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은경-
dc.contributor.author구민수-
dc.creator구민수-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0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098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6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0986-
dc.description.abstract현대 사회는 과학기술과 산업의 발달 속에서 급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인간의 생활모습이나 사고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고, 그로 인해 가치관의 혼란, 인간성의 상실, 무엇보다도 환경오염으로 인한 생태계의 파괴가 발생하게 되었다. 자연환경은 인간의 근본적인 바탕이자 삶의 터전이라 할 수 있다. 자연환경 안에 있는 모든 생명체는 상호 의존적인 관계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어느 한쪽이 파괴되면 전체가 무너지는 결과를 낳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환경과의 공존을 무시한 무분별한 발전을 계속하고 있다. 따라서 이제 환경문제는 세계적인 과제로 대두되고 있고 이를 위한 대안으로 교육적인 접근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미술교과는 인간의 감성을 다루고 자연의 본질을 구성하는 요소와 원리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김창식, 2008) 환경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교육 내용에서 자연스럽게 환경적인 내용을 포함하기 좋은 영역이다. 사회교과는 교과의 학습주제로 지속가능한 발전교육을 명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식과 가치, 실천태도를 함양하도록 지도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런 면에서 두 교과는 환경교육을 하기 적절한 과목으로 판단하여 본 연구의 통합과목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술과와 사회과의 통합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환경보전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써 환경보전태도 함양을 위한 환경보전 미술교육과 교과통합의 이해를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술과와 사회과의 교과통합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미술과 사회과의 단원을 선정하고 교과통합의 유형 중 포가티(Fogarty, R.)의 공유형에 기초하여 ‘북서울 꿈의 숲 환경실태조사를 바탕으로 환경신문제작하기’를 주제로 통합수업을 개발하였다. 환경보전태도 측정도구로는 우현경(1994)가 개발한 ‘환경보전태도 검사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실기 결과물에 대한 평가도구는 2007개정에 따른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에 맞추어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그 외에 기타평가로 학생들의 태도 평가도구와 학생들의 본 실험 수업에 대한 만족도, 흥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노용(2008)의 ‘자기평가지’를 바탕으로 김정아(2010)가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S초등학교 6학년 두 개 학급 총 50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 25명 씩 구성하고 환경보전태도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동질성을 검증하였다. 실험집단은 총 8차시의 미술과 사회과 통합수업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총 6차시의 전통적 분과식 미술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후 두 집단 모두 환경보전태도에 대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환경보전태도에 대한 각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를 SPSS Ver.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중심으로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학습자가 자기평가 보고서에 응답한 내용을 수집·분석하여 통합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검증하고, 실기 결과물에 대한 질적인 평가를 통하여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과와 사회과의 통합수업은 학습자의 환경보전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사후검사점수가 사전검사점수에 비해 향상되었지만 그 상승정도의 차이에 있어서 실험집단이 더 큰 상승률을 보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실기평가 및 기타평가 도구를 바탕으로 실기 결과물을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은 ‘주제표현’, ‘표현 방법’, ‘조형요소와 원리’, ‘표현과정’ 등 모든 면에서 통제집단 보다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셋째, 실험집단은 본 연구의 실험수업에 대한 흥미도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평가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은 미술과와 사회과를 연계한 수업에 대한 흥미도, 만족도, 환경보전에 대한 관심도, 흥미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미술과와 사회과의 통합수업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환경보전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으며,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환경보전태도가 크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미술과와 사회과의 통합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환경보전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본 연구가 실제 교육현장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후속연구를 통하여 환경보전을 위한 체계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개발되기를 바란다.;Modern society has been changing drastically in the midst of evolving science and technology. The unforeseen phenomenon brought a significant transition in people’s life style and thought mechanism without preparation. Issues like rapid shift in values and loss of humanity rose as serious social problems, but above all, unrevivable destruction of environment due to pollution came to the fore as the biggest agenda. Nature is the living foundation and source of life for all beings on earth. Its intricate nature, interdependence among organisms, makes the consequence of this imbalance in environment even more catastrophic. People, yet, decide to turn their backs against solutions like cohabitation and undergo reckless development. Now, as the problem becomes palpable, alternative solutions such as educational approach to end further pollution are emerging. Fine art education, in particular,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and lenient subjects to incorporate the theme. According to Chang Sik Kim, fine art curriculum examines human emotion and help people understand the elements and principles which constitute nature (2008). This unique nature of the subject makes fine art a strong candidate for grafting environmental context without collision. Social