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4 Download: 0

박물관 및 현장 학습을 통한 한국화 지도 방안 연구

Title
박물관 및 현장 학습을 통한 한국화 지도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ing method of Korean painting in museum and field learning: centered on the appreciation and expression classes of Landscape painting
Authors
홍수정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숙영
Abstract
Understanding and learning about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should be the foundation of creating new values for the students who are living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To regain the formative consciousness as well a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national culture assigns the capacity to compete in the world and becomes the basis to create new art culture. Such traditional art culture should be taught to let the students experience a variety of feelings and to make them have the motivation and information of rich expressions so they can find the aesthetic values of art works, not following or passing down the tradition intactly. In addition, it should be taught to let the students express their inner world through drawing expression after appreciating art works. Such expression activities help the students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n art as becoming the procedure of re-interpretation to specify the appreciation process rather than the process of mere imitation. The education in museum is based on ‘the actual things’, which means art works.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is possible in the education in museum based on art works compared to the general education conducted in the classroom. It is because the education in musems can make more dynamic learning with the orientation toward the enacted pattern of learning through connecting the knowledge within the class and actual circumstance outside the class as leaving the limited space and learning method of classroom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developing and applying the appreciation and expression classes of Korean painting, especially landscape painting in which the value system and the view of nature is reflected, through field learning at museum. The site of study for the field learning at museum is limited to the National Folk Museum, since it is the place where the landscape paintings are exhibited and Inwangsan (Mt.) and Bugaksan (Mt.) is actually seen. It has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ability for appreciation and expression on landscape painting, fostering cultural identity and self-esteem, enjoying art culture to the ultimate, cultivating independent creativity on Korean art culture.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the concept, classification, feature, expressional technics of Korean painting is examined. The implications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through Korean painting and the contents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through Korean painting in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re also analyzed. And then, the concept and the feature of landscape painting,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dscape is explored. drawn by Gyeomjae Jeong Seon which is selected as the educational material of landscape painting is investigated. The educational contents on basic expression are organized with the theory called ‘Wa-yu’ and the reaction-centered learning method as the way of appreciating landscape painting. They are also organized with the theory called ‘Myo’ of ink-and-wash painting and the theory called ‘Joon’ of landscape painting as the educational contents on expression technics. For the effective expression teaching, the expression teaching method through ‘Im-hwa’ is devised.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e implications of art education through the concept of field learning, the understanding of field learning in art education, and the field learning at museum. The required part for study is extracted amo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above, and the teaching tool and evaluation tool for the appreciation and expression on landscape painting through field learning at museum is developed. The targets of this study are total 46 student in two classes of the fifth grader in an elementary school tested for the homogeneity in the understanding and learning level on the appreciation and expression on landscape painting. Two classe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and the courses were conducted during total 8 periods. The experimental group actually appreciated the art works of landscape painting and Inwangsan as going to field learning at museum in the second period that corresponds to the course for the appreciation and expression on landscape painting through field learning at museum. In contrast, the courses which utilized PPT materials and pictures prepared by the teachers like the conventional method were conducted on the control group. The evaluation on appreciation and practice was performed for both groups. After finishing the courses conducted during total 8 periods, the collected data was compared and analyzed by SPSS win 19.0 Program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bility for appreciation and expression as comparing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pplied the appreciation and expression classes of landscape painting through field learning at museum. And then, the implications offered by the classes were investigated as letting the students write their feelings about the classes