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성원-
dc.contributor.author김세미-
dc.creator김세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4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10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9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108-
dc.description.abstract과학문화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개념이다. 따라서 과학문화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이를 바라보는 여러 관점들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문화에 대한 국내외의 다양한 입장들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의 취지와 부합하는 개념 즉, 과학과 문화를 연계한 결합체로 과학문화를 정의하였다. 또한 정의된 과학문화의 개념으로부터 이를 구성하는 필수 영역들을 조사하여 과학문화지표체계를 개발하였고, 이를 크게 과학(역)사, 과학철학, 과학문학과 예술, 과학관련 사회활동, 과학대중매체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지표체계는 중ㆍ고등학교 교사들의 전공별, 성별 인식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과학(역)사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있어, ‘과학(역)사적 발견 및 발명에 대한 이해수준’, ‘과학박물관 방문 횟수와 소요시간 및 소비비용’, ‘과학문화 유적지 방문 시 소비비용’에 관한 항목에서 전공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이 중 ‘과학박물관 방문 시 소비비용’과 ‘과학문화유적지 방문 시 소비비용’을 제외한 모든 문항에서 과학전공교사가 인문, 사회전공 교사보다 과학문화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성별 분석에서는 ‘과학사적 발견 및 발명에 대한 이해’에 관한 문항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높은 인식을 보였다. 2. 과학철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있어, ‘과학적 이슈에 대한 관심 여부’와 ‘최근 과학적 이슈에 대한 관심정도’, ‘과학적 방법 사용여부’에 관한 문항에서 전공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과학전공교사가 인문, 사회전공 교사보다 과학문화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성별 분석에서는 ‘과학적 이슈에 대한 관심여부’와 ‘최근 과학적 이슈에 대한 관심정도’, ‘일상생활에서 과학적 방법 사용여부’에 관한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높은 인식을 보였다. 3. 과학문학과 예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있어, ‘과학 공연 관람횟수’, ‘과학영화 관람횟수’, ‘과학소설 구매금액’에 관한 항목에서 전공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과학전공교사가 인문, 사회전공 교사보다 과학문화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성별 분석에서는 어떤 문항에서도 성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4. 과학관련 사회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있어, ‘과학관∙과학전시관∙체험관 관람횟수와 소요시간’, ‘도서관의 과학정보 이용횟수’, ‘과학관련 행사 참여 횟수’, ‘과학단체 및 모임활동 참여횟수’,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관심정도’에 관한 항목에서 전공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이 중 ‘과학관∙과학전시관∙체험관 관람횟수와 소요시간’을 제외한 모든 문항에서 과학전공 교사가 인문, 사회전공 교사보다 과학문화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성별 분석에서는 ‘과학관련 행사 참여횟수’와 ‘과학단체 및 모임활동 참여횟수’,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관심정도’에 관한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높은 인식을 보였다. 5. 과학대중매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있어, ‘과학신문∙잡지 구독정도’, ‘과학 관련서적 읽기횟수’, ‘과학 교육프로그램 시청빈도’, ‘과학 전문채널 시청빈도’, ‘과학관련 인터넷 사이트 이용 빈도’에 관한 항목에서 전공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이 중 ‘과학 전문채널 시청빈도’를 제외한 모든 문항에서 과학전공교사가 인문, 사회전공 교사보다 과학문화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성별 분석에서는 ‘과학 잡지 구독정도’와 ‘과학 관련서적 읽기 횟수’, ‘과학 교육ㆍ교양ㆍ오락프로그램 시청빈도’, ‘과학 전문채널 시청빈도’, ‘과학관련 인터넷 사이트 이용 빈도’에 관한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높은 인식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있어서 과학전공교사와 인문교사, 그리고 사회교사의 전공별 차이가 의미 있게 나타난 문항이 많았다. 특히 과학전공교사가 타 전공의 교사보다 과학사건이나 이슈에 민감하고, 과학유적지를 방문하거나 행사 등에 더욱 많이 참여하였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과학적 방법 사용빈도가 높고, 과학 대중매체 이용도 역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 50개 문항 중 14개의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모두 남교사의 인식이 여교사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학의 중요성이 점점 증대해지는 현대 사회에 있어서 여러 활발한 연구 활동을 통해 과학문화에 대한 전공별, 성별 인식차이를 좁히고, 이로써 교사들의 과학문화에 대한 전반적 인식을 높여야 할 것이다.;Science culture is a very wide, diverse and complicated notion. In order to define science culture, it is important to scrutinize it from various angles. In this study, we have performed analysis of western notions of science culture which have been discussed and domestic notions which exist currently. Based on this consideration, we set up the notion of science culture as the combination between science and culture in order to match it to the intention of the study. From the defined notion, we investigated essential areas which compose science culture and constructed the index system of science culture. The system is divided by science history, science philosophy, science literature and art, social activities concerning science, and science mass media. It is used to probe the difference between cogni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as their major and gender. The result of research is like this. 1. In the teacher`s cognition of history of scienc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estions of ‘Understanding of science historic discovery and invention’, ‘Frequency of visiting science museums and the time and expenses required’, ‘Expenses required on visiting science-culture historic sites’(p<.05). And in all questions except ‘Expenses required on visiting science museums’ and ‘Expenses required on visiting science-culture historic sites’, science teachers showed higher cognition for science culture than humanities and sociology teachers. In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ir gender, only the question related to 'understanding of science-historical discovery and invention'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p<.05); cognition of male teachers is higher than that of female teachers. 