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9 Download: 0

노인의 우울 수준에 따른 음악 활용 실태 연구

Title
노인의 우울 수준에 따른 음악 활용 실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the actual utilization of music for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people
Authors
이은애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수지
Abstract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study the actual use of the music according to the elderly depressive level. An object of the study is the general old people age from 60 to 80, and questionnaire survey and GDS-K(Geriatric Depression Scale in Korea) test has been conducted to a random sample of 104 community living older adults in senior center, Seoul. To conduct a survey, a questionnaire that is composed of 30 items was made to check the actual state of music use, the importance of music and the purpose of using music. Except the 4 questionnaires that are not insufficient, total 100 answers was analyzed. The analysis result is that the participation rate concerning music acitivity for leisure time is low(9%) and in case of the time investigation about listening to music, the listening to music ratio at least under an hour is relatively higher(38%) than scarcely ratio(38%). The participation ratio in music related activity showed low rate that the singing group(choir) is 9%, instrumental performance(ensemble, samulnori) 5%, and the participation ratio in institute such as community center has relatively higher rate 38%. The research showed that old people realized highly the importance of music according to the high ration result(77%) that music in the everyday life is 'very important' or 'important'. And the result of the object of using music is that, except for the object of relieving the boredom, the object for moods(joy 85.9%, emotional stablity 64.1%, refreshing oneself 62.5%, memory 61.0%) has high rate. As for correlation between actual use of music and depression, the elderly group who participate in the leisure activity concerning music have lower depressive average grade and meaningful difference than the one who participate in other activity(watching TV, sports, a social party) except for music(p < .01). The depression level test according to listening to music time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that the old people who listen to music at least under an hour have lower depressive average grade(p < .001), and the depression level test according to participating in music activity or not showed that the group that participate in music activity has lower depressive average grade and meaningful difference than the group that do not participate in(p < .01). The depression level test according to music using circumstance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listening to music except on leisure activity(p < .05), listening to music for physical activity(p < .01), for household affair labor(p < .05).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ce for the relation between the old age depression and actual use of music, and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and consistently take effect music education and related program, music activity and therapy and expand recognition for the importance of actual use of the music.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우울 수준에 따른 음악 활용 실태를 연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60-80대의 일반 노인으로 설정하였고 서울 특별시에 소재하는 노인 복지관과 경로당에서 무작위로 선정된 일반 노인 1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GDS-K : Geriatric Depression Scale in Korea) 검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위하여 노인의 일상생활에서의 음악활용 실태와 음악에 대한 중요성, 음악의 사용 목적 등에 대한 정보들이 포함된 총 30문항의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회수된 설문지와 노인 우울 검사지 중 응답을 하지 않았거나 불충분한 응답을 한 4명의 응답을 제외하고 총100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의 여가시간 주요 활동으로 음악 관련 활동에 참여한다는 비율이 낮게(9%)나타났으며, 음악 감상 시간에 대한 조사에서는 1시간 미만이라도 음악을 감상하는 비율이 거의 감상하지 않는 비율(38%)에 비하여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62%). 음악 관련 활동에 대한 참여로 노래 그룹(합창단, 성가대 등)비율이 9%, 악기 연주 그룹(합주단, 사물놀이패 등) 비율이 5%로 낮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복지관 등 기관 음악 프로그램 참여 비율은 38%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높은 참여율을 나타내었다. 일상생활에서 음악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으로 '매우 중요하다'라는 응답과 '중요하다'라는 응답이 많은 비율(77%)을 차지하여 음악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악 사용 목적에 대한 결과에서는 무료함을 채우기 위한 목적(37.5%)을 제외한 목적에서 '그렇다.' 답변이 높은 비율(즐거움 목적 85.9%, 정서적 안정 64.1%, 기분 전환 62.5%, 추억 목적 61.0%)로 나타났다. 음악 활용 실태와 우울의 차이에 대한 결과에서는 여가활동 시 음악 관련 활동을 주로 하는 그룹의 우울 점수 평균이 음악 관련 외의 여가활동(TV시청, 스포츠 관련 활동, 사교모임 등)에 참여하는 그룹과 비교 했을 때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 < .01). 음악 감상 시간에 따른 우울의 차이에서는 1시간 미만이라도 음악을 감상하는 그룹이 거의 감상하지 않는 그룹에 비하여 낮은 우울 점수의 평균을 나타내었고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p < .001), 음악 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우울의 차이에서는 참여 그룹이 불참 그룹에 비하여 낮은 우울 점수의 평균을 나타내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 < .01). 음악 사용 상황에 따른 우울의 차이에서는 여가시간 외 음악 사용(p < .05), 신체활동 시 음악 사용(p < .01), 가사노동 시 음악 사용(p < .05)을 한다는 그룹이 미사용 그룹보다 낮은 우울 점수평균을 나타내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노년기 우울과 음악 활용의 관련성에 대하여 확인한 데 의의가 있으며, 노인의 개인적․사회적 환경에서 음악 교육 및 관련 프로그램, 음악 활동이나 음악 치료 등을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시행될 필요성과 음악 활용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확대될 필요성에 대하여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