on the self-assessment sheet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bove all,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the appreciation and expression classes of landscape painting through field learning at museum shows higher learning level on the sub-domains of the understanding area on appreciation and expression of landscape painting including ‘the interest degree on art’, ‘the preference degree on traditional culture’, ‘the capability of appreciation’, ‘the appreciation through museum and field learning’, ‘the capability of expression’, and ‘the understanding on landscape painting’. Secondly, all of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field learning at museum in the appreciation and expression classes of landscape painting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factors of the appreciation domain including ‘the adequacy in content configuration’, ‘the understanding degree in formative features’, ‘the understanding degree in expressional technics’, ‘the understanding degree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value of art works’. In the domain of ‘the understanding degree in expressional technics’, there are positive influences on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 analysis of this study, the positive influences on the control group in the sub-domain of the appreciation evaluation of ‘the understanding degree of expressional technics’ show that learning with visual materials in the classroom is found to be more effective on memory than learning with only explanations of teachers. There are also positive influences on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other sub-domains, generally in the appreciation domain. Thirdly,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field learning at museum in the appreciation and expression classes of landscape painting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sub-factors of practice domains including ‘the adequacy of content configuration’ about writing the activity sheet on , and ‘the subject expression’, ‘expression technics’, ‘the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the expression materials and tools’ about the output of practice, and ‘the adequacy of work description’ about the activity sheet on work description, and there are positive influences on the experimental group. Fourthly,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field learning at museum in the appreciation and expression classes of landscape painting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domains of attitude including ‘sincerity’ and ‘concentration’, and there are positive influences on the experimental group. Fifthly,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field learning at museum in the appreciation and expression classes of landscape painting receives higher scores in order of practice, appreciation, and attitude. It is found that there is huge effectiveness in practice ability with the following scores: 25% of the practice domain, 13% of the appreciation domain, 10% of the attitude domain. Sixthly, according to the self-assessment sheets in which the feelings after the classes were recorded,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field learning at museum in the appreciation and expression classes of landscape painting shows positive influence as showing the differences of view on the experience of appreci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uch as realizing the values and importance of traditional culture or sympathizing with the intention of the expression of the artists through the classes. To sum up, it is confirmed that the appreciation and expression classes of Landscape painting through field learning at museum causes the improvement on the understanding and learning level on appreciation and expression, the attitude ability, and the pride in traditional art culture and the enhancement of the understanding on artists. Learners usually feel difficulties in appreciating and expressing art works. The motivations and interests of learners should be strongly enhanced in order to increase the ability to utilize and enjoy art in daily life as cultivating creativity as well as making a variety of experiences through free self-expression activities which are the ultimate purpose of art. This study suggests the method that the integrated appreciation and expression of landscape painting is taught through field learning at museum as living the limited space and learning method of classroom to provide more dynamic learning opportunities to arouse the learners’ motivations and interest. In addition, this study has its implications that this study confirms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appreciation and expression classes of Landscape painting through field learning at museum on the improvement on the understanding and learning level on appreciation and expression and the attitude ability. Furthermore, in order to develop the attitude of creating independent Korean art culture and enjoying art, the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with providing the learners various experiences in the appreciation and expression classes so they can feel interest, self-esteem, satisfaction as well as have cultural identity and pride about the domain of appreciation and expression in art through the education on the traditional art culture.;21세기는 문화의 시대라 불리면서 과거 어느 시대보다 문화가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문화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높아지고 있고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바르게 인식하여 문화적 역량을 키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전통미술문화 교육에 대한 연구가 조명되며 활성화 되고 있는 것은 오랜 시간 변화되고 발전해온 우리민족의 정체성과 전통의 고유성에 바탕을 둔 독자적인 문화의 힘이 그 속에 담겨 있기 때문이다. 