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5 Download: 0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주어중출문 인식 연구

Title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주어중출문 인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Double Subject Construction in Korean by L1 Chinese Learners
Authors
Song, Yi Ni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주어중출문에 대한 인식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선행연구에 대해 검토하여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본고의 연구 문제는 첫째, 중국인 학습자의 주어중출문에 대한 인식은 한국어 모어 화자와 비교했을 때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중국인 학습자의 주어중출문에 대한 인식은 숙달도에 따라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가, 셋째, 중국인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는 주어중출문에서 명사구에 결합하는 조사 사용에 차이를 보이는가이다. Ⅱ장에서는 국어학 분야의 연구를 통해 한국어 주어중출문의 통사 구조를 살피고 주어중출문의 명사구 의미 관계 유형에 따른 분류를 고찰함으로써 이론적 배경을 마련하였다. 이어서 Ⅲ장에서는 연구 도구를 개발하였다. 연구 도구는 총 두 가지로, 한국어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주어중출문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문법성 판단 테스트와 주어중출문에서 명사구에 결합하는 조사 사용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한 빈칸 채우기이다. 검사는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한국어 모어 화자 28명, 수도권에 위치하고 있는 8개의 대학 및 대학 부속 한국어 교육 기관에 재학 중인 중국인 중급 학습자 20명, 고급 학습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중국인 학습자의 주어중출문에 대한 인식은 한국어 모어 화자와 비교했을 때 차이가 있었다. 주어중출문의 명사구 의미 관계 유형별로 살펴보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전체-부분(구체, 추상, 종류)’, ‘소유’, ‘친족’ 유형에 대해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 낮은 인식도를 보였다. 아울러, 주어중출문이 아니지만 ‘이/가’를 가지는 명사구가 두 번 나타나는 ‘심리’와 ‘보어’ 구문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심리’와 ‘보어’ 구문에 대한 인식은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 낮은 인식도를 보였다. 둘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주어중출문에 대한 인식에서 숙달도 변인은 ‘추상’ 유형에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인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 간에 주어중출문의 명사구 뒤 조사 사용에 차이가 나타났다. ‘전체-부분’유형 중 ‘구체’, ‘추상’에서 중국인 학습자는 NP₁에 ‘의’를 결합시킨 반면, 한국어 모어 화자는 ‘은/는’을 선호하였다. 그리고 중국인 학습자가 ‘심리’ 구문에서 ‘이/가’에 ‘을/를’을 대치한 경우가 많이 나타났는데, 이는 실제 교실에서 심리 형용사에 대한 효과적인 교수 방안이 개발될 필요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주목 받지 못했던 주어중출문에 대해 학습자의 인식 양상을 밝힌 데 의의가 있다. 이 결과를 통해 교육 현장에서 주어중출문을 교수하고 학습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주어중출문 중 형용사 구문을 한정하여 살핀 것으로, 자동사 구문과 타동사 구문을 다루지 못했다는 한계를 가진다. 주어중출문에 대해 다양한 유형을 바탕으로 인식 양상을 밝힌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the perception of double subject construction in Korean by L1 Chinese learners. ChapterⅠ introduc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reviews the literature on previous study and defines the main questions of the dissertation as follows. The first question i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double subject construction between Chinese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Then the second question i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proficiency of their perceptions of double subject construction among the Chinese learners of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And the last question i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 between the Chinese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in using the particle combined with the noun phrase in double subject construction. To answer these questions, Chapter Ⅱ provid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by examining the syntactic structures of double subject construction in Korean and the type classified by semantic relation with noun phrase in. Chapter Ⅲ introduces two tests developed for this research. A grammatical judgment test, which examines the perception of double subject construction of both Korean native speakers and Chinese learners, and a cloze test, which investigates the preferable particle combined with the noun phrase in double subject construction, are developed as tools in this research. The testees include 28 Korean native speakers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20 intermediate and 20 advanced Chinese learners of Korean from 8 Korean colleges and Korean teaching institutes in colleges in Seoul. The results of the tests are stated as follows in Chapter Ⅳ. First, there ar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double subject construction between Chinese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Second, differences in proficiency have a certain influence upon Chinese learners' perception of double subject construction. Third, there are differences in using the particle combined with the noun phrase in double subject construction between Chinese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At last, Chapter Ⅴ examin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It is significant to examine learners' perception of double subject construction in Korean, since it has been an area neglec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for quite some time. Teaching and learning of double subject construction is supposed to be in need as the study results suggest. Further studies on the perceptions of both intransitive verb sentence and transitive verb sentence, which affiliated with double subject construction, are also supposed to be in process in the near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