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7 Download: 0

지적장애 청소년의 리듬 수행력에 관한 연구

Title
지적장애 청소년의 리듬 수행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hythm Performance Capabilities of Intellectual Disability Teenagers
Authors
원사라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본 연구는 지적장애 청소년의 리듬패턴에 따른 리듬 수행력에 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은 서울시 및 경기도 지역의 특수학교와 일반학교의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2-3급에 해당하고 생활연령 만 10세 이상에서 만 18세 미만에 해당하는 지적장애 청소년 총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기간은 본 연구에 적합한 대상자를 모집 후 2013년 11월 6일부터 2013년 11월 16까지 각 대상자에 따라 리듬 수행력 검사를 1회 실시하였다. 이 때, 리듬 수행력 측정을 위해 총 8개의 리듬패턴을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측정된 리듬 수행력은 평가 기준에 따라 본 연구자 외 관찰자 1인과 함께 리듬 수행력 점수를 수치화 하였고 관찰자 간의 신뢰도는 r=.93으로 나타났다. 자료분석은 지적장애 청소년들의 리듬 수행력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았고 리듬패턴에 따른 리듬 수행력의 차이는 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리듬 그룹 간(리듬그룹1-리듬꼴 3, 5, 7, 리듬그룹2-리듬꼴 4, 6, 8)차이를 알기 위하여 독립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지적장애 청소년의 리듬 수행력은 리듬패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리듬 그룹 간(리듬그룹1-리듬꼴 3, 5, 7, 리듬그룹2-리듬꼴 4, 6, 8)의 차이를 분석하였을 때 리듬패턴의 구성에서 연장된 박이 먼저 제시된 리듬보다 분할된 박이 먼저 제시된 리듬에서 높은 리듬 수행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청소년의 리듬패턴에 따른 리듬 수행력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리듬패턴의 난이도는 지적장애 청소년의 인지수준을 보여줄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고, 이들을 위한 리듬패턴이 어떻게 제시될 수 있는지에 대한 근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는 지적장애 청소년을 위하여 리듬 과제를 사용할 경우 과제의 난이도와 내용에 대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리듬 수행력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리듬 수행력의 수준과 음악인지와 관련된 인지기능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hythm performance capabilities of intellectual disability teenagers according to rhythm patterns. The subjects were 20 students between the ages of 10 and 18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rank of 2-3 who attend special-education schools or normal schools in the city of Seoul or Gyeongi Province. The study period was, after collecting subjects appropriately for this study, from November 6, 2013 until November 16, 2013, when we conducted an examination on each subjects’ rhythm performance capability once. When conducting the examination, we presented 8 different rhythm patterns in order to measure rhythmic performance capability.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of evaluation, there was one other examiner besides the observer of this study digitizing the scores of the rhythm performance capability measurements. The credibility between the two observers showed to be r=.93. Data analysis was done by finding the differences in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eenagers’ rhythm performance capabilities, and ANOVA were used for rhythm performance capabilities according to rhythm patterns as a analytic method. Also,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rhythm groups (Rhythm group 1-rhythm pattern- 3, 5, 7, rhythm pattern2- 4, 6, 8)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rhythm patterns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on intellectually disabled teenagers’ rhythm performance capabilities. Higher rhythm performance capabilities were shown when a split note can first rather than when an extended note came first in the rhythm pattern’s structure between rhythm groups (Rhythm group 1-rhythm pattern 3, 5, 7, Rhythm group 2-rhythm pattern 4, 6, 8) through this analysis.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e differences in an intellectually disabled teenager’s rhythm performance capability according to rhythm patterns. The level of difficulty of such rhythm patterns can be used as a reference to show an intellectually disabled teenager’s perception level, and can also be evidence on how to show these rhythm patterns to such teenagers. Through these results, we think this study can enable you to give rhythm tasks to intellectually disabled teenagers by becoming baseline data when choosing the level of difficulty and the content of the tasks. This implies rhythm performance capability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when evaluating the level of an intellectually disabled teenager’s rhythm performance capability and the level of cognitive function, which is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musi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