또한 초등학생들은 발달단계상 실물을 통한 학습, 현장 체험을 통한 학습일 때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현장 학습은 교실이라는 제한된 공간과 학습방법에서 벗어나 교실 안에서의 지식과 교실 밖의 실제 상활을 연결함으로써 이론과 실천의 괴리 현상을 감소시킨다. 또한 행동화된 유형의 학습을 지향함으로써, 좀 더 생동감 있고 학습자들의 동기와 흥미를 유발하는 학습이 이루질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다양한 전통문화의 산물들이 전시되어 있는 박물관은 ‘실물’ 작품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품 감상에 있어 효과적인 장소가 될 수 있다. 최근의 박물관은 그 개념과 역할이 커지면서 지역사회를 활용한 현장 학습을 통해 그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따라서 박물관 및 지역사회의 다양한 인프라를 활용한다면 폭넓은 현장 학습이 가능해진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전통미술교육을 위해 전통미술교육에 있어서 큰 비중을 차지해온 한국화, 그 중에서도 동양과 한국의 자연관과 가치관이 반영된 산수화를 박물관 및 박물관을 둘러싼 지역사회를 활용한 현장 학습을 통해 감상하고 표현하는 수업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박물관 및 현장 학습을 위한 연구 장소는 국립민속박물관으로 한정하였다. 국립민속박물관은 산수화를 소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산수화의 소재가 되어온 인왕산과 북악산이 인접해있기 때문이다. 연구목적은 박물관 및 현장 학습을 통해 산수화에 대한 감상 및 표현 능력을 신장하고, 문화적 정체성과 자부심을 갖게 하여, 궁극적으로는 미술문화를 향유하며, 주체적인 한국 미술 문화 창조력을 길러주기 위한 지도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는 한국화를 통한 전통미술교육을 이해하기 위해 한국화의 개념․분류․특징․표현방법을 살펴보고, 한국화를 통한 전통미술교육의 의의와 초등미술교과서에서 한국화를 통한 전통미술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산수화를 이해하기 위해 산수화의 개념․특징․변천과정을 살펴본 후, 실제 인왕산과 비교하여 감상할 수 있는 겸재 정선의 <인왕제색도>와 국립민속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산수도>, 인왕산을 표현한 현대 산수화를 산수화 지도 작품으로 선정하여 살펴보았다. 산수화 감상법으로는 ‘와유적 감상법’, ‘반응 중심 감상 학습법’을, 산수화 표현방법으로는 ‘묘법’과 ‘준법’ 내용을 기초하여 기초 표현 지도 내용을 정리하였다. 효과적인 표현 지도를 위해 ‘임모(臨模)를 통한 표현 지도법’을 구안하였다. 또한 박물관 및 현장 학습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박물관 및 현장 학습을 통한 미술교육의 의미와 박물관 및 현장 학습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위와 같은 이론적 배경에서 학습에 필요한 부분을 추출함으로써, 실제 학교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박물관 및 현장 학습을 통한 산수화 감상 및 표현의 수업도구와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은 산수화의 감상 및 표현의 이해와 학습수준의 항목으로 동질성이 검증된 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 총 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각 2개의 학급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총 8차시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은 2차시에 실제로 국립민속박물관을 현장 답사하여 산수화 작품과 인왕산을 감상하였고, 통제집단은 기존의 방식과 같이 교수자가 준비한 PPT 자료와 사진 등을 활용하여 수업을 실시한 후, 두 집단 모두 감상․실기․태도영역을 평가하고, 사전․사후 검사지를 통해 산수화 감상 및 표현의 이해와 학습수준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자기평가지에 수업을 통해 느낀 점을 적게 하여 수업이 주는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총 8차시에 걸쳐 진행된 수업이 끝난 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9.0 Program을 사용하여 박물관 및 현장 학습을 통한 산수화 감상 및 표현 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비교하여 어떤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박물관 및 현장 학습을 통한 산수화 감상 및 표현 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산수화의 감상 및 표현의 이해 영역의 하위요소인 ‘미술 흥미도’, ‘전통문화선호도’, ‘감상능력’, ‘박물관 및 현장 학습을 통한 감상’, ‘표현능력’, ‘산수화의 이해’에 대한 영역과 학습수준의 영역에서 통제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은 감상영역의 하위요소인 ‘내용구성의 적절성’, ‘조형성 특징 이해도’, ‘표현기법 이해도’, ‘작품의 시대적 배경 및 가치 이해도’에 대한 영역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표현기법의 이해도’에서는 통제집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표현기법의 이해도를 평가하는 기준은 수묵화와 산수화의 표현기법을 파악하였는지 알아보는 것으로 인지적인 영역에 속하는 학습내용이다. 연구 분석 결과 인지적인 부분의 학습내용은 현장학습을 통해 교수자의 설명으로 지도하는 것보다 교실에서 시각자료로 학습하는 것이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았다. 이것은 효과적인 현장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현장에서도 집중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와 그에 따른 교수-학습안도 함께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그 외 감상영역의 하위요소에는 모두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전체적인 감상능력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실기영역의 하위요소인 <인왕산>활동지 작성에 대한 ‘내용구성의 적절성’, 실기 결과물에 대한 ‘주제표현’, ‘표현방법 ’, ‘조형요소와 원리’, ‘표현재료와 용구’, 작품 설명 활동지에 대한 ‘작품 설명의 적절성’의 모든 영역에서 높게 나타나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실험집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태도영역의 ‘성실도’, ‘집중도’의 모든 영역에서 높게 나타나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실험집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박물관 및 현장 학습을 통한 산수화 감상 및 표현 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실기, 감상, 태도 순으로 실험집단에 비해 높은 점수를 받았다. 실기 영역은 25%, 감상영역은 13%, 태도 영역은 10%로 나타나서 실기능력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자기평가지에 작성한 수업을 통해 느낀 점에서 통제집단은 산수화의 감상 및 표현의 이해와 수업의 흥미도를 중심으로 언급한 반면 실험집단은 여기에 더하여 전통문화의 가치와 소중함을 느끼고, 작가의 표현의도에 대해 공감하는 등 전통미술문화에 대한 자부심과 작가, 작품의 이해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박물관 및 현장 학습을 적용한 산수화 감상 및 표현 수업은 감상 및 표현의 이해와 학습수준, 감상․표현․태도 능력의 향상뿐만 아니라, 작품에 심도 있게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습자는 미술작품을 감상하고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미술의 궁극적인 목적은 자유로운 자기표현 활동을 통하여 창의성을 계발함은 물론 다양한 경험을 함으로써 미술을 생활에 활용하고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학습자들의 강한 동기 유발과 흥미를 높여야 한다. 본 연구는 교실이라는 제한된 공간과 학습방법에서 벗어나 좀 더 생동감 있고 학습자들의 동기와 흥미를 유발하는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박물관 및 현장 학습을 통해 산수화 감상과 표현이 통합적으로 지도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박물관 및 현장 학습을 통한 산수화 감상 및 표현 수업이 산수화 감상 및 표현의 이해와 학습수준, 감상․표현․태도 능력, 작품의 심도 있는 이해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고, 박물관 및 현장 학습 지도방안에 대한 교육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교육적 의의를 갖는다. 앞으로도 감상 및 표현 수업에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학습자들이 미술과 감상 및 표현 영역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만족감을 느끼고 전통미술교육을 통해 문화적 정체성과 자부심을 갖게 하여, 주체적인 한국 미술 문화를 창조하고 미술을 향유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