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8 Download: 0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자석교구 개발 및 적용효과

Title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자석교구 개발 및 적용효과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Magnetic Teaching Tools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 Focusing on a Creativity Program
Authors
이승현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영순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figure out an effect that a creativity program with magnetic teaching implements have on five-year-old young children, and to provide an empirical research resource about the educational effect of magnetic teaching implements. Based on this purpose, the following subject shall be examined. Does a program for young children’s creativity using magnetic teaching implements have a meaningful effect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imagination)? The object of this survey is 30 five-year-old young children (16 boys and 14 girls) of S national nursery located in Songpa-gu, Seoul. Among them, 15 children of Y class 1 (8 boys and 7 girls) compose an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a creativity program using magnetic teaching implements, and 15 children of Y class 2 (8 boys and 7 girls) comprise a control group without any treatment. The period of this experiment is 5 weeks, from April 2 to April 30, and a creativity program with magnetic teaching implements was carried out twice a week, 9 times in total. Magnetic teaching implements and a creativity program were used as the teaching tools. These magnetic implements invented by the present researcher are variably detachable tools made from textiles, which consist of various forms of figures that are freely detachable, changeable in shape, and can be reassembled in a creative way. The creativity program was reorganized with reference to the studies on creativity programs for young children by Chunil Kim (1999) and Keonyong Kim (2011), based on the kindergarten course revised in 2007. The program was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the verification and preliminary research of an expert in art education, a president of a child care center, and two teachers of child care centers. For a measuring tool, K-CCTYC (Korean Comprehensive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 was used, which Gyeongwon Jeon had developed, standardized, and revised in 1999. Hakjisa Psychological institute used Microsoft Office Excel 2007 to calculate and provided the T- point,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sured data. The program of SPSS (Statistical Package Social Science) 20.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of a homogeneity test and pre-to-post increments. The Mann-Whitney test and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both of which are non-parametric statistics, were conducted to testify the hypothesis of the research subject, for the pre-test and post-test data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re not enough in terms of sampling size. The outcome of the present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creativity program in utilization of the magnetic teaching implements, the total point of creativity increased considerably. In terms of the subcomponents of creativity, the all four aspects of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imagination increased in a very considerable way. In particular, there was a great deal of increase in the points of creativity and imagination, which are the ultimate goal and the source of creative thinking, respectively. Second, in the case of the control group without any treatment, there was an meaningful increase in the total point of creativity and in fluency among the subcomponents. Third,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erms of the total point of the pre-to-post examination about creativity and the average of each subcomponent, the experimental group was found to achieve even more impro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Taken all together, it has been found that a creativity program using magnetic teaching implements is highly effective to improve young children’s creativity. As a result of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the total point of creativity and the pre-to-post points of each creativity’s subcomponent, it is highly likely that a creativity program in utilization of magnetic teaching tools makes a great influence on the increase of the total point of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the creativity point of each subcomponent. This result proves that magnetic implements are an appropriate teaching-learning material to promote the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implying its applicability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to provide young children with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magnetic implements for an improvement of their creativity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본 연구는 자석교구를 활용한 창의성 프로그램이 만 5세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석교구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서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자석교구를 활용한 유아 창의성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송파구에 위치한 S 국립 어린이집 만 5세 유아 30명(남아 16명, 여아 14명)이다. Y 1반 15명(남아 8명, 여아 7명)은 자석교구를 활용한 창의성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으로, Y 2반 15명(남아 8명, 여아 7명)은 아무런 처치도 가하지 않은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처치 기간은 2012년 4월 2일부터 4월 30일까지 5주간이며 주 2회씩 총 9회의 자석교구를 활용한 창의성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수업도구로는 자석교구와 창의성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자가 개발한 자석교구는 섬유로 제작된 결합위치의 변위가 가능한 자석탈부착 교구로서 다양한 도형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에 자유롭게 탈부착이 가능하고 변형이나 창의적 재조립이 가능한 특징을 지닌다. 창의성 프로그램은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을 근거로, 김춘일(1999)과 김건용 외(2011)의 유아의 창의성 프로그램 연구를 참고하여 재구성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미술교육전문가 1인, 어린이집 원장 1인, 어린이집 교사 2인의 검증과 예비연구를 토대로 수정·보완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전경원이 개발 및 표준화하고 1999년 개정한 유아종합창의성검사(Korean Comprehensive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 K-CCTYC)를 사용하였다. 측정된 자료를 토대로 학지사 심리검사연구소에서 Microsoft Office Excel 2007을 사용하여 T-점수,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제공하였다. 동질성 검사, 사전-사후 증가분에 대한 통계분석에는 SPSS(Statistical Package Social Science)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자료는 표본수가 적어서 정규 분포를 가정할 수 없으므로 비모수 통계 방법인 Mann-Whitney 검정,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석교구를 활용한 창의성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경우, 창의성 총점이 매우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창의성 하위요소별로 살펴보면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의 4가지 요소 모두에서 창의성 점수가 매우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특히 창의적 사고의 궁극적 목표인 독창성과 창의적 사고의 원동력이 되는 상상력 점수가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둘째, 아무런 처치도 가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경우, 창의성 총점과 창의성 하위요소 중 유창성에서 창의성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창의성 사전-사후검사의 총점과 하위요소별 평균을 비교한 결과, 통제집단에서보다 실험집단에서 크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자석교구를 활용한 창의성 프로그램은 유아의 창의성을 증진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창의성 총점과 창의성 하위요소별 사전-사후 점수를 통계분석 한 결과, 자석교구를 활용한 창의성 프로그램은 유아의 창의성 총점과 하위요소별 창의성 점수의 신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석교구가 유아의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적절한 교수-학습 자료임을 입증해주며, 교육현장에서 활용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유아 교육현장에서는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해 유아들에게 자석교구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