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승희-
dc.contributor.author윤지영-
dc.creator윤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3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3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3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382-
dc.description.abstract청소년들은 학교교육을 통해 단순한 지적기능 발달 및 기술 습득을 넘어 사회적으로 동화되고 적응력을 지닌 인격을 형성하게 된다. 학교에서의 적응은 청소년들의 발달 과업 중 하나로 이를 통해 성인기를 위한 사회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하지만 일반중학교에 통합되어 있는 장애학생들은 청소년기에 누구나 겪는 급격한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변화 뿐 아니라 장애로 인한 학업적 기술과 사회성 기술의 부족 및 중학교의 물리적, 교수적 환경의 많은 변화로 인해 일반학생들에 비해 학교적응에 더욱 어려움을 겪게 된다. 특수학급 학생들의 학교적응을 위한 적절한 개입을 위해서 그들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해 확인하고 종합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중학교에 통합되어 있는 장애학생들의 전반적인 학교적응 수준을 파악하여 현재의 학교상황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들의 학생변인, 가정변인, 학교 및 교사변인에 따른 학교적응도의 차이와 그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봄으로써 특수학급 학생들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육적 지원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규명하기 위해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197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특수학급 학생과 그 담당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504부의 질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질문지는 선행연구와 타당성 검증, 예비조사, 문항 수정을 통해 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질문지로, 일반중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변인, 가정변인, 학교 및 교사변인을 묻는 문항과 ‘장애학생의 일반중학교 학교적응 척도(나수현, 2009)’로 구성되었다. 자료분석은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t검정, 일원분산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일반중학교 특수학급에 배치된 중학생들의 학교적응 수준은 5점 척도 기준에 3.92점으로 높은 편이었다. 학교적응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본 결과 가장 높은 학교적응 점수를 보인 영역은 학교환경 적응이며, 학생들은 친구 및 교사관계와 수업참여에 가장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변인에 따른 학교적응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학교적응도가 높았으며, 지적제한성과 문제행동 정도가 가벼울수록 학교적응을 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완전통합 또는 시간제 통합교육을 받는 학생이 전일제 특수학급에 배치된 학생에 비해 학교적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변인에 따른 학교적응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부모의 관심도가 높을수록 특수학급 학생들은 학교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정경제수준은 학생의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학교 및 교사변인에 따른 학교적응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담당 특수교사가 여교사일 때 학생의 학교적응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생의 학교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담임교사의 관심도는 학생의 학교적응 총점, 친구 및 교사관계, 학교환경 적응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교사의 교직경력이 짧을 때 학생들의 학교적응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 규모 및 특수학급 규모에 따른 학교적응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학생변인(지적제한성 정도, 문제행동 정도, 현재 통합교육 정도), 가정변인(가정경제수준, 부모의 관심도), 학교 및 교사변인(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 담임교사의 관심도)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특수학급 학생의 학교적응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문제행동 정도이며, 그 다음으로 부모의 관심도, 담임교사의 관심도, 현재 통합교육 정도 순으로 학생의 학교적응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특수학급 학생들은 일반중학교에 대체로 잘 적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수업참여와 친구관계에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학생의 문제행동이 학교적응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규명되었다. 또한 부모의 관심과 담임교사의 관심이 많을수록 높은 수준의 학교적응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는 중학교 시기에도 여전히 부모와 담임교사의 역할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에서는 특수학급 학생의 성공적인 통합을 위해서 문제행동 중재를 통해 학생들의 학업 및 사회적 적응을 돕는 것이 필수적이며,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책무성을 공유하고 가정과의 연계와 협조를 통해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Adolescents develop not just simple intellectual function and skills, but their personality being assimilated and well adjusted to the society, through school education. Adjustment to the school is one of adolescents' developmental tasks, they go through socialization process for their adulthood by this task. Howeve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middle school experience more difficulties in school adjustment compared to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because they can’t have sufficient study skills and sociality skills due to their disability and they undergo not only radical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changes as adolescents do but many changes in physical and instructional environment at middle school. It is necessary to confirm and analyze the variables synthetically which affect their school adjustment for proper intervention of their school adjust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rehending overall school adjustment level and investigating the effects and the relative influence of student variables, family variables, school and teacher variables on the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middle school.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pecial class teachers in 197 middle schools in Seoul, finally, 504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which was composed of the questions asking student variables, family variables, school and teacher variables which influence on the school adjustment, and the ‘School adjustment scale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Na, 2009)’.