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0 Download: 0

디자인 수업에서 스캠퍼 기법 적용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디자인 수업에서 스캠퍼 기법 적용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Applying the SCAMPER Method in Design Class on Creative Expression : Focused on the K Art High School
Authors
박민경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경
Abstract
21세기 지식기반사회의 핵심 역량은 창의성이다. 예술고등학교의 교육방향 역시 미래사회를 선도할 창의성이 풍부한 예술 인재를 양성하는 데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추구하는 인간상으로 자주인, 창의인, 문화인, 세계인을 제시하고 있다. 창의성은 예술분야에서 없어서는 안 될 능력이며 예술을 전공하는 사람에게 새로움을 창조할 수 있는 근원이다. 하지만 예술고등학교 학생들이 접근하기 어려워하는 것 중 하나가 창의적 표현력이다. 또래 학생들 보다 전공을 먼저 정하고 많은 연습과 노력의 결과 표현해 내는 능력이나 스킬은 매우 뛰어나지만 창의적으로 표현하기 혹은 새로운 방법으로 접근하기 등은 예술고등학교 학생들에게도 어렵기만 한 문제다. 이러한 학생들의 어려움을 극복하여 아이디어 발상 단계에서부터 보다 수월하고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교육방법의 변화를 고민해 보았고 본 연구자는 스캠퍼 기법을 활용하여 창의적 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자인 수업을 실시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고등학교 학생의 창의적 표현력 향상을 위해 디자인 수업에서 스캠퍼 기법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창의성과 창의적 표현력의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고, 다양한 창의적 사고기법의 개념 및 특징과 유형을 알아보았다. 스캠퍼 기법의 개념과 특징은 더 심도있게 다루었고, 예술고등학교의 교육과정과 디자인 수업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그리고 문헌 연구를 통하여 얻은 이론적 배경들과 연구 대상학교에 근무하면서 예술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특성과 필요성을 반영하여 스캠퍼 기법을 활용한 창의적 표현력 향상을 위한 연구를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K예술고등학교 1학년을 연구대상으로 두 학급 35명씩 총 70명을 선정하여 50분 수업에 총 8차시에 걸쳐 진행하였다. 70명은 각각 35명씩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동질성을 검증하였다. 실험집단은 스캠퍼 기법을 적용을 통한 타이포 일러스트레이션 수업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전통적 디자인 수업을 진행한 후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수업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두 집단의 창의적 표현력 측정 검사도구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기준 및 도구 개발 연구(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88)’와 용재현(2008), 윤성연(2013)의 연구에서 사용한 창의적 표현력 평가도구를 참고로 하여 본인이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재구성하였다. 두 집단의 창의적 표현력 평가를 위해 최종 결과물을 현직 고등학교 교사 1명, 현직 고등학교 미술 강사 1명과 본 연구자가 창의적 표현력 측정 검사도구 평가 기준표에 의거하여 채점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20.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주제표현에 대한 모든 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통제집단에 비해 주제표현의 창의적 표현력 요소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표현방법에 대한 모든 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통제집단에 비해 표현방법의 창의적 표현력 요소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조형요소와 원리에 대한 모든 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통제집단에 비해 조형요소와 원리의 창의적 표현력 요소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표현재료와 용구에 대한 모든 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통제집단에 비해 표현재료와 용구의 창의적 표현력 요소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스캠퍼 기법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은 예술고등학교 학생들의 창의적 표현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 교육 현장에서 스캠퍼 기법의 활용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자료로서 의의를 갖는다.;At the core of the 21st century knowledge-based society is creativity. The direction of education at art high schools is set to nurture young talent with rich creativity to lead the society in the future. The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in 2009 presents a person that is self-reliant, creative, cultured and globalized as the ideal goal to be pursued. Creativity is an essential part to be harnessed in the arts and is the source for making something new for those who major in the arts. But one of the things that art high school students find difficult to access is the ability for creative expression. They are better than their peers in deciding on their major at an earlier point in their lives and honing skills through practice and effort but creative expression remains a challenge to art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seeks ways to overcome such challenges through a change in education methods so that students can access creativity better from the conception of an idea to its expression. The researcher, using a SCAMPER method, sought to conduct a design course aimed at improving creative expression skill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SCAMPER method in design courses for the improvement of creative expression skills among art high school students. To that end,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and creative expressio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studied the concepts, traits and types of various creative thought methods. An in-depth look at the SCAMPER method, its concept and characteristics were carried out, and a theoretical review was done on the educational curricula of art high schools and design courses. Combin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an in-person observation , while working at the subject school , of first year art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needs, the study was designed to seek ways for improving creative expression by adopting the SCAMPER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first year students at K art high school, located in Seongnam City, Gyeonggi-do, Korea, as subjects. Two classes with 35 students each were selected, and eight sessions were conducted with each session lasting for 50 minutes. The 70 students were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to verify the homogeneity. The experimental group took a typo illustration course where the SCAMPER method was applied, while the control group took a more traditional design course. A survey was conducted after these courses to check the satisfaction with each course. The tool used to measure creative expression of the two groups is the tool revised and reconstruct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the assessment tool for creative expression skills used in the study by Yong Jae-Hyun(2008) and Yoon Seong-Yeon(2013), as well as the ‘assessment standards and tool development study based on the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1988). In order to assess creative expression skills of the two groups, the final results were graded in accordance with the creative expression skill measurement test tool table by the researcher, one high school teacher and one art lecturer at a high school. The collected data was then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0.2.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s who took the design course that applied the SCAMPER method received higher scores in all categories related to thematic expression, and therefore a higher evaluation of creative expression of them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students who took the design course that applied the SCAMPER method received higher scores in all categories related to expressive methods, and therefore a higher evaluation of creative expression of expression methods. Third, students who took the design course that applied the SCAMPER method received higher scores in all categories related to the principle of composition, and therefore a higher evaluation of creative expression of compositional components and principles. Fourth, students who took the design course that applied the SCAMPER method received higher scores in all categories related to expressive materials and tools, and therefore a higher evaluation of creative expression components and materials. In conclusion, design courses that apply the SCAMPER method had prov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the creative expression of art high school students. As such,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data to further expand the range of application for the SCAMPER method in design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