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현주-
dc.contributor.author배하경-
dc.creator배하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2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9013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7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90133-
dc.description.abstract교육현장의 변화에 발맞추어 수학 학습의 수월성 향상을 위한 융합적 접근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들의 음악을 활용한 수학 개념 학습을 돕기 위해 음악-수학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수업 모형은 Music activity, Math discovery, Learning의 3단계로 이루어 졌으며 MML 모형이라고 명명하였다. 첫 번째 단계인 Music activity는 다양한 음악활동을 직접 해봄으로써 학습에 흥미를 느끼고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두 번째 단계인 Math discovery는 다양한 음악활동 속에서 음악적인 요소들을 단서로 하여 수학적 개념을 발견하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Learning은 일반적인 상황으로의 전이를 위하여 수학개념을 일반화하여 습득하는 단계이다. MML 모형은 1․2차 전문가 집단의 검증을 통해 수정․보완한 후 완성하였다. 1차 전문가 집단은 석사과정에서 음악치료교육을 전공한 특수교사 3인으로 구성되었으며, 2차 전문가 집단은 음악관련 전공을 하지 않은 현장 특수교사 6인으로 구성되었다. 9인의 전문가에게 모형의 교과교육적 측면, 모형 구현의 적절성, 현장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검증받았다. 개발된 MML 모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교과의 인지적․기능적․정의적 측면이 구현되었다. 특히 학생이 직접 조작하는 기능적 측면과 수업에 흥미롭게 참여하는 정의적 측면에서 더 효과적으로 구현되었다. 둘째, MML 모형은 음악활동 속에서 수학 개념이 적절하게 구현되는 것을 실현하였다. 수학학습을 위한 단계를 제시하고, 각 단계별로 수학 개념을 반영한 음악활동과 지도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모형이 수학개념 학습 촉진을 위한 중재로써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특수교육 현장에서 적용 가능성을 높였다. 현장 특수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모형을 적용한 활동을 제시하였으며, 각 활동에 사용한 음악의 악보와 음악사용 논거를 제시함으로써 활동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하였다. 전문가들은 전반적으로 MML 모형에 대해 음악적인 요소와 활동을 활용하여 수학의 공간개념 학습을 위한 수업 모형을 개발한 점에 대해 흥미롭다는 긍정적인 판단을 하였다. 추후에 현장에서 본 모형을 직접 적용한 후 효과성 검증과, 공간 개념 이외의 수와 연산 개념 등으로의 확장, 지적장애 아동에 제한하지 않고 다양한 장애영역을 대상으로의 적용이 이루어진다면 특수교육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lecture model for learning spatial concept in math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settings using music therapy educational ideas. This lecture model was named as MML Model and consisted of three steps: ‘Music activity’, ‘Math discover’, and ‘Learning’. The first step is for ‘Music activity’, and students are interested and immersed in the class by doing a variety of musical activities in this first step. Next step is for 'Math discovery', and students discover the math concept with the musical elements while they are participating in their music activities. The last 'Learning' step is for generalizing the math concept in different situations. The MML model was evaluated for validation by a total of 9 professionals. The first group of three experts who are in major of music therapy at graduate school level participated in the first validation process. The second part was completed by six professionals in special education without holding any other degree in music therapy. The Model was evaluated in the following components: content-area learning in Math, appropriateness of the Model, and applications for practices in classes. Characteristics of the MML model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del was designed for realization of three aspects of math learning: cognitive, functional, and affective. As a results of the validation process, professionals highly valued the Model for effective learning for math in functional and affective aspects. Second, they validated that the model was designed to realize the math concept appropriately. The model plays a key role as an intervention for promoting math concept learning by establishing the steps for math and reflecting math concept in music activities. Third, the model was designed to apply the Model in actual classrooms in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includes class activities applying the Model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future applications and provides evidence for music scores and application grounds to help better understanding for class activities. In sum, experts validated that the Model was interesting in overall, because the Model was developed with musical activities and elements for spatial concepts of math. But, they also judged that more details of method or explanation are needed for applying in real education for teachers who were not majored in music therapy. While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Model for applications in practices, there are possibilities to apply in different math concepts like number and operations. In addition, this model can be useful for teaching a wide rang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cludi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C. 연구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통합교과 교육 5 B. 음악 요소와 수학 개념 6 C. 공간개념과 음악 10 D. 지적장애 학생의 수학 학습 특성 12 E. 지적장애 학생의 공간개념 특성 13 F. 수학학습에 적용할 수 있는 음악 활동 14 Ⅲ. 연구방법 17 A. 연구 범위 17 B. 연구 절차 18 C. 음악-수학(MML)수업 모형 개발의 실제 25 Ⅳ. 지적장애 학생의 수학 학습을 위한 MML 수업 모형의 적용 32 A.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내용 분석 및 재구성 32 B. MML 수업모형을 적용한 활동 34 Ⅴ. 요약 및 결론 63 A. 요약 63 B. 결론 64 C. 제언 65 참고문헌 67 부록 75 ABSTRACT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9282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15.85154-
dc.title초등학교 지적장애 학생의 수학학습을 위한 음악-수학 수업 모형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공간개념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of Music-Math Lecture Model in Math Learning for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Focusing on Spatial Concept in Math-
dc.creator.othernameBae, Ha Gyeong-
dc.format.pageviii,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