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차영순-
dc.contributor.author서다솜-
dc.creator서다솜-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8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901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2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90112-
dc.description.abstract모든 수업의 주체는 교사와 학생이며 이들의 자발적인 교수-학습을 위한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목표의 달성과 수업의 질을 결정짓게 된다. 특히 미술 교과의 특성상 실기와 이론을 겸할 수 있는 유연한 학습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중요하므로 미술과의 교수-학습은 미술 학습에 적합한 환경이 갖춰진 특별교실 즉, 미술실에서 이뤄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미술과 학습환경에 관련된 연구(김혜숙⋅이성도, 2003, 이승곤, 1995)에 의하면 미술실이 마련되어 있지 않거나 마련되어 있더라도 대부분 학교는 시설 및 설비가 미흡하고 학교마다 수준 편차가 심할뿐더러 이마저 적절히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 이를 판단할 수 있는 우수한 미술과 학습환경에 대한 기준 또는 미술과 학습환경을 평가할 명확한 체계를 가지고 있지 못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을 미술과 학습의 기존 환경에 대해 좀 더 체계적으로 평가 및 검토하고 앞으로의 바람직한 고등학교 미술과 학습환경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두었다. 연구의 방법은 먼저, 기존의 미술과 학습환경을 평가하기 위해서 체계적인 평가 기준이 필요하므로 2012년 김창민의 연구「학교 학습환경 평가목록표 개발: 고등학교 학습환경 평가모형을 위한 기초연구」에서 개발한 ‘학교 학습환경 평가목록표’의 큰 틀인 문항체계를 바탕으로 미술 교과의 실정에 맞는 내용으로 수정·보완하여 본 연구의 평가도구인 ‘미술과 학습환경 평가목록표’를 구성하였다. ‘미술과 학습환경 평가목록표’는 총 3차례(먼저, 미술교육 전공교수와 조형예술전공교수 각 1인, 다음, 미술교육전공교수 2인과 10년 이상 경력의 고등학교 현직교사 1인, 마지막으로 10년 이상 경력의 현직 고등학교 교사 4인)에 걸쳐 미술교육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문항 타당도 및 실제 평가 가능성에 대해 검토를 받았다. 연구대상의 범위는 서울특별시 중랑구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 총 6개를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대상인 6개의 고등학교의 현직 미술교사 6인이 미술과 학습환경을 직접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는 미술과 학습환경 평가목록의 체계에 맞춰 평가요소별 결과와 문항별 결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평가도구의 문항구성은 크게 ‘미술실 투입요소’와 ‘미술 교과 과정요소’로 나누었다. 하위항목은 투입요소가 5가지, 과정요소가 3가지로 나뉘고 이때 과정요소에서 인적자원 항목은 다시 ‘교사의 재량권’과 ‘수업실행 전문성’으로, 우수한 운영시스템 항목은 ‘교수-학습 지원을 위한 행정 운영’, ‘교육경쟁력 강화를 위한 혁신성’으로 하위 항목을 구성하였다. 그 결과 투입요소 5가지, 과정요소 5가지 총 10가지의 평가요소로 항목을 구성하였다. 평가요소별로 살펴본 문항 수는 투입요소로서의 성격이 강한 ‘물리적 환경’ 16문항, ‘사회⋅심리적 환경’ 5문항, ‘정보기술(IT) 환경’ 4문항과 과정요소로서의 성격이 강한 ‘학습자 중심교육’ 3문항, ‘인적자원’ 7문항, ‘우수한 운영시스템’ 6문항이다. 총 문항의 개수는 43개이며 연구 분석결과 가장 두드러진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투입요소에서 물리적 환경, 그중에서도 개인별 교수-학습 공간 및 기자재의 미흡함(평가대상 전체의 41.75%만이 충분하다고 응답)이다. 이 결과는 미술실 공간이 개인의 미술 활동 영역과 이동 거리를 고려해 구성되지 않았고 특히 수업에 필요한 교구 및 작품을 사용하거나 보관하는 데 있어서 인체공학적 시설 및 설비를 갖추지 못하였음을 뜻한다. 둘째, 과정요소에서 가장 미흡한 평가요소는 우수한 운영시스템, 그중에서도 교수-학습지원을 위한 행정운영(평가대상 전체의 37.50%만이 운영하고 있다고 응답)의 미흡함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미술교사의 행정업무 부담이 곧 교수-학습 비효율화를 가져와 미술과 교수-학습의 질 향상이 어렵다는 것을 뜻한다. 특히 교수-학습을 위한 재정적 지원에 관한 문항에서는 어떤 연구 대상학교에서도 재정적 지원을 받고 있지 않다는 공통적인 문제점이 드러났으며 그 밖에도 평가결과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연구결과 드러난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방안의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미술과 학습환경의 현재를 정확히 분석하고 시대적 흐름에 따른 개선방안을 함께 모색해야 한다. 모든 학습환경의 요소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우리가 상상할 수 없었던 학습의 영역으로 확장되기도 하고 과거의 환경을 더는 사용하지 않게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현재 사회와 문화가 나아가려는 방향과 내용을 잘 이해하고 그에 맞는 학습환경이 갖춰져야 한다. 연구결과 두드러진 투입요소의 미흡함과 과정요소의 미흡함이 시대적, 문화적 흐름에서 개선되어야 만이 현실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학습자 개인의 특성에 맞추어 개별화의 맥락에서 미술과 학습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현재의 교육과정과 미술 교과의 교육 목표를 보면 학생의 개별 특성을 고려한 교육이 최대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과정과 교육 목표를 설정하고 있으며 개인의 요구와 개성을 충족시키는 개별화된 수업을 통해 개인의 개성과 독창성을 학습하는 것이 중요하다. 눈에 보이는 물리적 환경, 학습 목표, 학생의 신체적 조건 외에도 학생의 성격, 감성, 노력, 의지 등 눈에 보이지 않는 개인의 정서적 변인까지 고려하여 수업을 계획하고 다양한 분야의 학습환경을 개선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교사는 조력자로서, 학생은 주체자로서 함께 미술과 학습의 목표를 계획하고 달성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셋째, 미술과 학습환경의 문제점으로 드러난 여러 가지 개별요소는 종합적으로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문제점으로 드러난 요소는 바로 그 개별 요소에만 해당하는 문제로 보이지만 사실상 개별적으로는 해결될 수 없음을 알아야 한다. 