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송인령-
dc.contributor.author공지윤-
dc.creator공지윤-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2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6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7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631-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purposed to improve pair word short-term memory for under performing students through rhythm and melody(pitch) intervention and to compare the effect of rhythm with melody(pitch). For this study, twenty-six under performing students 3rd-4th grade who go to three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and agree with this study were selected. To pre-post test for measure under performing students’ short-term memory, pair-word test from the Korea Wechsler Memory Scale-Fourth Edition(K-WMS-Ⅳ) was used. To gauge the validity of the test, a preliminary test was given to a select group of average 4th grade students. Among the sixteen pair words in the exam, the ten pair words that fifty percent of the average 4th grade students answered correctly were chosen. Base on the pre-test, Students were placed into two groups, one whose learning was based around rhythm and the other melody(pitch), based around factors including school, sex, and grade. Students participate in five sessions, twice a week, and memorize ten pair words through repeat after rhythm or melody(pitch) three times and test how recall the response word according to stimulus word. Using elementary school textbooks, researchers were able to create a list of pair words that included synonyms, antonyms, inclusion relation words, verbs, and symbolic words that were later verified by two language specialists. And preliminary study was carried out to one-hundred 4th grade student for that find fifty pair word's level of difficulty and distribute evenly each session. In order to insure the study's reliability, memory tests were recorded and two teachers participated in an audio analysis of the tests. This study's result is the following. First, rhythm intervention for under performing students’ pair word short-term memory was effective for improving memory(t=-6.538, p=.000). Second, melody(pitch) intervention for under performing students’ pair word short-term memory was effective for improving memory(t=-6.035, p=.000). Third, out of the two interventions, the group that focused on melody had a greater improvement then the group that focused on rhyme, 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t=-1.126, p=.271). Forth, the average grade of pair word short-term memory in each session was increased by a meaningful difference(F=34.206, p=.000), and each session's grade correlation was meaningful(p<.01).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result, this study's significance is as followed. First, word memorization strategies using rhythm and melody(pitch) could be customized for the improvement of underperforming students' memory and vocabulary. In addition it can also be use in a normal classroom setting through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Second, in a music therapy session for increase memory, both rhythm and melody(pitch) could be used as an effective medium. For a student, melody(pitch) could steer interest more, so memorizing the words or lyrics in an activity should be used. For increase basic cognition learning ability, teaching method integrated language and music should be used, rhythm and melody(pitch) can be effective assistance to memory easily.;본 연구는 학습부진아의 쌍연합 단기 기억력 향상을 위한 리듬, 선율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고 두 중재 방법의 효과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정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초등학교 3곳의 3, 4학년 학습부진아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여 본 연구 참가의 동의를 받은 26명을 선정하였다. 학습부진아의 단기 기억력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사전․사후 검사도구로 한국판 웩슬러 기억검사 4판(K-WMS-Ⅳ)의 소검사 중 연합단어 검사Ⅰ을 활용하였다. 검사도구 예비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일반아동 4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졌으며, 16개의 쌍연합 단어 중 정답률이 50% 이상인 10개의 단어쌍을 선별하였다. 사전 검사 결과에 따라 학교와 성별, 학년을 고려하고 평균 점수를 같게 하여 리듬과 선율 중재의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대상자들은 개별로 주 2회 총 5회기의 쌍연합 단어 암기 학습을 하였으며, 10쌍의 쌍연합 단어를 리듬과 선율로 3번 반복하여 따라한 후 자극항에 따른 반응항 기억여부를 평가하였다. 사용한 쌍연합 단어 목록은 초등학교 교과서에 제시된 유의어, 반의어, 포함관계 있는 단어, 인물과 연상 단어 50쌍을 연구자가 1차로 구성한 후에 전문가 2인의 검증을 받은 후 개정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4학년 일반아동 100명에게 예비연구를 하여 50쌍의 단어들을 수준별로 나누어 회기별 단어들의 수준을 고르게 설정하였다. 연구의 신뢰도를 위해 세션 중 기억력 평가 시 녹음을 하였으며 교사 2인이 오디오 분석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부진아의 쌍연합 단어 단기기억력에 대한 리듬 조건 중재 시 기억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6.538, p=.000). 둘째, 선율 조건 중재 시에도 기억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6.035 , p=.000). 셋째, 두 중재방법 중 선율그룹의 향상정도가 더 높았으나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t=-1.126, p=.271). 넷째, 회기별 쌍연합 단어 단기기억력의 평균이 유의미한 차이로 향상하였으며(F=34.206, p=.000), 회기별 점수의 상관관계가 유의하였다(p<.01).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듬, 선율을 접목한 단어 암기 전략은 학습부진아를 위한 기억력과 어휘력 상승을 위한 맞춤형 전략일 될 수 있으며 일반 교실수업에서도 효과적인 지도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둘째, 기억력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 세션에서 리듬과 선율이 모두 효과적인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초등학생에게는 선율의 요소가 아동의 흥미를 더 유도할 수 있으므로 노래 안에서 가사를 기억하거나 단어를 외우는 활동이 많이 이루어져야한다. 기초 인지 학습능력의 향상을 위하여 언어를 음악과 통합하여 습득하게 하는 교수전략이 활용되어야하며 리듬과 선율의 요소는 기억을 용이하게 하는데 효과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용어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A. 학습부진아 7 1. 학습부진아의 개념 및 특성 7 2. 학습부진아의 인지적 특성 8 B. 단기 기억 10 1. 단기 기억의 정의 10 2. 학습부진과 단기기억 12 3. 단어 학습과 단기 기억 14 C. 기억 전략 15 1. 기억전략의 정의 및 종류 15 2. 쌍연합 단어 학습 17 D. 기억과 음악의 적용 18 1. 기억력 강화를 위한 음악 사용 18 2. 리듬과 기억력 21 3. 선율과 기억력 23 Ⅲ. 연구 방법 25 A. 연구 대상 25 B. 측정 도구 26 1. 쌍연합 학습 단어기억 검사 기록지 26 2. 한국판 웩슬러 기억검사(K-WMS-Ⅳ) 26 C. 연구 설계 및 절차 27 1. 연구 기간과 장소 27 2. 연구 방법 28 a. 예비연구 28 b. 본 연구 30 3. 쌍연합 단어 기억 과제 구성과 내용 31 4. 음악적 중재 프로그램 구성과 내용 35 D. 연구 자료 분석 39 Ⅳ. 결과 및 논의 40 A. 연구 결과 40 1. 리듬과 선율 중재가 기억에 미치는 효과 40 2. 리듬과 선율 중재의 효과 비교 44 3. 회기에 따른 기억 효과 45 B. 논의 48 Ⅴ. 결론 및 제언 51 A. 결론 51 B. 제언 54 참고문헌 56 부록 67 ABSTRACT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755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15.85154-
dc.title학습부진아의 쌍연합 단어 단기기억력 향상을 위한 리듬과 선율 중재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ffect of rhythm and melody(pitch) intervention for under performing students’ pair word short-term memory.-
dc.creator.othernameKong, Jee Yun-
dc.format.pageviii,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