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은애-
dc.contributor.author서윤정-
dc.creator서윤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4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6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7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642-
dc.description.abstractAdolescence is a period when the curiosity toward oneself increases, a phase when one seeks a channel for self-expression while going through internal conflict and insecurity. It is important to assist students recognize themselves positively, and build a healthy self-consciousness through interpersonal relations by communicating with peers and teachers and enhancing understanding about oth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effect of art class, using Johnson & Johnson’s Learning Together(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on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sociality. For this purpose, I researched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through theoretical contemplation on cooperative learning. Moreover, I studied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sociality and LT model in elementary school art classes. Based on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I developed a teaching-learning program with the theme of ‘Expressing Our Experiences through World of Formative Arts.’ Types of evaluation tools were used as an analyzing method. In order to evaluate students' performance, I made an evaluation tool based on the expression domain of the elementary school art department curriculum which was revised in 2009. Another tool used to evaluate students' attitude toward the class was also made through teachers’ observations. Through these tools, a balanced evaluation of the learning process and the result could be expected. This study was executed for a four-week period starting from October, 2014, in 8 elementary art classes (40 minutes each) which applied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Research subjects include 40 students from two 6th grade classes from B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angnam-gu, Seoul.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oth consist of 20 students, and preliminary inspection was conducted on their interest level for classes, academic standards, self-esteem and sociality in order to test their homogeneity. As a means to measure self-esteem, I utilized a questionnaire with 4 subsections established by Coopersmith’s(1967) self-esteem inspection and modified by So-yeon Kim(2002) according to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genera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domestic self-esteem which refers to self-esteem at home, and academic self-esteem. As an inspection tool for sociality, I used a questionnaire that was modified specificall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Hyeon-gyeoung Lee(2014) and includes 4 subsections of compliance for law, cooperativity, sociability and independence . The original version was from sociality scale by Beom-mo Jeong(1971). Post inspection on self-esteem and sociality was done both o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applied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and the control group that took traditional group-oriented learning for art classe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experiment, preliminary and post inspection result regarding self-esteem and sociality for each group was analyzed though SPSS Ver. 21.0 statistics package program, and the conclusion was drawn based on it. The summary of analysis result for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ly, the experimental group that applied the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demonstrated improved post inspection scores compared to the scores from preliminary inspection. Furthermore, the score increase was great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that took traditional group-oriented classes. Despite the increase from both groups, the degree of increas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greater than the control group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inter-group post inspection,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for academic self-esteem level. This implies that,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is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group-oriented learning for building genera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and domestic self-esteem categories. Secondly, in terms of sociality, the experimental group with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showed greater improvement compared to the preliminary inspection than the control group with traditional group-oriented learning. Both groups demonstrated increased scores, but the degree of increase for the experimental group was greater than the control group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inter-group post inspection,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for sociability. Thus, among categories of sociality,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is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group-oriented learning for compliance for law, cooperativity and independence. Thirdly, after analyzing students’ art work based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scale and conducting quality evaluation through observatory evaluation, the students from experimental group with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cultivated positive self-esteem and improved their sociality by interacting with others during the art class.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its search for a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can be applied in actual learning site and its verification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by inquiring the influence of applying LT cooperative learning model on elementary school 6th grade learners’ self-esteem and sociality.;청소년 시기는 자신에 대해 궁금증이 많아지는 시기이고, 내면적으로 갈등과 불안을 겪으며 자기표현의 출구를 찾는 시기이다. 이 시기의 학생들은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며, 또래집단 및 교사와 원만한 소통을 하면서 타인에 대한 이해력을 키우고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건강한 자아의식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Johnson & Johnson (1975)이 제시한 LT(Learning Together)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협동학습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LT(Learning Together) 협동학습 모형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초등미술수업에서 LT 모형과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토대로 LT 협동학습 모형에 기초하여 ‘조형의 세계를 통한 우리들 경험 표현하기’를 주제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실기 결과물에 대한 평가도구로는 초등학교 2009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표현영역에 근거하여 평가도구를 제작하였으며, 학습의 과정과 결과를 균형 있게 평가하기 위하여 교사의 관찰 평가를 통한 기타평가 도구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LT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초등미술수업을 2014년 10월, 4주간 총 8차시(각 40분)에 걸쳐서 실시하였다. 서울시 강남구에 소재한 B초등학교 6학년 두 개 학급의 총 40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으로 구성하고 두 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업의 관심도 및 학습 수준과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대한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아존중감 측정 도구로는 Coopersmith(1967)의 자아존중감 검사(self-esteem: SEI)를 토대로 한국의 초등학생용으로 번안하여 수정한 김소연(2002)의 측정도구로서 일반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학업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4개의 하위 영역으로 구성된 검사지를 활용하고, 사회성 검사 도구는 정범모(1971)의 사회성 척도를 초등학교용으로 번안하여 수정한 이현경(2014)의 측정도구로서 준법성, 협동성, 사교성, 자주성의 4개의 하위 영역으로 구성된 검사지를 활용하였다. 실험집단은 LT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통제집단은 전통적 모둠학습 미술수업을 실시하여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대한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대한 각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를 SPSS Ver.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중심으로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T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전통적 모둠학습을 실시한 통제집단보다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점수가 향상되었으나,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향상의 정도가 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집단 간 사후검사에서 학업에 대한 자아존중감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었다. 따라서 LT 협동학습 모형은 전통적 모둠학습에 비해 일반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에서 더 효과적이다. 둘째, LT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전통적 모둠학습을 실시한 통제집단보다 사회성을 함양하는데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점수가 향상되었으나,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향상의 정도가 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집단 간 사후검사에서 사교성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었다. 따라서 LT 협동학습 모형은 전통적 모둠학습에 비해 사회성 중 준법성, 협동성, 자주성에 더 효과적이다. 셋째, 실기평가 척도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작품 결과물을 분석하고 관찰 평가를 통한 질적 평가를 한 결과, LT 협동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들이 미술수업에서 서로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함양하고 사회성을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LT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실제 학습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고, 그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4 A. 협동학습의 이해 4 1. 협동학습의 개념 및 원리 4 2. 협동학습의 수업모형 8 3. LT 협동학습 모형 10 B. 초등미술수업에서 LT 모형과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의 관계성 15 1. 자아존중감과 LT 협동학습 모형 15 2. 사회성과 LT 협동학습 모형 18 Ⅲ. 연구 방법 22 A. 연구 대상 및 절차 22 B. 연구 도구 27 C.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60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61 A. 연구 결과 61 B. 논의 74 Ⅴ. 결론 77 참고문헌 80 부록 84 ABSTRACT 11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9023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초등미술수업에서 LT 협동학습 모형이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Learning Together Cooperative Learning Model upon Students' Self-Esteem and Sociality in Elementary Art Class-
dc.creator.othernameSuh, Yoon Jung-
dc.format.pageviii, 113 p.-
dc.contributor.examiner노용-
dc.contributor.examiner강윤정-
dc.contributor.examiner서은애-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