미술과 학습환경을 평가하는 모든 요소는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기에 교사와 학생을 중심으로 학부모, 학교, 지역사회, 시⋅도⋅교육청, 국가 차원 모두가 협력하여 조직적으로 개선하고 현장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Principal agents in every class are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and their voluntary interaction for teaching-learning determines fulfillment of the objectives of a lesson as well as the quality thereof. Given the nature of arts education, in particular, it is imperative to provide a flexible learning environment in which both practical work and theory education can take place. Therefore teaching-learning of arts education should be done in a special classroom, i.e. the art room equipped with an adequate environment for arts education.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pertaining to the learning environment of arts education (Kim, Hye-suk & Lee, Seong-do, 2003; Lee, Seung-gon, 1995), however, a majority of schools do not have art rooms or if any, its installation and facilities are insufficient in most of the cases. There is a huge gap in terms of the level of such facilities among schools, and they are not being appropriately utilized either. In addition, schools do not have clear standards or evaluation systems to assess the learning environment of arts education.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and evaluate the existing arts education environment in a systematic manner and seek for measures to improve the environment in the future. To examine the existing environment of arts education, I adopted the School Learning Environment Assessment Checklist for an assessment tool, which was developed by Kim, Chang-min in his study,「School Learning Environment Assessment Checklist Development: a basic research for learning environment evaluation models of high schools」in 2012. Based on its question system, which is a big framework of the checklist, I composed the Learning Environment Assessment Checklist for Arts Education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original checklist to suit to arts education. This Learning Environment Assessment Checklist for Arts Education was reviewed for the validity of questions and feasibility for assessment by an arts education expert group in three rounds (the first round by a professor in arts education and another in formative arts, respectively; the second round by two professors in arts education and an incumbent high school teacher with more than ten years of experience; and the last round by four incumbent high school teachers with over ten years of experience). The scope of research objects covers six general high schools located in Jungnang-gu, Seoul. Six incumbent arts teachers in these schools participated in evaluating the arts education environment. The assessment result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 results by assessment element and results by question - for analysis, based on the system of the Learning Environment Assessment Checklist for Arts Education. The questions included in the assessment tool are largely divided into "input elements of the art room" and "curriculum elements of arts education." The input elements are subdivided into five elements and the curriculum elements, three. Among the curriculum elements, the human resources item is once again segmented into "teacher's discretion" and "lesson implemen tation expertise" and the qualified operation system item, "administrative management to support teaching - learning" and "innovation for educational competitiveness." As a result, the assessment tool has a total of ten assess ment elements: five input elements and five curriculum elements. As for the number of questions for each assessment element, there are 16 questions related to the "physical environment"; 5 questions, the "socio - psycho logical environment"; and 4 questions, the "IT environment" in the input elements. As for the curriculum elements, there are 3 questions pertaining to "learner oriented education"; 7 questions, "human resources"; and 6 questions, the "qualified operation system." There are 43 questions in total. The analysis results highlighted the following problems: Firstly, among the input elements, the physical environment, in particular, individual teaching-learning space and supplies are insufficient (only 41.75% of the entire evaluation subjects replied that it is sufficient). This shows the art room