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chool adjustment level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middle school in Seoul was high, 3.9 on a 5 point scale.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each subordinate scope of school adjustment, the scope which showed the highest score was ‘school environment adjustment’. While the result show t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difficulties in ‘peer and teacher relationship’ the most. Second,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in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student variables,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school adjustment than male students. They appeared to adjust to school better when their intellectual limitation and problem behaviors are milder. Also, the students who attended full time or part-time inclusive class show higher school adjustment than the students who attended full-time special class. Third,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in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family variables, students with disabilities appear higher school adjustment when their parents have more attention. On the contrary, home economic status did not influence the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aningfully. Fourth,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according to school and teacher variables, school adjustment appeared higher when special class teacher was female. The higher special class teacher’s job satisfaction was, the highe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chool satisfaction appeared. In addition, class teacher's attention appeared to meaningfully influence ‘the total score of school adjustment’, ‘the peer and teacher relationship’, and ‘the school environment adjust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ppeared higher when special class teacher’s teaching career is shor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school scale and special class scale. Fifth,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relative influence of student variables (degree of intellectual limitation, degree of problem behavior, degree of inclusion), family variables(home economic status, parents' attention), school and teacher variables(special class teacher's job satisfaction, inclusive class teacher's attention), the variable with biggest influence on the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the degree of problem behavior, next is parents' attention, class teacher's attention and degree of inclusion in order. To sum up the above results, students with disabilities appeared to well adjust to general middle school, however they felt relatively difficult in academic engagement and relationship with friends, also, their problem behavior appeared to be the variable which most importantly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Also, the research result that the higher parents' attention and inclusive class teacher's attention influenced higher level of school adjustment implies that parents‘ and class teacher's role is still important during middle school tim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school should help students with disabilities academic and social adjustment through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 and provide support for successful inclusion, also, it is important that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class teacher’s share sense of duty, and support inclusion through a link with family and cooper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7 C. 용어의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8 A. 학교적응의 개념 8 1. 적응의 개념 8 2. 학교적응의 개념 및 구성요소 9 B. 청소년기 장애학생의 학교적응 14 1. 청소년기의 학교적응 14 2. 청소년기 장애학생의 학교적응 15 C. 청소년기 장애학생의 학교적응에 관련된 변인 18 1.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관련된 변인 18 2. 장애학생의 학교적응에 관련된 변인 19 Ⅲ. 연구 방법 23 A. 연구 참여자 23 B. 연구 도구 25 C. 자료수집 및 자료처리 방법 34 Ⅳ. 연구 결과 36 A.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학교적응의 전반적인 수준 36 B.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학생변인과 가정변인에 따른 학교적응도의 차이 38 1. 학생변인과 가정변인에 따른 일반적 특성 38 2. 학생변인과 가정변인에 따른 학교적응도의 차이 40 C.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학교 및 교사변인에 따른 학교적응도의 차이 44 1. 학교 및 교사변인에 따른 일반적 특성 44 2. 학교 및 교사변인에 따른 학교적응도의 차이 46 D.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학생변인, 가정변인, 학교 및 교사변인이 학교적응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49 1. 학생변인, 가정변인, 학교 및 교사변인이 학교적응 총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49 2. 학생변인, 가정변인, 학교 및 교사변인이 학교적응의 하위영역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51 Ⅴ. 논의 및 제언 59 A. 논의 61 1.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학교적응의 전반적인 수준에 관한 논의 61 2. 학생변인에 따른 학교적응도의 차이에 관한 논의 62 3. 가정변인에 따른 학교적응도의 차이에 관한 논의 65 4. 학교 및 교사변인에 따른 학교적응도의 차이에 관한 논의 66 5. 학생변인, 가정변인, 학교 및 교사변인이 학교적응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에 관한 논의 67 B.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71 참고 문헌 73 부 록 89 ABSTRACT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387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서울 지역 중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Variables affecting on the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middle school in Seoul-
dc.creator.othernameYoon, Ji Young-
dc.format.pageix, 98 p.-
dc.contributor.examiner박은혜-
dc.contributor.examiner김유리-
dc.contributor.examiner박승희-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