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1 Download: 0

폐암환자의 폐엽절제술 후 호흡기능과 통증 개선을 위한 취주악기연주와 가창 적용 사례

Title
폐암환자의 폐엽절제술 후 호흡기능과 통증 개선을 위한 취주악기연주와 가창 적용 사례
Other Titles
Wind Instrumental Playing and Singing for Postoperative Pulmonary Function and Pain after a Lobectomy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Authors
서란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수지
Abstract
본 연구는 음악중재를 사용한 호흡재활 프로그램을 통해 폐엽절제술 환자의 폐기능과 통증을 포함하여 환자에게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한 사례연구이다. 대상자는 2014년 1월 6일부터 2014년 3월 31일까지 서울시 소재 대학병원에서 폐엽절제술을 시행받은 폐암 환자로 해당 병원의 흉부외과 전문의의 추천 하에 선정되었으며, 수술 후 입원 중이며 처음 폐수술을 받았고 의사소통 기능 및 청력에 무리가 없으며 수술 후 1일차부터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좌하엽 절제술 환자 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폐기능은 폐기능 검사 내 지표인 FVC, FEV₁, PEF로 사정하였고, 음성분석프로그램인 Praat을 사용하여 최대발성시간을 측정하였다. 통증은 VAS 척도를 사용하여 매 세션 질문을 통해 측정하였다. 측정된 자료는 프로그램 및 전·후로 비교하고 분석되었다. 수술 전 흡연력으로 인해 호흡치료가 필요하다는 의무기록을 가진 대상자 B에게는 매 세션 전후로 이동식 폐량계를 사용하여 PFT와 같은 항목의 폐기능 지표를 측정하였다. 음악요소 적용에 대한 환자들의 반응은 비디오 분석을 통해 실시되었다. 본 호흡재활 프로그램은 기존의 호흡운동 프로토콜에 환자의 기능 상태에 맞춘 음악 패턴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서 대상자마다 개별적으로 실시되었다. 프로그램 기간은 수술 후 1일차부터 시작하여 퇴원 시까지 호흡재활 프로그램에 매일 참여하게 하여 하루 25분씩 시행하였다. 이를 시행한 결과, 편평세포암 진단을 받은 74세 대상자 A는 폐기능 지표 FVC, FEV₁, PEF 와 최대발성시간이 증가하였으며 통증은 세션 직전·후 차이는 없으나 음악 중재 시 통증 호소 빈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A는 프로그램 초반에 음악활동 수행에 대해 부담감을 나타내었으나 자신의 선호곡을 사용하여 취주악기를 연주하거나 가창하였을 때 호흡수행에 집중하였으며, 점차 자기 표현빈도수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비소세포성폐암 진단을 받은 61세 대상자 B 또한 폐기능 지표와 최대발성시간이 향상되고 통증호소 빈도가 음악활동 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B는 음악에 맞추어 호흡을 수행하는 것이 폐량계 불기보다 폐가 더 팽창되고 활성화되는 느낌을 보고하였으며 선호곡 사용으로 인해 더 즐겁게 임할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이는 음악이 호흡운동 수행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호흡 수행의 시점과 강도에 대한 적절한 가이드를 제공하여 호흡근과 잔기 폐용적의 사용을 활성화하였고, 음악 자극 제공을 통해 통증인지 감소에 도움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긍정적 정서를 경험시키기에 유용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었다. 환자들의 질적인 변화를 통해 본 프로그램은 폐 수술 환자들이 입원 기간 동안 기능 상태에 맞게 호흡 재활을 진행할 수 있는 개별 음악치료 프로그램으로, 병원 현장에서 호흡재활이 필요한 환자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환자의 입원기간 및 음악 경험에 제한되지 않고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재임을 살펴볼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examine the use of wind instrumental playing and singing after a lobectomy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during the postoperative care. Two lung cancer patients who had undergone lower lobe lobectomy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patient received 25 minutes of music-based pulmonary rehabilitation training for consecutive days since one day after operation.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pulmonary function and relieving postoperative pain, breathing exercises were conducted with musical accompaniment adopting musical elements to present temporal, spatial, and force cues for the targeted movements. Wind instrumental playing and singing were also structured to facilitate patients’ breathing regulation and breathing-related muscle activation. At pre and posttest, pulmonary function indicators including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at one second (FEV₁) and peak expiratory flow rate (PEF) via pulmonary function test (PFT), and maximum phonation time (MPT) via Praat were measured. Perceived pain levels were also rated, using the visual analogue scale before and after each training session.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patients showed improvements in FVC, FEV₁, PEF, and MPT data after participation in the training. Although changes in perceived pain levels were not observed after each training session, the patients showed noticeable decreases in their ratings throughout the entire training sessions. Observational data also showed that patients tended to show more frequent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s and increasing willingness for treatment programs over time. This study, as one of the initial attempts to apply music-based training to patients who have undergone lung cancer lobectomy, has confirmed the potential effectiveness of integration of musical elements into pulmonary rehabilitative program. Musically-structured training program was demonstrated to effectively facilitate the initiation, maintenance, and regulation of expected breathing patterns. Thus, this music-based program needs to be applied to a broader range of patients in need for pulmonary rehabilitation as well as a larger spectrum of lung cancer patients.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to develop the guidelines required to determine and adjust the intensity and the level of tasks in this rehabilitative program in consideration of differing pulmonary functioning and postoperative states of individual pati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