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승희-
dc.contributor.author박경희-
dc.creator박경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2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0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3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07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Dating Skills Program on the relationships and dating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were 20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special school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group of 10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at had participated in the Dating Skills Program was compared with the similar group of 10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had not. A pretest-posttest control-group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he program was carried out with 20 sessions, 2 times a week in a creative activity class within the school curriculum. The program consists of following sections: 1) friends of the opposite sex, 2) expressing a good feeling, 3) asking for a date, 4) appointing a date, 5) preparing for date, 6) starting date, 7) dating manners, 8) amusing conversation, 9) conflict and reconciliation, 10) appropriate physical contact. In this study, the Korean-Relationship Change Scale(K-RCS) were used to measure the students' relationships change. A dating skills evaluation scale for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was used to measure the students' dating skills. In order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Dating Skills Program, the relationships and dating skills of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were measured twic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difference in the scores of the students' between two groups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s t-test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Dating Skills Program showed significantly better relationships than the control group. This means that the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relationships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Dating Skills Program showed significantly better performance of dating skills than the control group. This means that the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dating skills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Dating Skills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relationships and dating skills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ontinuous efforts are required to establish an education program that improve dating skills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especially in inclusive high school.;지적장애 학생의 대인관계 능력은 성공적인 전환을 위한 필수 요소이며 성인기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구성 요소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체계적인 전환교육 속에 대인관계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이 반드시 들어가야 하는데, 원만한 대인관계 형성을 위해서는 동성뿐만 아니라 이성 간의 대인관계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특히 지적장애 학생의 경우 청소년기가 되면 이성에 대한 관심은 갖고 있으나 건강하고 친밀한 이성 관계를 맺는데 어려움을 보여 부적절한 행동이나 성문제 등을 나타내기도 한다. 따라서 지적장애 청소년에게는 기존의 사회성 기술 교수와 더불어 건강한 이성 관계를 위한 별도의 교육이 필요하며, 실제적인 데이트 기술을 구체적으로 가르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트 기술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대인관계 및 데이트 기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소재 S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고등학생 20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10명씩 나누어 구성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성별, 사회성 지수, 사전검사점수 등의 조건을 고려하여 1:1로 짝을 지어 배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데이트 기술 프로그램은 Mueser, Valenti-Hein과 Yamold(1987), Valenti-Hein, Yamold와 Mueser(1994), Ward 등(2013)의 연구 및 2011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보건 교과서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개발한 것으로 여러 친구들 중 이성 친구, 호감 표현, 데이트 신청, 데이트 약속, 데이트 준비, 데이트 시작, 데이트 매너, 즐거운 대화, 갈등과 화해, 적절한 스킨십의 10가지 주제를 선정하여 구성하였다. 데이트 기술 프로그램은 학교 교육과정 내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특수학교 교실에서 주 2회기씩 연계하여 총 20회기의 수업으로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기존 창의적 체험활동 수업인 동아리활동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대인관계 변화 및 데이트 기술을 측정하기 위하여 대인관계변화 척도(K-RCS) 및 데이트 기술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대인관계변화 척도(K-RCS)는 Schlein과 Cuerney(1971)의 Relationship Change Scale(RCS)을 문선모(1980)가 번안한 것을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데이트 기술 측정 도구는 Mueser, Valenti-Hein과 Yamold(1987), Valenti-Hein, Yamold와 Mueser(1994)의 데이트 기술 평가 항목을 참조하여 연구자가 고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두 집단 간의 사전 및 사후 점수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집단별 사전ㆍ사후 점수 차이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데이트 기술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대인관계 변화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학생들의 대인관계 변화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데이트 기술 프로그램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대인관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데이트 기술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데이트 기술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학생들의 데이트 기술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데이트 기술 프로그램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데이트 기술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데이트 기술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대인관계 및 데이트 기술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데이트 기술 프로그램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발하여 실제적인 데이트 기술을 교수한 첫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본 연구가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데이트 기술 프로그램을 학교 내에서만 실시하고 평가하였다는 제한점을 고려할 때,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지적장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시설을 이용하여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여러 가지 데이트 기술을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평가도구에 대한 개발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3 C. 용어의 정의 3 Ⅱ. 이론적 배경 5 A. 지적장애 학생의 대인관계 5 1. 지적장애 학생의 사회성 기술과 대인관계 5 2. 지적장애 학생의 사회성 기술 교수 7 B. 지적장애 청소년을 위한 데이트 기술의 필요성 9 C. 지적장애 청소년을 위한 데이트 기술 프로그램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13 1. 국내 데이트 기술 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 고찰 13 2. 국외 데이트 기술 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 고찰 18 Ⅲ. 연구방법 23 A. 연구 참여자 23 B. 실험기간 및 장소 24 C. 독립변인 : 데이트 기술 프로그램 25 1. 데이트 기술 프로그램의 개발 절차 25 2. 데이트 기술 프로그램의 내용 28 3. 데이트 기술 프로그램의 수업 형식 및 교수 전략 31 D. 종속변인 34 1. 대인관계 변화 측정 34 2. 데이트 기술 측정 35 E. 실험설계 및 절차 39 F. 자료처리 41 G. 중재충실도 41 H. 관찰자 훈련 및 신뢰도 42 I. 사회적 타당도 42 Ⅳ. 연구결과 45 A. 데이트 기술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대인관계에 미친 영향 45 B. 데이트 기술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데이트 기술에 미친 영향 47 Ⅴ. 논의 및 제언 50 A. 논의 50 B. 연구의 의의 59 C. 연구의 제한점 60 D.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61 참고문헌 62 부록 71 ABSTRACT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765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데이트 기술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대인관계 및 데이트 기술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a Dating Skills Program on the Relationships and Dating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c.creator.othernamePark, Kyung Hee-
dc.format.pageviii,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