title
미술 비평능력 향상을 위한 고등학교 2학년의 현대 미술 감상지도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Teaching Modern Art Appreciation for Improved Art Critique Ability for 2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 Based on Feldman's Model of Art Criticism
Authors
정혜수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은애
Abstract
Emerged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modern art continuously go through constant change and renewal as its domain expands in terms of its format and contents compared to the previous arts. Accordingly, the perspective and standard in regards to the way of appreciation also changes. The significance of original views that allows independent interpretation and criticism to properly appreciate art work increases. Thus, it is necessary to compose educational material that harmonizes expressive activities along with appreciation·critique activities, rather than heavily focusing on expressive activities. The importance of appreciating and criticizing art works has been emphasized in the objective of 'Art Culture' subject that is included in the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for art field in 2009. The overall aim proposes obtaining attitude that enhances expressive·critique ability for aesthetic sensibility and artistic activities, and enjoying artistic culture throughout the entire domain of life as we can see from the quote "It[the purpose] lies in developing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aesthetic sensibility by understanding art in human life with cultural knowledge which lead to enriched life." However, the education for art appreciation·criticism has not been systematically executed in secondary schooling. Therefore, organized teaching method to improve appreciation·critique capacity for art works is needed. Furthermore, art appreciation·critique activity shouldn't be considered as secondary and instrumental education for expressive activity, but should itself be the central theme of the class and learning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effect of modern art appreciation class using Feldman's model of art criticism on the improvement of art critique capacity of high school 2nd grade students. Before anything else, I analyzed curriculum, system of contents, and textbook along with theoretical contemplation through reviewing the literature for the field. Based on this analysis, I designed 6 lessons for modern art appreciation class that uses Feldman's model of art criticism. The topic for class was chosen as various figure expression in modern art. Subjects for the research were 62 students from two 2nd grade classes in high school A located in Seodaemoongu, Seoul. Equivalence check was done for 32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and 30 students in control group. For the two groups whose equivalence were verified,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modern art appreciation·criticism teaching method using Feldman's model of art criticism, while control group was given appreciation class directed by teachers. We aim to verify whether two groups display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improvement of critique ability.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at used Feldman's model of art criticism,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improvement of the subjects' art critique abil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at received teacher-directed appreciation class when evaluated by the art report writing used for examining the advancement of art critique ability. Secondly, students' self-evaluation result demonstrated improvement in understanding of modern art and art appreciation capacity.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activeness in class participation, interest in contents of the class, improvement in understanding of modern art, and improvement in art appreciation ability. Consequently, we can conclude that modern art appreciation class with Feldman's model of art criticism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improvement of high school 2nd grade students' art critique ability. Unlike common art appreciation class that includes fragmentary teacher-driven explanation, writing·presentation of feedback after appreciating art work, or writing reports, systematic and gradual appreciation and criticism activity of art work with the application of Feldman's model of art criticis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n improved art critique ability. Moreover,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art appreciation·criticism were acknowledged, emotional distance toward art work, appreciation, and criticism was narrowed inducing positive effects, along with the enhanced cognitive comprehension on modern art. Therefore, designing systematic art appreciation teaching method that can actually be applied in education field is needed for the improvement of students' art critique capacity, and a great number of research should be made from various perspectives.;현대 미술은 20세기를 기점으로 등장하여 이전의 미술보다 형식과 내용적인 면에 있어서 영역이 더욱 확장되고 계속하여 끊임없이 변화되고 새로워지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 미술을 감상하는 시각과 기준 등도 변화되고 있으며, 작품을 바르게 감상하는 방법과 이를 해석하고 비평하는 자신만의 독창적인 시각이 중요해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미술교육의 내용에 있어서도 표현 활동에 치중된 교육이 아닌 표현 활동과 감상·비평 활동이 적절히 조화된 교육 내용의 구성이 필요한 것이다. 2009개정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미술 문화의 과목 목표에서도 미술 감상과 미술 비평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인간의 삶 속에서 미술을 이해함으로써 비평적 사고력과 미적 감수성을 길러 생활을 풍요롭게 영위할 수 있는 문화적 소양을 가지도록 하는 데 있다.’고 하면서 삶의 전 영역에서 미술 문화를 향유하며, 미적 감수성과 미술 활동에 필요한 표현능력과 비평능력을 향상 시키는 태도를 총괄 목표로 제시한 것이다. 그러나 실제 중등 교육에서의 미술 감상·미술 비평 교육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미술교과 내에서 미술 감상과 미술 비평능력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미술 감상·미술 비평 활동이 표현 활동을 위한 부차적이고 수단적인 교육이 아닌 감상과 비평능력 향상 그 자체로 수업의 주제가 되고 학습의 목표가 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Feldman(1973)의 미술 비평모형을 적용한 현대 미술 감상수업이 고등학교 2학년의 미술 비평능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교육과정 및 내용체계와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Feldman(1973)의 미술 비평모형을 적용한 총 6차시의 현대 미술 감상수업을 설계하였고, 수업의 제재로는 현대 미술에서의 다양한 인물의 표현으로 선정하였다. 서울시 서대문구에 위치한 A고등학교 2학년 2개 반 6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 32명, 통제집단 30명으로 동질성 검사를 실시한 후, 동질성이 검증된 두 집단을 대상으로 Feldman(1973)의 미술 비평모형을 적용한 현대 미술 감상·비평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는 교사주도의 감상수업을 계획하여 두 집단 간의 비평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Feldman(1973)의 미술 비평모형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미술 비평능력 향상 검증을 위한 미술 비평문 작성 평가에서 교사 주도의 감상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에 비해 미술 비평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의 자기 평가 결과, 현대 미술에 대한 이해도 향상, 미술 비평능력의 향상에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의 적극적 참여 여부와 수업 내용에 대한 흥미도, 현대 미술에 대한 이해도 향상, 이전과 비교하여 미술 비평능력 향상 여부에 있어서 두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Feldman(1973)의 미술 비평모형을 적용한 현대 미술 감상수업이 고등학교 2학년의 미술 비평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단편적인 교사 주도의 설명과 미술 작품 감상 후 느낀점 기술·발표, 감상문 쓰기 등의 미술 감상수업이 아닌 Feldman(1973)의 미술 비평모형을 적용한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미술 감상과 미술 비평 활동은 학생들에게 미술 비평능력 향상에 있어서 유의미한 효과를 보인 것은 물론, 미술 감상과 미술 비평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일깨우고, 현대 미술에 대한 인지적 이해의 향상과 함께 미술 작품과 미술 감상, 미술 비평에 있어서 이전보다 심리적 거리감을 좁히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미술 비평능력 향상을 위하여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체계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설계가 요구되며,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