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규-
dc.contributor.authorNISHIYAMA, China-
dc.creatorNISHIYAMA, China-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1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904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4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90460-
dc.description.abstractThe research purports to find the influence of Korean film captions on incidental vocabulary acquisition by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It is impossible for L2 learners to learn all the vocabulary explicitly. Thus, there could be acquisition of incidental vocabulary outside the classrooms. In addition, learning motivation is a critical factor for the acquisition of language that could determine the success or failure of learning. with more smart phone utilization nowadays, learners watch movies, dramas and videos more readily and frequently. This study tries to examine whether the utilization of Korean captions will contribute to the acquisition of incidental vocabulary to th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when they are exposed to mass media. to test it,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24 pre-intermediate level learns who are studying Korean at a Korean university language center. they are learners with various nationalities who were then divided into two groups of 12 participants placed either in an experimental group or a controlled group.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tched 'Christmas in August' with Korean captions whereas those in the second group did the same with no captions. they were given a post test 1 right after watching the movie, and a post test 2 was given a week later. The post test 1 tried to test the effect of film captions in the short-term memory while the post test 2 examined its effect in the long-term memory. Participants were not informed in advance that they would be given tests after watching the movie so they could concentrate on the movie. in addition to that,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urveyed to find out the effect of captions and the prospect of caption utilization. 1.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more significant achievement in the acquisition of incidental vocabulary than did the controlled group.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arners’ learning of incidental vocabulary in the long-term memory. 3. Classes that utilized Korean Film captions influenced the learning motive and the acquisition of vocabulary. Results of data analysis revealed that Korean captions could facilitate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this research differentiates itself by examining the impact of the provision of captions during the film appreciation on the acquisition of incidental vocabulary whereas the vast of other research utilize movies to study its influence on the listening improvement. I hope tha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ill be helpful for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motivate students’ learning and to excite them as well as to contribute to the acquisition of vocabulary as a method of learning vocabulary. I look forward to seeing more research that will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in the future.;본 연구는 영화 자막의 활용이 한국어 학습자의 우연적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제 2언어 학습자들이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모든 어휘를 명시적으로 학습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교실 밖에서도 부수적으로 어휘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언어 교육에 있어서는 학습 동기가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학습의 성패를 좌우하기도 한다. 최근 스마트폰의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학습자들이 쉽게 영화나 드라마 또는 동영상을 보는 횟수는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자막을 활용한 영상 매체 감상 과정에서 우연적 어휘 습득이 이루어지는가를 보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의 한 대학교 언어교육원에서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초급 실력을 가진 다양한 국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최근 영상 매체를 활용한 교육은 토익에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학의 교양 영어 교육에서도 영화를 활용해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언어 영역 능력이 향상 되었는지 알아보는 연구를 많이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매체 중에서도 영화를 선정하여 자막을 제공한 집단과 무자막 두 집단으로 나누어서 실험을 하였다. 