studies curriculum supports this argument by clearly stating the importan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structs that the students must foster such knowledge, values, and attitude to put them in practice. In accordance to these asp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integrative education between social studies and fine art curriculum on 6th grade students and what outcome it entails. To this end, the study puts its emphasis on the necessity of integrative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and fine arts as a solid theoretical background based on the comprehension of the integrative educational plan and nature-friendly art curriculum. I selected a unit from a text book based on the argument aforementioned and constructed a model instruction with ‘Creating environmental newspaper publishing the observational results of 'The forest of Dream, North of Seoul’ as a theme, adopted by Fogarty, R.’s “Shared”. As for the measurement device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I used Hyun Kyung Woo’s ‘Inspection document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attitude (1994)’ with some supplementary revision. With respect to the evaluation device for performance result, I adapted the official fine art curriculum guideline of 2007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ditional evaluation methods were based on Jung A Kim’s adaptation (2010) of ‘self evaluation form’ by Yong, No (2008) to observe students’ interest and level of satisfaction to the instruction. Subject group includes 50 students from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with 25 students in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 respectively. I executed pre-evaluation on environmental preservation attitude to prove homogeneity among participant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8 integrative instructions and the controlled group received 6 traditional-style instructions in total. The two parties, then, took post-examination on the same subject as the pre-evaluation.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experiment, all the pre- and post-evaluation survey data of each group were analyzed by SPSS Ver. 21.0 statistics package program to draw a conclusion. Survey data on self-evaluation reports were also collected and analyzed to prove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integrative instruction and draw a conclusion based on qualitative evaluation of research output.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integrative education of social studies and fine arts appeared to be an effective method to raise significant awareness to the receiving party. Both experiment and controlled group scored higher on the post-evaluation compared to the preliminary,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eeper increase than those of the controlled group, giving the experimental group more solid statistical evidence. Second, after careful examination on the performance results analyzed by the evaluation devices and method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superior evaluation comment in almost every area of artistic fields such as ‘thematic expression’, ‘expression methods’, ‘Formative element and principle’, and ’process of expression’.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in general, showed more interest in the classroom material, therefore, could achieved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than the controlled group based on the analysis of self-evaluation reports data. To conclude, integrative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and fine arts was proved to be a positive venue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awareness since the result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ise in evaluation than those of the controlled group.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integrative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and fine arts on 6thgrade students to raise environmental awareness. I sincerely hope that the research could kick start further studies on environment preservation by putting it in to good use and eventually derive visible outcome when in practi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5 A. 환경보전태도함양을 위한 환경보전 미술교육 5 1. 환경교육과 환경보전태도 5 2. 미술교육에서 환경보전적 접근 9 3. 초등학교에서 환경보전적 접근을 위한 미술교육의 필요성 10 B. 교과통합의 이해 12 1. 교과통합의 개념 및 유형 12 2. 초등학교 미술과와 사회과의 교과통합 19 3. 미술과와 사회과의 교과통합의 교육적 의의 26 Ⅲ. 연구방법 28 A. 연구대상 및 절차 28 B. 연구도구 31 C.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59 Ⅳ. 연구결과 및 논의 61 A. 연구결과 61 B. 논의 81 Ⅴ. 결론 84 참고문헌 87 부록 90 ABSTRACT 12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8222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초등학교 미술과와 사회과의 통합수업이 환경보전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6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Art and Social Studies' Integrated program on Elementary Students' Environmental preservation attitude : Focused on Sixth Graders-
dc.creator.othernameGoo, Min Su-
dc.format.pageix, 129 p.-
dc.contributor.examiner노용-
dc.contributor.examiner최은경-
dc.contributor.examiner강윤정-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