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숙환-
dc.contributor.author심재익-
dc.creator심재익-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2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4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3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410-
dc.description.abstractExcessive individualism and collective selfishness are rampant in contemporary society. The members of society act in such a way that they bring their individual benefits to a maximum rather than pursuing the public interest, and furthermore, the considerate attitude and concessive mind for others have withered away gradually. Such tendency has spread throughout society and manifested itself even among young students. Selfish proclivity becomes more conspicuous as the students are in higher grades. Now, it is time that we should move beyond individualistic and selfish inclinations and cultivate pro-social attitudes, such as altruistic proclivity, sharing, consideration, and concessive mind. To foster such attitudes, empathetic abilities need to be strengthened. If we can improve the empathetic abilities of students, it is expected that we can reduce school violence and individualistic inclinations which result from selfishness. Empathy represents the key variable leading to pro-social behavior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has been found to play a positive role in various realms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addition, the preceding studies found that empathy would be a variable suppressing conformity to collective shunning within schools and maladjustment to school life among students. Empathy comes from caring about other people, and therefore contributes to the integration, harmony, and communicat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mpathy also improves self-esteem and a subjective sense of security, as well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mplying that empathy also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personal happiness. In this way, empathy has become a variable that draws attention from overall fields that deal with human psycholog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going beyond the realm of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therapy. Empathy is an essential ability that members of society should have to maintain the community and its security, not the ability given only to specific individuals or needed by such individuals. Therefore, the education of empathy should be provided universally at schools. However, there has been a lack of studies on the pedagogy that can help build up empathetic ability at the site of schools amidst the heightened importance of empathetic ability. Currently, the education of empathy is provided primarily through the subject of Korean and ethics class. Fine art enables visual representations of thoughts and ideas, and allows people to communicate with others through visual images and understand their own worlds. Such characteristics of fine art are associated with empathetic ability, and the subject of fine art is considered to be the subject suitable for helping improve empathetic ability. This study takes an approach based on the social necessity for teaching empathy in universal education. Its aim is to examine the effect a class applying the GI cooperation learning model, designed to improve empathetic ability in fine arts classes, would have on the empathetic ability of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at, we began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of empathy, cooperative learning, education of empathy in middle school fine arts classes, GI cooperation learning model and empathetic ability based on the literature study. On the basis of such literature study, we presented the 8-hour based fine arts pedagogic measures incorporating the GI cooperation learning mod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irst graders at H women's middle school located at Dongrae-gu, Busan Metropolitan City, who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 group comprised of 23 subjects and control group consisting of 22 subjects. For the experiment group, the teaching/learning guidance measure adopting the GI cooperation learning model,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was applied. For the control group, the traditional ‘assorted learning method’ was applied. Subsequently, both the pre-tests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by using the adult Interpersonal Reaction Index (IRI) of Davis which Kim Song-eun(1997) modified for application to middle school students, followed by the analysis that verified whether there was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tests betwee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This study derived the results with simultaneous analyses of the outcomes of expressive activities in the class and satisfaction with the class by focusing on the results of Interpersonal Reaction Index (IRI) as the post-test. The experiment group that took the fine arts class applying the GI cooperation learning model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empathetic abilities after the class, compared to the pre-class results(t=-3.99, p=0.0006). By contrast, the control group that took the fine arts class based on traditional teaching method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pre and post-class results(t=0.72, p=0.4814). The experiment group showed an improvement in empathetic ability in all sub-factor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both groups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empathetic ability was observed in the experiment group that took the fine arts class applying the GI cooperation learning model in relation to the perspective(standpoint) positioning or