그리고 각 집단에게 똑같은 영화를 보여주되 자막과 무자막으로 제공하였고 영화 감상 후에는 사후 1차 어휘 평가지를 통한 평가를 실시하고, 그로부터 1주일 후에 사후 2차 어휘 평가지를 활용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자막 제공이 된 집단에게만 설문지 검사를 실시하여 자막의 활용이 어휘 학습에 도움이 되었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한 사후 1차 어휘 평가지의 결과로 우연적 어휘 학습의 단기 기억을, 사후 2차 어휘 평가지를 통하여서는 장기 기억 효과를 알아보았다. 실험대상자가 총 24명으로 정규분포를 가정하기 어려워 모수통계를 이용하기에 한계가 있으므로 비모수 통계 중에서도 맨-휘트니 U 검정을 통해 실험 자료를 분석 하였다. 또한 품사별 성적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를 보았고, 사후 1차 성적과 사후 2차 성적을 비교하기 위해 Wilcoxon 대응 부호 순위검정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우연적 어휘 습득에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집단의 점수가 통제집단의 점수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왔다. 따라서 영화 자막의 활용이 우연적 어휘 습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명사와 부사 그리고 동사에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의 성적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왔다. 하지만 형용사에서는 실험 집단과 통제집단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어휘 평가지의 품사에서 형용사는 두 단어 밖에 포함 되어 있지 않아 수가 적었기 때문에 두 집단의 결과로 판단하기는 어렵다고 볼 수 있겠다. 둘째, 영화 자막이 학습자에게 우연적인 어휘 학습의 장기 기억에 유의미한 영향은 미치지 못했다. 전체적으로 실험집단의 평균이 높게 나왔으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각 품사별로 보면 명사, 동사, 형용사 모두 실험집단의 평균과 평균 순위가 통제집단의 평균과 평균 순위보다 높게 나왔으나 부사를 제외하고는 유의적 차이가 아니었다. 영화 자막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인 효과가 있지만 통계적으로는 부사에서만 나타났다. 셋째, 자막을 활용한 영화 학습 수업은 학습 동기와 어휘 습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지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영화 자막이 어휘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질문에 매우 그렇다가 58.3%로 나왔고 영화의 자막 제공으로 편안하게 보았다는 대답이 66.7%이였다. 또한 앞으로 영화 자막 활용 계획은 50%가 자막을 활용해서 볼 것이라고 응답을 하였다. 따라서 자막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들에게 부담을 느끼지 않게 영화 감상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더불어 듣기 능력 향상, 대화체 습득, 어휘력 향상에도 많은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 동안의 영화를 활용한 많은 연구들이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듣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실험으로 이루어진데 반해 자막을 제공하여 감상하는 동안 우연적 어휘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이 있다. 실험으로 자막이 학습자들에게 어휘 습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질적으로 분석하였고, 자막을 제공하면 초급 학습자들도 편안하게 감상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한국어 교육 현장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어 학습자에게 학습 동기를 부여하고 교사에게도 효과적인 어휘 학습에 대해 연구하고 학습하는데 이바지하기를 바란다. 더 나아가 본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한 연구들이 더 많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용어 정리 4 1. 어휘력과 평가 4 2. 우연적 어휘 습득 9 3. 자막 10 C. 논문의 구성 11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12 A. 이론적 배경 12 1. 어휘 습득과 학습 방법 12 2. 영화 자료의 특징 15 가. 영화 활용의 장점 17 나. 영화 활용의 단점 20 B. 선행연구 고찰 22 1. 읽기를 통한 우연적 어휘 학습 연구 22 2. 영화를 활용한 어휘 교육과 자막 26 C. 연구 문제 및 연구 가설 31 Ⅲ. 연구방법 33 A. 연구 설계 33 B. 연구 대상 35 C. 영화 선정 38 D. 연구 도구 43 1. 어휘 평가지 제작 43 2. 영화 편집 45 3. 설문지 작성 45 E. 연구 절차 46 1. 예비 실험 47 2. 1차 본 실험 48 3. 2차 본 실험 48 F. 자료 분석 방법 49 1. 채점 49 2. 자료 분석 통계 처리 50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51 A. 사전 동질성 검사 51 B. 자막의 유무가 학습자의 우연적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 52 1. 사후 1차 처치의 효과 검증 52 2. 실험집단 품사별 성적의 기술 통계 54 3. 실험집단 품사간의 상관관계 55 C. 자막이 어휘 장기적 기억에 미치는 영향 56 1. 사후 2차 시험의 결과 검증 56 2. 사후 1차와 2차 시험 점수간의 차이 분석 58 D. 설문지 분석 60 Ⅴ. 결론 62 A. 결론 및 시사점 62 B. 연구 제한점 및 제언 65 참고문헌 67 부록 75 <부록 1> 영화 대본 75 <부록 2> 어휘 평가지 80 <부록 3> 설문지 88 <부록 4> 실험참여 동의서 89 ABSTRACT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479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영화 자막이 한국어 학습자의 우연적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Korean Film Captions on Incidental Vocabulary Acquisition by Korean Language Learners-
dc.format.pagex, 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