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9 Download: 0

중학생의 가족스포츠 활동 실천이 건강증진 생활양식 및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중학생의 가족스포츠 활동 실천이 건강증진 생활양식 및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Differences between Daily Health Practices and Family Health according to Family Activity in Teens
Authors
유지혜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경옥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daily health practices and family health according to family activity in teens. Subjects consisted of 450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Seoul area. Family activity was the independent variable for this test. Subjects that engaged in family physical activity more than once a week a were labeled as the "regular activity" group, while families that were active less than one time a week were labeled as the "no activity group." Dependent variables were daily health practices and family health. Daily health practices consisted of self realization, exercise & health management, nutrition management, personal relationships and stress. Family health included both internal and external elements. Internal elements were mutual respect, thankfulness and love, family role fulfillment. External elements were economic stability and social relations. A questionnaire was used to evaluate daily health practices and family health. Subject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family physical activity. Subjects that engaged in family physical activity more than once a week a were labelled as the "regular activity" group, while families that were active less than one time a week were labeled as the "no activity group." The SPSS was used to perform a variety of statistical analysi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daily health practices and family health according to family sports practice in teens. This analysis included the t-test, x²test, one-way ANOVA, and bonferroni test for post hoc. Daily health practices and family health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family physical activity. Daily health practices consisted of self awareness, exercise & health management, nutrition management, personal relationships and stress, Family health included both internal and external elements. Internal elements included mutual respect, thankfulness and love, family role fulfillment. External elements included economic stability, social relations.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daily health practices and family health were greater in the regular activity group than the no activity group. 1.Family physical activity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daily health practices and family health than the non-active group. 2.Male and 1st year stud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family physical activity. 3.In the category of daily health practices, male students had significantly more exercise health management, and nutritional management. 4.In the family physical activity group, regularly active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daily health practices and family health than the occasionally active group. This study revealed the extent of the positive effects of regular family physical activity. Despite this, there are few programs in the school or the community to promote family physical activity. Both school and community should focus on creating opportunities for activity for the entire family instead of developing programs that might appeal to some segments of the family and not others.;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가족스포츠 활동 실천이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3개 중학교(강남 소재 S 여중, 강북 소재 S 중학교, C 중학교) 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1, 2, 3학년 학생 5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540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10부를 제외한 530부(남학생 266명, 여학생 264명)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건강증진 생활양식을 알아보기 위해 정진성(2011)이 활용한 Walker, sechpender(1987)가 개발한 HPLP(Health Promoting Life style Profile)질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가족건강성을 측정하기 위해 유영주(2004)가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검사지 문항의 일관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문항내적일관성 신뢰도 분석을 통하여 Cronbach ⍺ 값을 산출하였고, 또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절차는 설문지를 연구대상에게 배포한 다음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mist ration)으로 설문내용에 응답하도록 하였고, 완성된 설문지의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1%, 5%의 통계적 유의확률에서 분석하였다. 