2. In the teacher`s cognition of philosophy of science, science teachers showed higher cognition for science culture than teachers who majored in humanities and sociology in the questions of ‘Whether having interests in scientific issues’, ‘The extent of interest in recent scientific issues’ and ‘Whether using scientific methods’,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In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ir gender, the questions related to 'Concern about scientific issues', 'Concern about new scientific issues'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p<.05); cognition of male teachers is higher than that of female teachers. 3. In the teacher`s cognition of science literature and art, science teachers showed the higher cognition for science culture than teachers majored in humanities and sociology in the questions of ‘Frequency of seeing science performance’, ‘Frequency of seeing science movies’ and ‘The amount of purchasing science novels’,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There wasn`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ny question between male and female(p>.05). 4. In the teacher`s cognition of science-related social activiti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estions of ‘Frequency of visiting science museum science pavilion experience halls and the time required’, ‘Frequency of using scientific information at libraries’, ‘Frequency of participating in science-related events’, ‘Frequency of participating scientific organizations and group activities’ and ‘The interest i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p<.05). Among the above-mentioned questions, in all questions except ‘Frequency of science museum science pavilion experience halls and the time required’, teachers majored in science showed higher cognition for science culture than teachers majored in humanities and sociology. In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ir gender, the questions related to Frequency of participating in science-related events’, ‘Frequency of participating scientific organizations and group activities’, 'The interest i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p<.05); cognition of male teachers is higher than that of female teachers. 5. In the teacher`s cognition of scientific massmedia,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estions of ‘Subscription of science papers and magazines’, ‘Frequency of reading science-related books’, ‘Frequency of watching science education programs’, ‘Frequency of watching science channels’ and ‘Frequency of using science-related internet sites’(p<.05). Among the above-mentioned questions, in all questions except ‘Frequency of watching science channels’, science teachers showed higher cognition for science culture than teachers majored in humanities and sociology. In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ir gender, the questions related to ‘Subscription of science magazines’, ‘Frequency of reading science-related books’, ‘Frequency of watching science education programs’, ‘Frequency of watching science channels’ and ‘Frequency of using science-related internet sites’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p<.05); cognition of male teachers is higher than that of female teachers. As above results of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teacher’s major of science, humanities and sociology in many questions.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science teachers were more sensitive to scientific events or issues, participating in scientific historic sites or occasions, using scientific methods in their daily lives, and using scientific mass media than teachers with any other majors. Therefore, in modern times when the importance of science is getting increased, we should raise teachers’ cognition about science culture through various research activit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 I.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목적 = 1 2. 연구 문제 = 3 3. 연구의 제한점 = 4 II. 이론적 배경 = 5 1. 문화의 정의 = 5 2. 과학문화개념에 대한 다양한 논의 = 9 3. 과학문화에 관한 선행연구 = 13 4. 과학문화지표체계 개발 = 17 III. 연구방법 및 절차 = 30 1. 연구 대상 = 30 2. 연구 도구 = 31 3. 연구절차 = 33 IV. 연구결과 = 35 1. 과학문화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따른 전공별 차이 = 35 2. 과학문화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따른 성별 차이 = 63 Ⅴ. 결론 및 제언 = 67 1. 결론 = 67 2. 제언 = 71 참고문헌 = 72 부록 = 75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665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과학문화에 대한 중·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eacher`s Cognition about Science culture-
dc.creator.othernamekim, Se-Mi-
dc.format.pagevii, 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