space was not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personal space required for arts activities and movement distance. In addition, the art room is not equipped with ergonomic installation and facilities required for using or storing arts supplies and student work. Secondly, in the curriculum elements, the qualified operation system, in particular, administrative management to support teaching-learning turned out to be lacking the most (only 37.50% of the entire evaluation subjects replied that they are conducting the administrative management). This implies that the burden caused by administrative duties on arts teachers brings about inefficiency in the teaching- learning process, undermining the quality thereof. The question pertaining to financial support for teaching-learning revealed that none of the schools covered by this research is provided with financial support. This study also identified several other problems as well. In conclusion, based on the problems revealed by the research I drew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 measures to improve the aforementioned challenges. First, the current status of arts education and the associated learning environment should be duly analyzed to come up with improvement measures meeting the demands of the time. Every element constituting the learning environment can be expanded to an unimaginable realm or be disposed of. Therefore it is crucial to underst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current society and culture is heading as well as its content and to create a learning environment befitting the change. The inadequacy in terms of the input and curriculum elements identified in the study should be resolved in the context of the time and culture in order to have a real effect. Second, the learning environment of arts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in the context of individualization tailor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learners. The objectives of the current arts education programs and curriculum are set to encourage taking account of individual features of students in education and boost students' personality and creativity by the means of personalized lessons which satisfy students' individual personality and needs.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lessons should be enhanced in consideration of invisible emotional factors such as the student's personality, emotion, effort, and willingness as well as visible physical environment, lesson objectives, and the student's physical conditions. The teacher as a helper and the student as a main agent should participate in this process to plan and achieve the objectives of arts education. Third, with regard to the identified problems in the current arts education and the associated learning environment, comprehensive solutions should be sought after. Each element appears to exit separately but it is not resolved individually. All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arts education environment are closed related to affect one another. Therefore parents, schools, local communities, municipal/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the government along with teachers and students should make a concerted effort to improve the learning environment of arts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의 방법 2 Ⅱ. 이론적 배경 4 A. 학교 학습환경 4 1. 학습환경의 정의 4 2. 학습환경의 평가 6 B. 미술교과 학습환경 9 1. 미술교과의 목표와 성격 9 2. 서울시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및 운영지침 11 3. 미술과 학습환경 17 Ⅲ. 연구방법 42 A. 연구대상 및 절차 42 B. 연구도구 42 C. 자료처리 46 1. 미술과 학습환경 구성요소별 응답결과 자료처리 46 2. 6개 대상학교 미술과 학습환경 평가결과 자료처리 48 Ⅳ. 연구결과 및 논의 51 A. 연구결과 51 B. 논의 56 Ⅴ. 결론 69 [참고문헌] 72 부록목차 74 [Abstract]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333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고등학교 미술과 학습환경 개선 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특별시 중랑구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Improvement Measures for Arts Education and the Associated Learning Environment: Focusing on General High Schools in Jungnang-gu, Seoul-
dc.creator.othernameSuh, Da Som-
dc.format.pagevi, 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