가족스포츠 활동 실천유무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가족건강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고, 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배경변인(성별, 학년, 지역)과 가족스포츠 활동 실천유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카이스케어 검정(x²)을 실시하였고, 배경변인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가족건강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와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가족스포츠 활동 실천 집단의 참여형태(정기적/일시적)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가족건강성의 차이, 실천 집단 중 가족스포츠 활동을‘정기적’으로 실천하는 학생의 참여정도(참여기간, 주당 참여빈도, 1회 참여시간)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가족건강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과 bonferroni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가족스포츠 활동을 실천하는 집단이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하위요인인 자아실현, 운동 및 건강관리, 영양관리, 대인관계와 스트레스 등 4가지 요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가족건강성에서도 가족스포츠 활동을 실천한 집단이 2가지 하위요인인 가족구성원 내적요인(가족원존중, 감사∙애정, 역할충실)과 가족구성원 외적요인(경제적 안정, 사회와의 유대)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가족스포츠 활동을 더 많이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은 2학년, 1학년, 3학년 순으로 가족스포츠 활동을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에 따라서는 강북 지역의 학생이 강남 지역의 학생보다 더 많이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남학생이 여학생 집단보다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하위요인인 운동 및 건강관리, 영양관리 2가지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가족건강성은 가족구성원 내적요인(가족원 존중, 감사∙애정, 긍정적인 의사소통, 역할충실)은 남녀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가족구성원 외적요인(사회와의 유대, 경제적 안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학년은 1학년이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4가지 하위요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족건강성 또한 1학년 학생이 가족구성원 내적요인과 가족구성원 외적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역에 따른 차이를 보면, 가족스포츠 활동을 실천하는 강북 지역의 학생이 강남 지역의 학생보다 건강증진 생활양식 전체와 하위요인 운동 및 건강관리, 영양관리 2가지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가족스포츠 활동을 실천하는 강남 지역의 학생이 강북 지역의 학생보다 가족건강성 외적요인(사회와의유대, 경제적 안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기적으로 가족스포츠 활동 실천 집단의 평균이 일시적으로 실천하는 집단과 가족스포츠 활동을 전혀 실천하지 않는 집단 평균보다 건강증진 생활양식 하위요인 4가지와 가족건강성의 하위요인 2가지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스포츠 활동의 실천이, 또한 일시적 실천보다 정기적 실천이 건강을 증진시키는 생활양식을 형성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가족의 건강성의 회복 및 개선에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정기적 실천 집단은 가족스포츠를 매주 1회 이상 규칙적으로 실천하는 집단을 말하고, 일시적 실천 집단은 규칙성이 없이 가족스포츠를 충동적으로 실천하는 집단을 말한다.) 다섯째, 참여기간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은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가족건강성은 참여기간이 오래될수록 가족구성원 내적요인인 가족원 존중, 감사∙애정, 긍정적 의사소통, 역할충실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주당 참여빈도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은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가족건강성 또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1회 참여시간에 따른 건강증진 생활양식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가족건강성은 1회 참여시간이 길수록 가족구성원 내적요인과 외적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건강증진 생활양식 전체 및 하위요인 4가지와 가족건강성 전체 및 하위요인 2가지가 서로 요인 간에 긴밀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가족스포츠 활동을 정기적으로 실천하는 것이 중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및 가족건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증진 생활양식은 남학생이, 1학년이, 강북지역 학생들이 높았으며, 가족건강성은 남학생이, 1학년이, 강남지역 학생들이 높았다. 또한, 가족스포츠 활동의 참여기간과 1회 참여시간이 높을수록 가족건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가족과 함께 스포츠 활동 및 여가 생활을 실천하는 것이 중학생 개인의 건강을 증진시켜주는 생활양식의 형성에 기여를 하는 것은 물론, 그 청소년 가족의 내부적으로나 외부적으로 가족구성원의 가족건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많은 선행연구들을 뒷받침 하고 있다. 한편, 가족스포츠 활동을 정기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스포츠 종목을 조사한 결과, 배드민턴, 조깅, 농구, 축구, 수영, 헬스, 야구, 등산, 골프, 볼링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일시적인 불규칙적으로 실천하는 스포츠 형태를 알아본 결과, 계절 스포츠의 스키 종목을 가장 많이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1년 혹은 한 달에 한 번 열리는 가족 등반대회나 걷기대회 등 가족 운동 대회와 야외 스포츠(캠핑, 야영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족스포츠 활동을 실천하지 않는 중학생들에게 그 이유를 물어본 결과, 시간이 없어서, 가족이 서로 너무 바빠서의 이유가 가장 컸고, 그 다음으로는 귀찮아서, 운동이 싫어서, 가족 간 문제, 운동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 하고 싶은 운동이 없어서, 몸이 아파서 등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보다 많은 가족이 가족스포츠 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기존에 있는 스포츠 종목 단위의 프로그램을 뛰어넘어 사회 공공 체육 시설 및 민간 체육센터에 가족스포츠 활동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 및 보급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또한, 국가 차원에서 국민들에게 가족스포츠 활동을 장려하는 캠페인을 만들고 가족스포츠 활동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적극적으로 널리 홍보하여 가족들이 함께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여 가족구성원 모두가 건강성을 지지하기 위한 신체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가족스포츠 활동과 가족해체 위기의 극복 사례, 부모와 자녀와의 관계회복에 관한 연구, 여학생 대상 가족스포츠 현황 및 분석 등은 추후 연구과제로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