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전우주-
dc.creator전우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3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902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4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9024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억양의 화용적 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한국인 집단과 외국인 학습자 집단을 대상으로 화자의 태도에 따른 억양 사용 양상을 살펴본 연구이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기술하고 억양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고찰함으로써 억양 연구에서 문법적 기능뿐만 아니라 화용적 기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한 뒤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연구 문제 1은 화자의 태도에 따른 한국인과 고급 학습자 집단 간 억양 사용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고, 연구 문제 2는 억양에 따라 달라지는 화자의 태도를 인지할 수 있는지와 더불어 두 집단 간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는 것이었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먼저 억양의 기능을 정리하고, 한국어 억양의 유형을 살펴본 후,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문종결 위치 ‘-는데’를 범주화 하고, 마지막으로 문종결 위치 ‘-는데’의 억양과 그에 따른 의미기능을 정리했다. 문종결 위치에서 ‘-는데’가 무표적 억양과 함께 단순히 감탄, 의문 등 서법과 관련된 문장 종결 기능을 수행할 때는 문법적 의미 기능으로, 후행절이 생략되어 연결어미이나 유표적 억양과 함께 종결기능을 수행할 경우는 화용적 의미 기능으로 분류하였고, 이에 따라 총 7가지의 구체적인 의미 기능을 제시하였다. 문법적 의미 기능에는 ‘진술하기’, ‘질문하기’, ‘감탄하기’ 세 가지가 있고, 화용적 의미 기능에는 ‘요청하기’, ‘거절하기’, ‘반대하기’, ‘의외의 사실에 대해 감탄하기’ 네 가지가 있다. 문종결 위치에 나타나는 ‘-는데’의 문법적 기능과 화용적 기능은 다시 ‘-는데’가 나타나는 구체적인 담화 상황으로 설정하고, 각 상황에서 화자의 태도에 따른 억양 사용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의 실험 참여자와 연구 대상, 자료 수집 방법, 연구절차, 그리고 자료 분석 방법에 관해 기술하였다. Ⅳ장에서는 발화 실험, 인지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통해 한국인과 학습자 집단 간 문종결 위치 ‘-는데’의 억양 사용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종합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제시하였다. 먼저, 발화 실험 결과 첫째, 학습자들은 문법적, 화용적 기능 산출을 위해 설정된 모든 상황에서 다른 억양보다 L%를 높은 빈도로 사용하고 있었다. 둘째, 한국인들은 ‘부탁, 거절, 대립’의 상황에서 대부분 유표적인 억양(L%-, LH%, LHL%)을 선호하고 있는 반면, 학습자들은 무표적인 억양(L%, H%)을 선호하고 있었다. 셋째, 학습자들이 산출한 억양을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이 H%가 놀람에 가까운 감탄을 표현한다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과 더불어 감탄의 무표적 억양 HL%-를 거의 산출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지 실험 결과 첫째, 학습자들은 억양에 따라 다르게 실현되는 화자의 간접적 태도를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학습자들은 H%로 나타나는 화자의 직접적 대립 의지를 인지하지 못 하고 있었다. 이와 더불어 발화 실험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H%와 ‘감탄’ 태도와의 관계를 인지하지 못 하고 있는 양상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종결 위치에 나타나는 어미 중 ‘-는데’에 국한해서 살펴보았기에 의미 기능에 따른 억양 사용 양상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둘째, 한국어교육에서 연결어미가 문종결 위치에 나타날 때 억양에 따라 다양한 의미기능으로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간의 연구들이 억양의 문법적 기능만을 연구한 것에 반해 본 연구는 화용적 기능까지 함께 살펴보았다. 그리고 학습자들이 구어 담화 상황에서 다양한 억양을 사용하지 못한다는 결과를 통해 억양의 화용론적 기능에 대한 교수의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었다. 셋째, 고급 학습자들임에도 불구하고 억양으로 실현되는 화용적 기능 중에서도 청자의 체면 유지를 위한 ‘간접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은, 실제 대화에서 잘못된 억양 사용으로 인한 오해가 야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언어적인 요소에 집중하고 있는 한국어 교육에 문제점을 제기할 수 있겠다.;This study focuses on pragmatic functions of intonation and examines the aspects of the use of intonation according to the attitudes of speakers, targeting both the group of Koreans and that of foreign learners. This study consists of five chapters as follows. In Chapter Ⅰ,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are described, and by considering a preceding research related to intonation, this thesis verifies the necessity of studies on both grammatical and pragmatic functions, suggesting two subjects for study. The subject for study 1 is an anlysis of the differences of the use of intonation between the group of Koreans and that of advanced learners according to the attitudes of speakers. The subject for study 2 is an anlysis about the possibility of recognizing the different attitudes of speakers that depend on their intonation and of showing any distinctions between the two groups. In Chapter Ⅱ, theoretical backgrounds are introduced. The functions of intonation, the types of Korean accents, and discussions on the meaning of the ending “-neunde” are examined, and finally the intonation and semantic functions of “-neunde” at the end of a sentence are also reviewed in this