imagin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empath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volved in the class using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investigating the practical test outcomes of the two different groups, the experiment group that took the class applying the GI cooperation learning model received more excellent evaluations in the practical tes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most students were found to have interest in the class based on the results of investigations into the satisfaction with the class in the experiment group. The students who took the class applying the GI cooperation learning model showed favorable impressions and confidence towards collaborative learning and found it interesting to learn about empathy through the public advertising design exercise they did in class. Moreover, the respondents students answered that they had an improved empathetic behavior in their routine lives and that the class provided opportunity to become acquainted with friends. In conclusion, the fine arts class applying the GI cooperation learning model is conside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empathetic abilities among th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pre and post-tests of empathy, qualitative analysis of class outcomes, and investigation into the satisfaction with the experiment class.;현대 사회는 과도한 경쟁이 만연해 있고 그에 따른 부작용으로 사회 구성원들의 지나친 개인주의와 집단 이기주의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비단 어른들 사이에서뿐 아니라 청소년들 사이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사회구성원들 간의 유대감을 약화하고 궁극적으로는 사회의 분절화를 가지고 올 가능성을 야기한다.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은 중학교의 교육목표로 ‘다양한 소통능력을 기르고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과 태도를 갖춘다’고 제시하여 민주시민을 양성하는 것을 중요한 교육 목표로 두었다. 이러한 민주시민이 지녀야 할 자질과 태도를 함양하기 위해서는 사회에 만연한 이기주의에서 벗어나 다른 사람에 대한 이해, 나눔과 배려, 양보와 같은 친사회적인 태도를 키워야 한다. 그러한 태도를 가지기 위해서는 공감능력을 함양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 공감은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동기를 유발하는 중개자의 역할, 친사회적 행동의 결과 변인으로 설명되어 왔다(Hoffman, 1982; Eisenberg, 1986; 조한익 외, 2010: 141 재인용). 이뿐만 아니라 공감능력은 개인의 자기존중감과 주관적 안녕감을 향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허재홍 외, 2010), 이는 공감능력이 개인의 행복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공감능력의 함양은 개인적 차원뿐 아니라 사회적으로 필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교육적 차원의 접근도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현재 한국의 학교 현장에서 공감능력함양을 위한 수업방안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며 주로 국어과와 도덕과를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미술과목에서의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모영(2013)에 의하면 미술교과로 학습할 수 있는 지각능력은 공감능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타인에게 공감할 때, 우리는 상대방의 감정을 이해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사람의 표정 같은 감각적인 정보를 지각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또한, 능동적 탐색활동을 하면서 보는 것이 중요한데 이와 같은 능동적 탐색활동으로서의 보기 훈련은 특히 미술 수업으로 효과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미술과는 학생들의 공감능력을 함양시키는데 적합한 교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중학교 1학년 학생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공감과 협동학습의 개념을 살펴보고 중학교 미술교육에서 공감능력, GI 협동학습 모형과 공감능력 간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총 8차시의 공익광고 포스터 디자인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였다. 연구 대상은 사전 공감능력 검사를 시행하여 동질성이 검증된 부산시 동래구 소재의 H 여자 중학교 1학년 두 학급으로 실험집단 23명, 통제집단 22명으로 구성하여 총 45명을 선정하였다. 데이비스(Davis, 1980)의 성인용 대인관계반응지수(Interpersonal Reaction Index : IRI)를 번안·수정한 김성은(1997)의 척도를 사전 및 사후 공감능력 검사도구로 사용하였다. 실험집단은 본 연구자가 작성한 GI 협동학습 모형이 적용된 미술수업을 시행하고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모둠학습을 적용한 미술수업을 시행하였다. 수업 종료 후 두 집단에 사후 공감능력 검사를 시행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공감능력검사 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공감능력검사의 자료 분석방법은 SPSS v. 18.0 program을 활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사전 및 사후 공감능력 검사의 분석 결과 이외에도 수업 중 시행된 표현활동의 결과물의 질적 분석, 실험집단의 수업 만족도 설문조사의 결과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을 진행한 실험집단은 공감능력검사의 사전 및 사후 결과, 공감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 되었다(t=-3.99, p=0.0006). 반면 전통적인 모둠학습을 적용한 미술수업을 진행한 통제집단은 사전에 비해 사후 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찾을 수 없었다(t=0.72, p=0.4814). 둘째, 사후 공감능력검사에서 집단 간 공감의 하위요인(관점성취하기, 상상하기, 개인적 고통, 공감적 관심)의 변화를 살펴보면, 관점 취하기는 실험집단의 수치가 통제집단에 비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1.97, p=0.0472). 공감적 관심의 경우, 실험집단의 수치가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0.90, p=0.3722). 개인적 고통은, 실험집단의 수치가 약간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1.12, p=0.2677). 상상하기의 경우, 실험집단의 수치가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1.89, p=0.0492). 따라서 사후 공감능력검사의 결과 실험집단의 공감능력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관점 취하기, 상상하기 부분의 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집단의 수업 표현활동 결과물의 질적 분석 결과,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의 수행평가 결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에 실시한 수업만족도 설문조사 결과에서 96%의 학습자가 수업에 흥미를 느꼈으며, 생활 속에서 공감하는 태도를 갖추겠다고 답변하였다(95%). 위의 결과를 통하여 볼 때 결론적으로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중학교 1학년 학생의 공감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미술 교과에서 다양한 학습 방법을 적용하여 학습자들의 공감능력을 향상하고자 하는 시도와 검증이 이뤄지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방법 2 Ⅱ. 이론적 배경 4 A. 공감능력의 이해 4 B. 협동학습 13 C. 중학교 미술 교육에서 공감능력과 GI 협동학습모형 22 Ⅲ. 연구방법 26 A. 연구대상 및 절차 26 B. 연구도구 29 C. 자료처리 54 Ⅳ. 연구결과 및 논의 55 A. 연구결과 55 B. 논의 63 Ⅴ. 결론 67 참고문헌 70 부록목차 74 ABSTRACT 1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49190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 수업이 학습자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 Art Programs Have on Empathetic Abilities Applied by GI Cooperation Learning Model : Centered on Middle school first Graders-
dc.creator.othernameSim, Jae Ig-
dc.format.pageix, 11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