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8 Download: 0

GI 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풍속화 감상수업 지도방안 연구

Title
GI 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풍속화 감상수업 지도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ing Method for Genre Painting Appreciation Class Applying the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 Focusing on the Seco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
Authors
김태은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숙환
Abstract
The middle schools' art appreciation class emphasizes collaboration and combination between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to build aesthetic interest,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critical thinking in 2009 revised art curriculum. From this point of view, middle school's art appreciation class should be extended from accepting and critically appreciating a work to explorative process that creating new meaning of a work and creatively expressing activi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viding experiences of art appreciation classes and enhancing interest in art appreciation by applying the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based on 2009 curricular revision in art education. Also this study was intended to verify educational effect which are art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that comes from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applied art appreciation class. For that, the following procedures and methodology are used in this study. First, this study proposes direction for art appreciation teaching methods by analyzing '2009 revised art curriculum' and 'current condition of middle schools' art appreciation class' for middle schools' art appreciation classes' problems. Second, this study builds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applied art appreciation teaching blue prints, develops class tools, revises and verifies reliability bases on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cooperative learning. Third, two classes are selected based on equivalence check, to evaluate experience and interest towards cooperative learning in art class genre painting appreciation class and basic genre painting related knowledge level. Also, art learning motivation test and academic achievement test are conducted as pretest. Meanwhile, this study provides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applied genre painting class to experiment group while traditional group activity applied genre painting class to control group. And then post-learning motivation and post-academic achievement are tested. Fourth, this study uses SPSS ver. 21.0 to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test results to compare and analyz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lso results are re-interpreted from multilateral perspective to derive conclusion based on students' impression writing and teachers' observation and analysis. Conclusion from this study results is following. First,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applied genre painting appreciation class based on 2009 revised art curriculum makes interest and attention to students. Second, compare to traditional group activity applied genre appreciation class,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applied genre appreciation class had more improvement in learning motivation. Third,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applied genre painting appreciation class had more improvement in academic achievement compare to traditional group activity applied genre painting appreciation class. In conclusion,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applied genre painting appreciation class gave very positive influence to the seco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 art educational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mprovement as educational effect. As a result, this study has meaning as baseline data for art appreciation class's teaching method development in art education site, and furthermore, studies for teaching method for art appreciation class should be continuously accomplished.;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중학교 미술 감상수업은 ‘체험’, ‘표현’, ‘감상’ 영역의 연계성과 통합을 강조하여, 미적안목을 기르고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비판적 사고력을 기르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중학교 미술 감상수업은 미술작품에 대해 수용하고 비평적으로 감상하는 것에서 미술작품의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고 창의적인 표현활동을 위한 탐구과정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2009년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GI 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풍속화 감상수업을 개발하여 교육현장에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미술 감상수업의 경험을 제공하고 미술 감상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 것에 있다. 또한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 감상수업의 교육적 효과로서 미술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와 방법으로 연구를 실행하였다. 첫째, 2009년 개정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미술 감상수업 실태에 대한 선행 연구와 조사를 통해 중학교 미술 감상수업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미술 감상수업 교수․학습방법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둘째, 협동학습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GI 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 감상수업의 교수-학습 과정을 설계하고, 수업도구를 제작하며,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의 평가 도구를 수정하고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셋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한 중학교 2학년 총 58명의 동질성 검사를 실시하여 동질성을 검증하였고, 사전검사로서 학습동기와 학업 성취도 검사를 하였다. 이후 실험집단에는 GI 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풍속화 감상수업을 진행하고, 통제집단에는 전통적 모둠활동을 적용한 풍속화 감상수업을 하였다. 그리고 사후 학습동기와 학업 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넷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검사지 결과를 SPSS Ver.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학습동기와 학업 성취도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소감문과 교사의 관찰 분석을 통해 다각적인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정리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9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GI 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풍속화 감상수업은 학생들에게 미술 감상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향상시켰다. 이것은 학생들의 수업 소감문에서 앞으로 풍속화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한 미술작품에 대해 감상하고 싶다는 의견의 비율이 높았던 것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둘째, GI 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풍속화 감상수업은 전통적 모둠활동의 풍속화 감상 수업에 비하여 미술 학습동기를 향상시켰다. 특히 학습 동기의 사전-사후 검사결과 탐구 및 호기심, 관련성, 자신감, 동기지속의 하위영역들 중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동기지속’이 가장 높은 향상을 보였다. 셋째, GI 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풍속화 감상수업은 전통적 모둠활동의 풍속화 감상 수업에 비하여 미술 학업성취도가 향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 교과의 특성상 지필평가 도구만으로 미술 학업성취도를 평가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실기평가와 미술 감상 평가, 그리고 질적평가로서 학생들의 소감문과 교사의 관찰분석을 통해 종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개인별로 이루어지는 지필평가의 검사결과와 모둠별 실기평가, 미술 감상 평가의 결과를 통해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미술 학업성취도가 더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술 감상 평가결과는 통계적으로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나지 않았으나, 실험집단의 평균이 통제집단보다 전체적으로 높게 나온 것에서 학생들의 미술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질적평가도구로서 학생들의 소감문과 교사의 관찰 분석결과에 의하면 GI 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풍속화 감상 수업이 전통적 모둠활동을 적용한 풍속화 감상 수업보다 학생들의 긍정적인 수업태도와 수업만족도에 더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GI 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 풍속화 감상수업은 중학교 2학년 학습자에게 교육적 효과로서 미술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향상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교육 현장에서 미술 감상수업의 교수학습방법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그 의의를 가지며, 앞으로 미술 감상수업을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의 연구들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