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2 Download: 0

연령과 음악적 배경 요인에 따른 청소년의 화음 선호도

Title
연령과 음악적 배경 요인에 따른 청소년의 화음 선호도
Other Titles
Adolescents' harmony preference depending on ages and musical background factors
Authors
김혜경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과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화음 전개의 난이도에 따른 음악 선호도를 조사하여 연령과 음악적 배경 요인에 따른 화음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 오산시에 위치한 초,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배부된 691부의 응답지 중에 684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음악은 4마디의 동일한 멜로디 구조를 네 단계 화음 전개의 난이도로 구성한 곡으로 연구자가 제작하였다. 화음 전개의 난이도는 화음 변화량, 반음계적 화음과 비화성음의 비중, 화음 해결의 지연 등을 통하여 조절하였다. 대상자들은 제시된 네 단계의 음악을 듣고 해당 음악에 대한 복잡성 인식 점수와 선호 점수를 응답지에 표시하였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연령에 따른 단계별 화음 선호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초, 중, 고등학생 모두 2단계의 화음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1, 3, 4단계의 선호 순서는 연령그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선호 점수에 있어서 초등학생은 모든 단계의 화음에 높은 선호를 보인 반면, 중, 고등학생은 가장 복잡한 4단계 화음에 대해 유의하게 낮은 선호를 나타냈다. 둘째, 음악적 배경 요인(악기 학습기간, 음악활동 참여기간)에 따른 단계별 화음 선호도를 살펴본 결과, 악기 학습이 음악활동 참여에 비해 단계별 화음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악적 배경 요인에 따른 화음선호도를 연령그룹(초, 중, 고)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중학생의 단계별 화음 선호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 경험이 많은 중학생은 3단계 화음을 가장 선호한 반면, 음악 경험이 적은 중학생은 2단계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상자의 이전 음악 경험에 따라 최적 복잡성 수준이 달라진다는 기존의 이론을 증명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을 위한 감상음악 선곡 시 적절한 난이도의 화음을 선택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써 의의를 갖는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armony preferences of adolescents depending on their age and musical background. A survey including four harmonic progressions with different complexity levels was conducted on adolescents who goes 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Osan, Gyeonggido. A total of 684 out of 691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music used in this study consists of four different complexity levels of harmonic progression with identical melody structure, composed b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Harmonic progressions were adjusted by elements such as harmony variations, chromatical harmonys, portions of non-harmonic tones, and delayed chord solutions. The recipients rated the complexity and preference of the music on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armonic complexity preference by ages. All participants preferred the second level harmony.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order of preference of first, third and fourth level by ages groups. In terms of preferences scor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ed high preference in every harmony level whi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reference in the fourth level of harmony which was the most complicated of all. Second, the results of harmonic complexity preference by musical background (music instrument lessons, participation in music activities) represented that music instrument lessons affected harmonic complexity preference more significantly than participation in music activities. Third, results on harmony preferences among ag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f harmonic complexity preferen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ore music experience preferred third level harmony whil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fewer music experience preferred second level harmony. Which confirms the theory that optimal-complexity of music is differed by listeners' previous music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as foundational evidence to help decide the suitable harmony level for adolescents when appreciating musi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