chapter. “-neunde” at the end of a sentence falls roughly into two semantic functional categories. When it performs simply a function of ending sentences related to the moods such as admiration and interrogation, along with an unmarked intonation, it is categorized into the function of grammatical meaning. Also, when the ending “-neunde” performs a function of ending sentences with connective endings or a marked intonation due to the omission of following clauses, it is categorized into the function of pragmatic meaning. With this classification, this thesis suggests a total of seven specific semantic functions. There are three functions of grammatical meaning such as “making a statement,” “asking questions,” and “admiring.” Also, the four functions of pragmatic meaning include “making a request,” “refusing,” “making an objection,” and “admiring for unexpected facts.” In Chapter Ⅲ, experiment participants, study objects, data collection methods, research processes, and data analysis methods are described. In Chapter Ⅳ,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aspects of the use of intonation of “-neunde” at the end of a sentence between the group of Koreans and that of Korean learners is carried out based on the results of production and recognition tests. In Chapter Ⅴ,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research results is conducted, and the outcome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of all, as a result of a production test, learners used L% more frequently than other accents in all the situations set for the production of grammatical and pragmatic functions. Second, in the situations of “making a request,” “refusing,” and “conflicting,” most Koreans prefered marked accents like L%-, LH%, and LHL%, while Korean learners gave preference to the unmarked accents such as L% and H%. Third, according to the comprehensive analysis, the learners failed to understand the fact that H% expresses an admiration close in meaning to surprise. In addition, the production of the accent HL%- was seldom made among those learners. The results of a recognition test are as follows. First, the learners failed to recognize the indirect attitudes of speakers realized through intonation. Second, the learners were not able to recognize the direct conflict will of speakers realized as H%. The meanings of this study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this study confines the object only to “-neunde” among diverse endings at the end of a sentenc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examine the aspects of the use of intonation according to the semantic functions in a more specific way. Second, contrary to the existing studies that have examined only the grammatical functions of intonation even though connective endings at the end of a sentence perform diverse semantic functions according to their accents, this study considers the pragmatic fuctions as well. Also, through the results that learners fail to use various accents in spoken discourses, the necessity of teaching the pragmatic functions of intonation can be suggested. Third, the fact that even advanced learners cannot recognize the “indirectness” for saving face of the audience, which is one of the semantic functions realized through intonation, shows that improper use of intonation can arouse misunderstandings in a face-to-face convers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oblems of the Korean education focused on the linguistic elements can be brought up.-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 연구 4 C. 연구 문제 9 Ⅱ. 이론적 배경 10 A. 억양의 기능과 유형 10 1. 억양의 기능 10 2. 한국어 억양의 유형 14 B. 문종결 위치의 ‘-는데’ 18 C. 문종결 위치의 ‘-는데’ 억양과 의미 기능 23 Ⅲ. 연구 방법 33 A. 실험 참여자 33 B. 연구대상 35 C. 자료수집방법 37 D. 연구 절차 41 E. 자료분석방법 43 Ⅳ. 연구결과 및 논의 46 A. 발화 실험 46 B. 인지 실험 87 Ⅴ. 결론 및 논의 102 참고문헌 105 부록 109 ABSTRACT 1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324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화자의 태도에 따른 억양 사용 양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문종결 위치의 ‘-는데’ 실현 문장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Aspects of the Use of Intonation according to the Attitudes of Speakers : Focused on Sentences with “-neunde” at the End of a Sentence-
dc.creator.othernameJeon, Woo Ju-
dc.format.pageix, 12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