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3 Download: 0

생활스포츠 종목과 참여자의 성별, 연령에 따른 신체상, 재미 및 심리적 행복감의 차이

Title
생활스포츠 종목과 참여자의 성별, 연령에 따른 신체상, 재미 및 심리적 행복감의 차이
Other Titles
Difference in Body Image, Enjoy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Life Sports, Participants Gender, and Age
Authors
김보혜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경옥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body image, fun, and happiness according to life sports and participants gender, and ag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74 men and women, aged 20-60, attending one of five different sports centers in Eastern Seoul. Independent variables for this study were indoor life sports, such as weight training, yoga, pilates, indoor golf, squash, and table tennis, participants gender, and age. Dependent variables for this study were body image, enjoy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ody image consisted of concern about external appearance, health and fitness self-evaluation, satisfaction with physical appearance, satisfaction with height. Enjoyment included self-confidence, fun, goal attainment, emotions during exercise. Psychological well-being was defined as emotional investment, and concentration. SPSS 21.0 was used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item total correlati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ANOVA. Pilates and yoga practitioners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concern about / and satisfaction with external appearance. Subjects reported high levels of enjoyment in every life spor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life sports. Competitive ball sports (table tennis, squash, and golf)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degrees of emotional investment than all other sports. 1. Pilates and yoga practitioners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concern about / and satisfaction with external appearance. 2. Subjects reported high levels of enjoyment in every life spor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life sports. 3. Competitive ball sports (table tennis, squash, and golf)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degrees of emotional investment than all other sports. Since the majority of pilates and yoga practitioners were women (GIVE A %),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ern with / and satisfaction about external appearance likely reflects the social pressures this group experiences in South Korea. In contrast, the competitive nature of sports like table tennis, squash, and even golf rewards concentration and thus requires a greater emotional investment from its practitioners.;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스포츠 종목과 성별, 연령에 따른 신체상, 재미 및 심리적 행복감의 차이를 규명하는 데에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강서, 강남에 위치한 스포츠센터 5곳에서 현재 생활스포츠에 참여하고 있는 20~60대 성인 남, 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로 실시하였다. 총 274부가 회수되었으며 수집된 274부의 자료 중 미기입하거나 불성실한 설문지 3부를 제외하고 총 271부를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인 특성에 관한 문항 8개, 신체상에 관한 문항 17개, 재미에 관한 문항 8개, 심리적 행복감에 관한 문항 19개로 구성하였다. 생활스포츠 종목과 참여자의 성별, 연령에 따른 신체상, 재미 및 심리적 행복감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자료처리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문항분석(item-total correlation), 탐색적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및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스포츠 종목에 따라 신체상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몸치장에 대한 관심은 요가/필라테스가 구기 종목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헬스에 비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요가/필라테스는 헬스나 구기 종목에 비해 전반적인 외모평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헬스와 구기 종목의 경우, 구기 종목이 헬스에 비해 전반적인 외모평가가 다소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신체상 중 건강 체력 평가와 신장에 대한 불만에서는 생활스포츠 종목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스포츠 종목에 따른 생활스포츠 활동의 재미에 대한 다변량 검증 결과, 모두 기각되었다. 즉, 생활스포츠 활동의 재미요인인 성취적 요인과 유능성 지각요인 모두 생활스포츠 종목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생활스포츠를 하는데 있어서 재미는 모든 종목에 있어서 공통적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셋째, 생활스포츠 종목에 대한 다변량 검증 결과, 구기 종목이 헬스보다 유의하게 즐거움이 높았으며, 요가/필라테스에 비해서도 즐거움이 다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넷째, 동일한 생활스포츠 종목의 참여자 성별에 따른 신체상, 재미, 심리적 행복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재미요인과 심리적 행복감의 요인에 있어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신체상에 있어서 몸치장에 대한 관심에서만 요가/필라테스에 참여하고 있는 여성 집단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차이를 보여주었다. 다섯째, 동일한 생활스포츠 종목의 참여자 연령에 따른 신체상, 재미 및 심리적 행복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신체상 중 몸치장에 대한 관심과 전반적 외모평가는 요가/필라테스에 참여한 30-40대 집단에서, 건강 체력 평가는 구기 종목에 참여한 20대 집단에서, 신장에 대한 불만은 요가/필라테스에 참여한 20대 집단에서 가장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비유의적이었다. 재미요인 중 성취적 요인은 구기 종목에 참여한 20대 집단에서, 유능성 지각요인은 헬스에 참여한 20대 집단에서 가장 높았으나 통계적으로는 비유의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심리적 행복감 요인 중 자신감은 구기 종목에 참여한 20대 집단에서, 즐거움은 구기 종목에 참여한 30-40대에서 가장 높았으나, 통계적으로는 비유의적이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