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7 Download: 0

고등학교 과학의 '전해질과 이온'과 '산과 염기의 반응'에 대한 성취 기준 및 평가 기준 개발

Title
고등학교 과학의 '전해질과 이온'과 '산과 염기의 반응'에 대한 성취 기준 및 평가 기준 개발
Authors
박은미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concentrates to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for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s. It covers units of Electrolytes and Ions and Acid-Base Reactions in high school science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Characteristics of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nd contents of seven science textbooks used in high school were carefully analyzed. The required learning elements for the units of Electrolytes and Ions and Acid-Base Reactions were extracted. And then achievement standards were developed. There had been developed 9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unit of Electrolytes and Ions and 17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unit of Acid-Base Reactions . These can be used as actual guideline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in classroom. 2. Based upon achievement standards, the assessment standards were developed. 14 items assessment standards in unit of Electrolytes and Ions and 24 items in unit of Acid-Base Reactions were developed. It applied on three levels(high/middle/low) according to degree of students achievement. These can be used as actual standards for assessment of individual student. 3. Developing appropriate assessment instruments which probe students achievement level were followed after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A variety types of instruments for performance assessment were used rather than multiple choice type. The developed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s were as follows : 4 items(1 descriptive types, 1 statement type, 1 portfolio, 1 lab report) in the unit of Electrolytes and Ions and 6 items(2 descriptive types, 1 statement type, 1 concept map, 1 portfolio, 1 lab report) in the unit of Acid-Base Reaction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If science teachers use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which were developed in this study, they can make a lot of various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s in the units of Electrolytes and Ions and Acid-Base Reactions in high school science. 2. If assessment instrument has been used, utility would decrease critically. For this reason, it is important that science teachers should exercise the series of process in order to develop various assessment instruments through changing contexts or situations. It would be expected to do an important role which insures propriety and varies assessment instruments in school by developed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instruments from this research.; 제7차 교육과정에 제시된 평가의 특징으로는 평가의 다양화 및 투명성 보장을 들 수 있다. 또한 시·도 교육청에서는 지필 평가의 30% 이상을 수행 평가로 실시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처럼 새 교육 문화 창조에 따라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수행 평가가 학교 현장에서 제대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학교 수준의 구체적이고 상세한 성취 기준 및 평가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학교 수준의 객관적이고 타당한 성취 기준 및 평가 기준이 개발되어 있을 때, 그 기준을 토대로 하면 다양한 수행 평가 도구를 계속적으로 만들 수 있음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과학의 전해질과 이온 및 산과 염기의 반응 단원을 연구 영역으로 선정하여 학교 수준의 객관적이고 타당한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을 개발하였다.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의 개발에 앞서 선정된 단원에 대한 필수 학습 요소를 추출하였다. 제7차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과 개정된 7종 과학 교과서의 분석을 통하여 전해질과 이온 단원에서 9개, 산과 염기의 반응 단원에서 17개의 필수 학습 요소를 추출하였다. 필수 학습 요소를 추출한 후에는 학생들이 도달해야 할 학교 수준의 구체화된 성취 기준을 개발하였다. 성취 기준은 지식 영역, 탐구 영역, 태도 영역으로 나누어 개발하였고, 전해질과 이온 단원에서 14개, 산과 염기의 반응 단원에서 24개를 개발하였다. 성취 기준을 개발한 후에는 학생들의 성취 수준을 실질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학교 수준의 상세한 평가 기준을 개발하였는데, 전해질과 이온 단원에서 13개, 산과 염기의 반응 단원에서 23개를 개발하였다. 끝으로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을 토대로 학생 개개인의 실질적인 성취 정도를 알아낼 수 있는 다양한 수행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연구자와 공동 연구자들은 한결같이 학교 수준의 성취 기준 및 평가 기준을 토대로 하면 다양한 수행 평가 도구를 수월하게 개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개발한 수행 평가 도구는 전해질과 이온 단원에서 4개(서술형 1개, 논술형 1개, 포트폴리오 1개, 실험보고서 1개), 산과 염기의 반응 단원에서 6개(서술형 2개, 논술형 1개, 개념도 1개, 포트폴리오 1개, 실험보고서 1개)이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학교 수준의 객관적이고 타당한 준거만 설정한다면 실질적으로 학교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수행 평가 도구를 계속적으로 개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학교 수준의 성취 기준 및 평가 기준은 제7차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과 이에 근거하여 새로 집필된 7종의 교과서 분석을 근거로 이루어졌으며, 고등학교 현직 교사와 과학 교육 전문가들에 의해 내용 타당도를 검증 받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개발한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을 준거로 하면 현장 교사들도 다양한 수행 평가 도구를 개발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성취 기준 및 평가 기준은 교육 현장에서 다방면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학습자 입장에서는 이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개발한 성취 기준이 학습 목표로 활용될 수 있고, 제시한 평가 기준을 통해 학습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수행 평가를 실시해야 하는 교사의 입장에서는 이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개발한 성취 기준을 차시 별 수업 목표로 활용할 수 있고, 제시한 평가 기준은 평가 현장에서 실질적인 준거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연구에서 개발한 수행 평가 도구를 이용한 평가의 결과로부터 해당 단원에 대한 학생 개개인의 성취 수준을 직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인 수업 전략을 세울 수 있고, 발달적인 교육관의 입장에서 학생 지도에 활용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이 교육 현장에서 수행 평가를 다양화하고 평가의 타당성을 확보하는 데 일익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